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측
예기
예견
전망
기대
예보
예감
d라이브러리
"
예상
"(으)로 총 4,038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트루베와 뉴컴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동반성은 시리우스의 동반성에 비해 주성에 더 가까이 붙어있고 더 어두울 것으로
예상
됐다.시리우스 동반성을 발견한 클라크 망원경의 구경은 47cm. 적어도 이보다는 더 크고 정밀한 망원경이 필요했다. 1870년 미국 해군성은 세계 최대의 천문대를 계획한다. 당시 세계 최대의 망원경은 영국왕립학회 ... ...
아바타 학교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3호
성형을 전혀 하지 않은 나도 아이들을 직접 만날 때면 은근히 신경이 쓰이는걸.그런데 내
예상
이 빗나갔어. 그 날 나리는 당당하게 학교에 나타났고, 그리고, 너는 오지 않았어. 농구팀 아이들이 다영이 너를 애타게 기다렸는데 오지 않아서 실망스러웠나봐. 아이들 사이에서 민다영의 신고식은 누가 ... ...
315일간의 우주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불이 깜빡거렸다. 우주선 자동제어 장치에 도착 시간 입력을 잊고 있었던 것이다. 만약
예상
시간을 입력하지 않으면, 길을 잃어 우주 미아가 될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우주선이 초속 30㎞로 날며 행성 PT-28까지 200광년 떨어져 있다고 할 때 우주선이 행성까지 가는 시간은 얼마나 될까? 단 빛의 ... ...
부자가 되는 비결을 알고 싶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1호
없었다. 저그메우스가 이미 죽었기 때문. 하지만 저그메우스는 썰렁 홈즈가 올 것을
예상
했는지 금고 속에 부자의 비결이 적힌 종이를 넣어 두었다고 했다. 금고의 비밀 번호는 저그메우스가 죽은 날짜라는데…,이게 황당하기 그지없다. 저그메우스가 죽은 날은 언제일까? 썰렁홈즈의 정답첫 번째 ... ...
달 달 무슨 달?! 달이 너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8호
해요. ‘가물 때 달무리가 있으면 비가 온다’는 속담도 있듯이 달무리로 날씨를
예상
할 수 있답니다. 달무리는 새털구름이나 털층구름처럼 얇고 넓게 펼쳐져 있는 구름 속의 얼음결정에 달빛이 굴절, 반사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예요. 이렇게 달무리가 생기면 비가 올 확률이 60∼70%랍니다.추석의 ... ...
우리를 위협하는 기상현상 태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6호
예보는 어떤가요? 우리는 바닷물의 온도를 조사하여 올여름엔 몇 개의 태풍이 생길지
예상
할 수 있어요. 하지만 언제 태풍이 형성되어 어떤 경로로 이동할지는 정확히 알지 못합니다. 여기서 바로‘기후예측’과‘기상예보’의 차이를 알 수 있지요.‘기후’는 한 지역에서 30년 넘게 나타난 ... ...
백성을 위해 과학을 사용한 정조와 정약용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4호
도르래와 움직 도르래의 원리를 이용한 ‘거중기’를 만들어 냈습니다. 덕분에 당초
예상
한 건설 기간을 10년에서 단 2년으로 줄일 수 있었답니다. 공사 비용도 30%나 절약했다고 합니다. 물론 공사 중에 백성들이 다치는 일도 거의 없었지요.과학을 백성을 위해 사용한 정조와 정약용. 과학을 잘못 ... ...
Sea, Waves, Continental Shelf, Creature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3호
지나지 않으나 과학자들은 심해에 살고 있는 생물의 종류가 무려 1천만 종이 넘는다고
예상
하고 있다. 사실 사람이 탐색한 심해는 전체 면적의 1%도 되지 않기 때문에 가장 덩치가 큰 고래보다 훨씬 거대한 해양 생물이 살고 있을 지도 모를 일이다.빛이 없고 온도가 낮으며 압력이 강한 심해에서 ... ...
디지털 주얼리(Digital Jewelry)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마우스를 이용한 것이었다. 하지만 다음 10년에는 이 같은 방식엔 큰 변화가 올 것으로
예상
된다.IBM 연구팀은 현재 팔목에 감는 디스플레이와 호환되는 작은 반지형 마우스를 개발 중이다. 트랙포인트로 이름 붙인 이 마우스 반지는 손가락만 움직이면 모니터 화면 위의 커서를 자유자재로 조작할 수 ... ...
나선이 지그재그를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깨지면서 긴 고리(루프)와 같은 구조를 이뤘거나 느슨한 형태의 구조를 갖고 있으리라
예상
됐다. 그러나 실제로는 매우 촘촘한 구조였다. 염기결합도 거의 깨지지 않았다. 오직 하나의 염기쌍만 풀어지고 염기가 이중나선 밖으로 돌출되면서 오른쪽으로 돌던 나선형 DNA가 왼쪽으로 도는 지그재그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