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것PART1.전염의 시작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PART3.
인간
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 BL3+와 BL4 비교 구분 BL3+ BL4 헤파필터 1겹 2겹 공기순환 10회/시간 20회/시간 호흡방식 헤파필터로 ...
PART 2. 한 달 만에 인공신장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오염되는 등 재해에 대비해 우주식민지를 건설할 계획을 갖고 있다. 그 때 우주 환경에서
인간
이나 동식물이 살 수 있는지를 미리 알아보는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관광 올해 처음 떠난다PART 1. 1억 원 우주관광 티켓의 비밀PART 2. 한 달 만에 인공신장 ... ...
“지하철 9호선 팔 때 주변 흙도 쓸려나갔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했다. 지금까지 있었던 수많은 사고를 보면 가장 큰 문제는 기술부족이 아니라
인간
의 자만심과 작은 징조를 무심코 넘겨버리는 안일함이었다. 이미 석촌동을 포함해 송파 주민들은 언제 땅이 꺼질지 모르는 불안에 떨고 있다 ... ...
“본성과 교육, 무엇이 더 강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자신이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해 행했던 행위들을 기자의 눈으로 담았다. 책을 읽다보면
인간
이하의 대접을 받았던 브렌다와 그 가족들이 안쓰러워진다. 브렌다를 실험대상으로 삼은 머니 박사의 연구가 잘못됐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본성과 양육이라는 두 추는 다시 균형을 이뤘다. 아니, 이 책만 ... ...
뇌과학으로 해결하자! 굿바이 학교폭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그래서 사춘기인 우리들은 이성보다는 감정적으로 생각하고 충동적으로 행동하기 쉽다.2
인간
관계에 있어 경험 부족우리는 어른에 비해 사람이나 사건에 대해 경험이 적다. 하지만 학교나 집에서 수없이 많은 일들을 겪게 되는데 이 때 경험이 비교적 부족해 사건들을 어떻게 지혜롭게 대처해야 ... ...
[생활] 수학으로 상대방의 마음을 꿰뚫어 본다고?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빨라지고, 식은땀이 나는 것처럼 말이다. 따라서 이러한 생체 반응의 특징을 측정하면
인간
의 감정 상태를 유추할 수 있다.하지만 이런 분석 방법에는 몇 가지 제약이 따른다. 우선 상대방의 몸에 미리 특수한 장비를 설치해야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직접 대면한 상태에서 감정이 발생하는 순간에만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것PART1.전염의 시작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PART3.
인간
에겐 아직 두 개의 무기가 남아 있습니다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 ...
색칠게임 했더니 뇌지도가 쓱쓱~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자동으로 신경세포의 연결구조가 3차원 이미지로 만들어진다. 승 교수는 “인공지능보다
인간
의 집단지성이 훨씬 낫기 때문에 이 게임을 만들었다”며 “3차원 뇌지도가 만들어지면 의사결정과 공포 등 정신활동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체계적으로 알 수 있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KT는 이번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차례로 침팬지, 개, 주머니쥐, 오리너구리, 닭이다. 각각의 원(염색체)에서 아래 반원은
인간
의 염색체이고, 위 반원은 해당 동물의 전체 유전체(게놈)다. 선은 비슷한 유전자끼리의 연결선이다. 진화적으로 가까운 대상과 보다 많은 염색체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래는 19세기 말~20세기 ... ...
‘생각하는 방법’ 가르치는 리버럴 아츠 과학 교육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된다면 기자도 토론에 참여해보고 싶을 만큼 매력적인 주제들이다. 주제뿐만 아니다. ‘
인간
과 우주’ 강의를 생각해 보자. 서로 떨어져 있던 분야 교수 10여 명이 하나의 주제로 토론하고 각 학문이 융합되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지켜볼 수 있다. 현장을 이끌어가는 주인공은 바로 학생 자신이다.최근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