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돈
배열
처분
배합
배치
처리
청산
d라이브러리
"
정리
"(으)로 총 3,253건 검색되었습니다.
태권V 몸 속엔 뭘 담나?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도와 줄 로봇이 어떤 기능을 갖춰야 하는가에서 출발했다. 개발목표는 식사 준비와
정리
가 가능한 로봇, 감정 교류가 가능한 로봇이었다. 목표 기능은 식기, 수저, 냉장고 손잡이를 잡을 수 있는 손과 팔,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주행부, 인간 친화형 디자인 등이었다. 로켓 주먹을 쏘고 ... ...
전기 자동차의 새 흐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이 함유된 두 원자단 사이에 적당한 균형이 취해져 있어야 한다 내림차순(降冪順)으로
정리
된 두 다항식의 곱셈을 그 다항식의 각 항의 계수만을 써서 계산하는 방법 이 방법을 이용하면 계산의 복잡성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수고도 멀게 된다 그릿글로관의 방전의 개시를 세 전극(기전극)에 의해 ... ...
꼬마잠자리의 슬픈 비행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들어와 공사 중단은 어렵다”는 견해를 밝혔다.새만금 간척사업은 법적으로 갈등을
정리
하는데 4년이 걸렸다. 도롱뇽 소송이라 불렀던 천성산 원효터널공사 착공금지 가처분사건은 3년의 갈등 끝에 마무리 됐다. 결론은 모두 인간의 승리. 지금 새만금과 천성산에서는 인간의 편의를 위한 땅과 ... ...
쥐불놀이와 전자운동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그냥 들고 있으면 된다. 하지만 이 경우 그전에 돌고 있던 깡통의 속도를 알 수 없다.
정리
하면 원자 안에서 원운동을 하는 전자의 위치와 속도(다른 표현으로 운동량($p=mv$)을 동시에 100% 정확하게 알 수는 없다. 확률 게임1932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하이젠베르크가 제시한‘불확정성 원리’에 ... ...
잠든 무덤에서 깨어나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영토에 관해서는 세 나라 사이에 공통된 학설이 없다. 각 나라의 입장에 따라 학설을
정리
했을 뿐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한국은 언제부터 발해를 우리의 역사로 생각했을까. 역사적으로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야 발해를 우리의 역사로 인식해야 한다는 주장이 ... ...
조지 에어리와 윌리엄 도즈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관측기술을 갖고 있었다. 그는 약 10년 동안 모두 221개의 이중성을 관측하고 그 위치를
정리
했는데 이것은 당대 최고의 천문학자였던 존 허셜이 대형 망원경으로 관측한 것에 비견될 정도로 정확했다.아마추어 천문학자였던 도즈가 이름을 날리게 된 이유는 탁월한 눈 때문이었다. 그는 독수리 눈을 ... ...
'에너지 보존법칙'쉬운 길로 가보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사실 이것이 일에 대한 정의다. 이것을 수식으로는$W=ΔK$로 쓰고, ‘일과 에너지
정리
’라고 부른다. 여기서 $ΔK$는 운동에너지의 변화이다. 한편 퍼텐셜에너지는 $W=-ΔU$(퍼텐셜에너지의 변화가일)의관계가 있으므로 $ΔK+ΔU=Δ(K+U)=ΔE=0$이라는 뜻이다. 역학적 에너지($E=K+U$)는 물체가 한 점에서 다른 ... ...
하늘 그린 지도, 우주 담은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고대 중국 나라 이름(분야)을 새겼다.G : 우주의 구조에 대한 고대 중국의 이론을
정리
해 놓았다.H : 별자리 28수의 좌표를 새겨 놓았다.I : 제작 경위를 설명해 놓은 권근의 천문도설이다.J : 제작 당시 천문대인 서운관 소속의 관리들 명단이다. 원본 천문도는 고구려 때 제작천상열차분야지도에는 ... ...
니콜라 테슬라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실질적으로 향상시켰다. 비록 다른 공학자들처럼 자신의 발명과 관련한 이론을
정리
해 논문으로 발표하지는 않았지만, 테슬라는 전기에 대한 직관 덕분에 미국에서 가장 위대한 전기공학자의 반열에 올랐다.테슬라는 시대를 앞서가는 통찰력으로 각종 전기실험을 한 덕분에 ‘거의 모든 현대기술의 ... ...
움직이는 '붙박이별'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별을 찾기 시작했다. 이 일은 수세기 동안 측정한 수만개에 달하는 별의 위치를 비교해
정리
하는 매우 고된 작업이었다. 56년이 지난 1898년 마침내 ‘굴름브리지 1830번’보다 더 큰 고유운동을 하는 별이 발견됐다. 그 별을 발견한 사람은 네덜란드의 천문학자 야코부스 코넬리우스 캅테인이다.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