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빙하를 직접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인공 빙하를 만들어라! 아이스 스투파 프로젝트인도의 라다크 지역은 높이 2700m~4000m의 히말라야 산맥에 위치한 마을이에요. 겨울 온도가 영하 30℃나 되는데 연간 강수량은 100mm에 불과하답니다. 이 마을 사람들이 유일하게 물을 얻을 수 있는 곳은 빙하예요. 그런데 지구온난화로 빙하가 녹으면서 ... ...
- [과학뉴스] 시민 과학자 1만 명, 5행성 시스템 발견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지구에서 620광년 떨어진 별 ‘아퀴아리우스’ 주변에서 행성 5개가 돌고 있는 외계행성계 ‘K2-138’이 발견됐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와 캘리포니아공대(칼텍) 공동 연구팀은 1월 11일 미국천문학회에서 이 같은 사실을 발표했다. 특히 이 연구에는 전 세계 시민 과학자 1만 명이 참여해 집단지성 ... ...
- [과학뉴스] ‘외계인의 소리’ 어디에서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외계인의 소리’로 불리는 라디오 파열음(FRB)의 기원에 대한 새로운 단서가 밝혀졌다. 제이슨 헤셀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 교수팀은 “자기장이 매우 강한 중성자별에서 라디오 파열음이 생성됐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1월 10일자에 발표했다. 라디오 파열음은 초신성 폭 ... ...
- [Culture] ‘슈퍼 파워’ 가졌지만 저체온증 시달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줄이면 쓰레기와 배기가스, 생활하수 등 인류가 배출하는 폐기물의 양이 줄어들고 지구도 서서히 기후변화의 굴레에서 벗어날 것이다. 결과적으로 인류의 멸망도 막을 수 있다. 다운사이징 기술은 이런 목적에서 개발됐지만, 시술을 받은 인구는 전체의 3%뿐이었다. 나머지 97%가 야기한 환경오염이 ... ...
- 서로 연결돼 있는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인류의 역사는 환경에 대한 도전과 이를 극복하며 이용해 온 과정이라할 수 있다. 초기 자연에 대한 숭배의 단계에 머물던 인류는 농경을 시작하며 이용의 단계로, 과학기술이 발달한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마침내 자연을 정복하려는 단계에까지 도달하고 있다. 그러나 자연에 대한 승리를 획득했다 ... ...
- Part 1. 빙하의 수난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거대한 얼음 덩어리, 빙하!푸른빛을 띠는 거대한 빙하를 보면 감탄이 절로 나와요. ‘빙하’란 육지 위에 눈이 오랫동안 쌓여 다져진 얼음층을 말해요. 그렇다면 빙하는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고산지대나 극지방은 매우 추워서 겨울철에 내리는 눈의 양이 여름에 녹는 양보다 많아요. 그럼 눈이 수 ... ...
- [과학뉴스] 빨리 오고, 예측 빗나가고 올해 독감, 왜 이리 독한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겨울 독감이 기승이다. 겨울철에는 독감이 연례행사처럼 찾아 오지만, 올해는 유독 지독하다. 2017년 12월 1일 기준, 병원에 방문한 환자 1000명 중 7.7명이 독감 환자로 집계되면서 질병관리본부는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를 발령했다. 하지만 한 달만인 2018년 1월 첫 주 독감 환자가 10배나 늘었다. 전국 ... ...
- [종목2] 스켈레톤, 세계랭킹 1위 도운 DNA 훈련법과학동아 l2018년 02호
- 1. 스켈레톤과 봅슬레이 대표팀 선수들이 달리기 훈련을 하는 모습. 연구팀은 선수들이 부상 위험 없이 최상의 경기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허벅지 앞뒤 부위의 근육량을 분석해 100대 70 비율을 유지하도록 조언했다.2. 연구팀은 유전자형에 따른 맞춤형 훈련을 할 수 있도록 선수들의 구강상피세포와 ... ...
- [Issue]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호주 북동쪽 그레이트배리어리프(Great Barrier Reef) 해양국립공원. 스쿠버다이빙을 이끌던 ‘다이브마스터’가 활짝 펼친 손바닥을 머리 위로 올렸다. 상어가 나타났다는 의미다. 주위를 둘러보니 길이가 족히 1m는 넘을 것 같은 상어가 헤엄쳐온다. 입에 문 레귤레이터(스쿠버다이빙용 호흡기)의 존재 ... ...
- [공지] 지구사랑탐사대,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Q매미 탐사를 좋아하는 이유가 있나요?매미는 탈피부터 성충이 되기까지의 과정을 볼 수 있는 곤충이에요. 어디에서나 울음소리를 듣기도 쉽고요. 어렸을 때는 친구들과 매미를 잡고, 책을 찾아봤던 수준에 그쳤다면 지구사랑탐사대를 통해 매미 탐사 방법을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었어요. Q이번 ... ...
이전225226227228229230231232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