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뉴스
"
열
"(으)로 총 3,710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수 담수화에 쓰이는 '분리막' 오염 실시간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6
해수와 수증기를 분리한 후 응축해 담수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태양
열
, 지
열
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를 적용해 막 증류 공정을 상용화하게 된다면 해수 담수화 비용을 0.3$/m3(세제곱미터 당 0.3달러∙약 400원)까지 절감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막 증발법은 차세대 담수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 ...
무선 전자기기 전성시대...과연 건강은 괜찮을까
2019.03.24
에너지 양을 기준으로 하는 이유는 전자파가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단이 결국 ‘
열
’이기 때문이다. 만약 전자파흡수율이 kg당 1W라면 인체는 kg당 1W의 전자파를 흡수한다. 체중 60kg의 사람이면 60W를 흡수한다는 뜻이다. 전자기파를 파장에 따라 분류했다. 왼쪽의 파장이 긴 전자기파가 ... ...
소행성 가보니 다른 곳은 '축축', 한 곳은 '바짝'
동아사이언스
l
2019.03.22
할 수도 있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물이 적은 이유에 대해서는 내부 방사성 물질이 내는
열
때문에 증발했을 가능성과, 잦은 소천체와의 충돌로 날아갔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소행성 탐사선 ‘오시리스 렉스’가 소행성 ‘베누’의 표면을 촬영했다. 표면에서 튀어나온 ... ...
"물, 소행성 기원설 수정될 듯" 美·日 주도 소행성 탐사 첫 분석결과 나란히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연구팀은 근적외선 측정을 통해 류구 표면의 특성을 관찰한 결과 지구에서 발견되는
열
및 충격으로 변형된 콘드라이트 운석과 같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콘드라이트 운석은 ‘시원운석’, ‘미분화운석’이라고도 불리며 원시태양계에서 만들어진 뒤 화산활동을 겪지 않은 운석을 의미한다. ... ...
KAIST에 육군 인공지능 협업센터 둥지…민간대학 최초
연합뉴스
l
2019.03.19
(서울=연합뉴스) 지난해 10월 충남 계룡대 활주로에서
열
린 제1회 육군참모총장배 드론봇 전투 경연대회에서 드론배틀 경기가 진행되고 있다. [육군 제공=연합뉴스] 육군교육사령부의 인 ... ETRI)에 AI 협업센터를 개설한다. KAIST에서 AI·드론봇 콘퍼런스(4월 17∼19일)도
열
계획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비롯해 대부분의 생물은 게놈이 2배체, 즉 염색체 한 쌍으로 이뤄져 있다. 그런데 감수분
열
과정에서 염색체가 분리되지 않아 2배체인 생식세포가 만들어지면 3배체 또는 4배체(양쪽 다 이런 경우) 게놈을 지닌 수정란이 생긴다. 이 경우 발생과정에서 동물은 대부분 죽지만 식물은 종종 살아남는다. ... ...
버려지는 폐
열
도 전기로 바꾸는 소재 상용화 성큼…더 저렴하게 친환경∙고성능
열
전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정인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버려지는 폐
열
을 전기로 바꾸는 친환경∙고성능
열
전소재를 기존보다 더 저렴하게 고성능으로 제조할 ... 연구를 통해 상용화에 한걸음 가까워졌다”고 말했다. 산화주석 나노입자 제거에 따른
열
전성능의 향상을 나타냈다. 기초과학연구원 ... ...
日 다음 탐사대상 소행성 ‘파에톤’ 특성, 국내 연구팀이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다른 성분이 섞이지 않은 비교적 균질한 성분으로 구성된 것을 확인했다. 소행성이 태양
열
을 받아 변성이 일어날 경우 전체에 고르게 변성될 것인지 알아보는 연구 결과 역시 소행성의 표면이 균질하다는 사실을 밝혔다. 문홍규 천문연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은 “태양계 천체를 탐사하기 ... ...
우주선 붙이는 ‘에폭시 접착제’ 국산화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3.17
굳는 특성이 있어 LED나 렌즈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나노물질과 함께 사용하면
열
이나 전기를 통하면서 강한 특성을 지니는 소재를 만들 수도 있다. 최경호 그룹장은 "공정 비용을 낮춰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며 “유연소자의 배선재료 등에 적용되면 휘는 디스플레이나 미래차 등에 쓰일 ... ...
타계 1년 지났지만...‘호킹 영향력’은 계속
동아사이언스
l
2019.03.15
양자 중력 연구에 크게 기여하며 우주 과학의 새 지평을
열
었다고 평가받는다. 블랙홀이
열
복사를 방출한다는 사실을 밝혔고 일반상대성이론이 옳다면 우주 전체가 반드시 특이점에서부터 시작했을 것이란 이론을 수학적으로 증명했다. 그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을 잇는 21세기 대표 물리학자로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