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고려"(으)로 총 2,308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람에게 목적 맞춘 바이오 연구 필요해”동아사이언스 l2011.11.28
- 흉부외과교실 교수 2003년~현재 고려대학교 연구소 한국인공장기센터 소장 2007년~2009년 고려대의료원 의무기획처장 2009년~2010년 보건복지부 HT포럼 공동대표 2009년~현재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정회원 2010년~현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R&D진흥본부 본부장 2011년~현재 국가과학기술위원회 ... ...
- “국내 신약개발, 사업화 역량만 키우면 승산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1.11.01
- 수만 명이 상주할 예정이다. 장 센터장은 “신약개발을 시작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할 돼야 할 점은 병의 원인에 대한 ‘과학적 이해’와 ‘시장성’”이라며 “이 두 가지 조건의 균형이 맞아야 신약사업도 발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인력운영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조직의 역량이란 ... ...
- 바이오분야 학계와 산업계간 소통 절실…생명공학 인력 DB확보로 해결할 것동아사이언스 l2011.09.05
- 중요한 분야이기 때문에 ‘전문성’, ‘국가경쟁력의 극대화를 위한 자원배분’을 고려해 여러 전문위원의 평가를 기반으로 예산을 분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간’이 필요한 생명공학분야…기초연구에 대한 지원 아끼지 말아야 이 과장은 생명공학 연구 분야의 특징을 ‘시간’이라고 ... ...
- “연구자 홀로서기 지원하는 박사후연구원 정책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 l2011.07.18
- 1996년~2000년 고려대 생명과학부 학사 - 2000년~2002년 고려대 생명공학원 석사 - 2002년~2007년 고려대 생명공학원 박사 - 2008년~현재 미국 하버드대 의대 박사후연구원 - 2010년~현재 미국 NEBS 28대 회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 ...
- “한국 바이오에는 ‘디벨롭먼트(Development)’가 없다”동아사이언스 l2011.07.17
- 한 방법이긴 하지만 문화가 다른 해외 기업을 인수한다는 점에서 그 위험 부담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미국 기업을 인수한 일본 제약사 다케다의 사례를 보더라도 M&A는 10년, 20년을 내다보는 긴 시간과 많은 투자를 필요로 한다. ▽송병윤 서기관=정부의 정책 담당자로서 디벨로퍼의 중요성에 대해 ...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동아사이언스 l2011.07.05
- 한다. △정부는 장기적 안목으로 기초 연구에 지원해야 한다. 김동욱 단장은 -1989년~1991년 고려대 대학원 유전공학 석사 -1993년~1996년 일본 동경대 생명공학과 박사(일본 국비 유학생) -1997년~2007년 미국 예일대, 하버드 대, 남가주대 연구원 및 교수 -2003년~현재 연세대 의과대 생리학과 교수 -2005년~200 ... ...
- “이제 ‘블록버스터’ 시대는 갔다…하지만 정부는…”동아사이언스 l2011.06.08
- FDA)의 까다로운 허가 조건을 기술력으로 뚫어야 한다. ▽최종훈 본부장=신흥 시장도 적극 고려해야 한다. 어느 시장을 타깃으로 할지 선택이 필요하다. 중국이 곧 의료보험을 실시하고, 2020년 이후에는 중국 국내총생산(GDP)이 미국 수준으로 올라선다. 10년 뒤 중국이 헬스케어에 쓰는 돈은 1000조~200 ... ...
- “R&D 정책, 이제는 전문가 집단이 맡아야”동아사이언스 l2011.04.12
- 모색하는 것도 좋지만, 아예 기술개발 단계부터 미국 같은 넓은 시장에서 시작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며 “바이오 벤처에서도 박세리나 박찬호가 나오지 말란 법이 없다”고 말했다. “박세리 선수가 나오기 전에 미국여자프로골프(LPGA)에 진출할 생각을 몇 명이나 했을까요. 박세리가 가니까 ... ...
- 정부 R&D, ‘High Risk, High Return’에 집중해야동아사이언스 l2011.03.22
- △바이오에 집중 투자하고 연구과제를 통합 관리하는 ‘바이오청(廳)’ 신설을 고려해야 한다. 조중명 대표이사는 - 1969년~1973년 서울대 동물학과 학사 - 1973년~1975년 서울대 대학원 동물학과 석사 - 1975년~1977년 한국원자력연구소 분자생물학연구실 연구원 - 1977년~1981년 미국 휴스톤대 생화학과 ... ...
- “종자 주권이요? 아직 논할 단계도 아닙니다.”동아사이언스 l2011.02.08
- 기술이 특성상 종자에 대한 정보나 부모 작물이 쉽게 알려질 수 있어 개개인의 참여율을 고려해봐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하나의 품종을 만드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과수 육종을 제외하면 채소나 식량작물 육종은 개별적으로 소규모로 해서는 국제 경쟁력이 없습니다. 단순히 대가 없이 퍼주는 ... ...
이전2252262272282292302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