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스페셜
"
발견
"(으)로 총 2,841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미국이 슈퍼컴·양자컴 연구에 매진하는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18.07.28
처음에는 물러서 쓸모가 없다고 버려졌지만, 이후 녹이 슬지 않는다는 장점이 새롭게
발견
돼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게 됐다. 충돌로 합쳐지는 중성자별 상상도. 이런 거대한 천문 이벤트는 우주에 중력파를 남긴다. - 사진 제공 ESO 천체물리학에서는 중력파 연구에 쓰일 수 있다. 중력파는 질량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뒤에 숨는다고 숨었지만 덩치가 너무 커서 당연히 너무나도 잘 보였다. 내가 자신을
발견
했다 싶으면 다시 달려가서 다음 나무 뒤에 숨었다. 축사에 도착할 때까지 계속 숨바꼭질을 했다.” 농장의 스토리를 담은 사진들 - https://sustainablefoodtrust.org 제공 그런데 책을 읽다가 문득 ‘이 분이 소를 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모의 가혹한 양육이 자녀 비만 부른다
2018.07.21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부모의 가혹한 양육 방식이 자녀의 비만도를 높인다는
발견
또한 비슷한 맥락에서 볼 수 있을 것 같다. 가장 근원적인 믿음과 사랑, 안정감을 주고 각종 풍파의 바람막이가 되어주어야 하는 가정에서 되려 심한 공격과 비난을 받는다면 이 세상은 별로 살만하지 않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전 것이다. 호주 동부에 남북으로 널리 분포해 잘 살던 코알라는 18세기 유럽인들에게
발견
되면서 시련이 시작됐다. 먼저 보드라운 털 때문에 20세기 초까지도 무지막지한 사냥이 이뤄졌다. 한창이던 1870년대에서 1920년대 후반까지 수백만 마리가 희생됐다. 생태계 변화도 큰 타격을 입혔다.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돌이의 고향에서 남방큰돌고래 연구팀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7.11
있다고 해요. 매일 몇 시간씩 수년 간 돌고래를 관찰한 결과지요. 남방큰돌고래 무리를
발견
한 이후부터는 이를 천천히 따라다니며 돌고래의 행동을 꼼꼼히 기록했어요. 이 기록들이 모이면 남방큰돌고래의 습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지요. 드론을 꺼내 바다 위로 날리기도 했답니다. 드론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마음껏 뛰어다니던 조상의 피가 흐르고 있다. 어느 날 우연히 우리의 빗장이 풀려있는 걸
발견
한 말이 탈출을 감행해 꿈을 이룬 게 암세포 아닐까. 그렇게 해서 소원은 풀었지만 제멋대로 돌아다니다 주변 기물을 부수고 지나가는 사람을 다치게 하듯이 암세포 역시 새 삶을 살며 자신이 속했던 사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향적 사람도 행복할 수 있나요
2018.07.07
기쁨을 느끼며 이 기쁨의 크기가 외향적인 사람보다 내향적인 사람들에게서 더 크다는
발견
도 있었다(Zelenski et al., 2012). 에너지 수준이 낮아서 밖에 나가는 것이 귀찮을 수는 있지만 막상 나가서 이야기를 하다보면 금새 즐거워진다는 것. 다만 내향적인 사람들은 외향적인 사람들(높은 에너지)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잃어버린 물질을 찾아서
2018.07.03
퀘이사에서 나온 빛이 두 차례에 걸쳐 뜨거운 WHIM을 지날 때 산소 이온(O+7)이 흡수한 띠를
발견
했다. 빛이 흡수된 정도로부터 뜨거운 WHIM에 있는 물질의 양을 추정하자 전체 가시 물질의 9~40%라는 결과를 얻었다. 즉 최대치일 경우 잃어버린 양과 같은 수준이다. 지구에서 최소한 72억 광년 떨어져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운명의 상대'라는 믿음이 클수록 연애 어렵다
2018.06.30
사람들에 비해 새로운 분야에도 큰 흥미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정과 관심은 ‘
발견
’하는 것이라기보다 ‘발전’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할 때, 우리는 더 열린 마음으로 다양한 가능성을 탐구하게 된다는 것이다. 열정이 정해져 있다고 생각하면 내가 생각하는 내 관심사라는 좁은 틀에 갇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대응하는 지도를 얼굴에 그릴 수 있었고 얼마 뒤 팔죽지에서 두 번째 환상 손 지도를
발견
했다. 이에 대해 라마찬드란은 체감각피질의 손의 영역 바로 위에 팔죽지를 맡은 영역이, 바로 아래에 얼굴을 담당하는 영역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이 사람은 웃음을 짓거나 입술을 움직일 때마다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