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른쪽"(으)로 총 1,4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활] 1000년의 역사 앙코르 와트 신화 속으로 떠난 신비한 숫자 여행수학동아 l201506
- 보았던 ‘우유 바다 젓기’ 신화입니다. 그런데 정문을 바라보고 왼쪽에 있는 신과 오른쪽에 있는 아수라의 수를 세어 보면 그 수가 54개로 같습니다. 신과 아수라의 수를 합하면 108이지요. 108은 힌두교나 불교 심지어는 다른 종교에서도 매우 신성시하는 수입니다. 이렇게 신성한 108명의 신과 ... ...
- 사이버 인질범, 랜섬웨어에겐 OO이 답!과학동아 l201506
- 더 안전하게 메시지를 보호할 수 있다. 랜섬웨어가 이용하는 RSA 알고리듬은 비대칭키다 (오른쪽 그림참고). 랜섬웨어에 의해 암호화된 문서 를 살리려면 반드시 해커가 보내주는 비밀키가 있어야 한다. 랜섬웨어엔 '백업'이 약해결책은 결국 해커에게 돈을 보내는 방법뿐인 걸까. 이에 대해 ... ...
- 그 여자, 그 남자의 사정 [1]과학동아 l201506
- 눈에 적외선 시선 추적기를 달고 메뉴판을 보게 했더니 그냥 책 읽는 것처럼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읽었다더군요. 물론 이 실험 결과도 또 다른 연구에 뒤집힐 수 있겠지만." 아…, 그렇구나. 아는 척 하려다가 되려 틀렸다는 것만 알았다. 무안하긴 했지만, 그래도 황홀했다. 하정우가 ... ...
- [Life & Tech] 100년을 속인 가짜 혀 지도과학동아 l201505
- 실려 있었답니다.혀에서 가장 민감한 곳그렇다면 최신 혀 지도는 어떻게 생겼을까요. 오른쪽 위에 있는 그림입니다. 단맛은 혀끝에서, 쓴맛은 혀끝에서, 짠맛은 혀끝에서…, 엥? 모두 혀끝에서 느끼네요. 그러고 보니 각 맛을 느끼는 부위는 모두 비슷합니다. 혀끝에서 모든 맛을 ‘세게’ 느끼고, 양 ... ...
- 이제 나도 게임 프로그래머!수학동아 l201505
- 위아래로만 움직이는데도 앞으로 날아가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바닥 액터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움직이기 때문이. 오 교수는 “게임을 만드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관찰력”이라며, “게임을 그냥 하지 말고 찬찬히 뜯어보는 습관을 들이면, 게임이 어떤 논리적인 체계로 만들어졌는지 스스로 ... ...
- [Life & Tech] 너는 나의 봄이다과학동아 l201505
- 때문입니다.미신을 현실로 만드는 피그말리온덕수궁을 나온 소년과 소녀는 대한문 오른쪽, 정동길로 들어섭니다. 바로 덕수궁 돌담길입니다. 싱글벙글한 소년과 달리 소녀의 얼굴에서 웃음기가 사라졌네요. “덕수궁 돌담길 미신 몰라? 연인이 여기 같이 걸으면 헤어진다고. 나랑 제일 친한 친구가 ... ...
- PART 1. 토요일 토요일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505
- 영어 자판을 효율적으로 만들려면 가장 많이 쓰는 글자 중 하나인 ‘a’ 같은 알파벳은 오른쪽으로 옮겨야겠지만, 이 자판은 계속 쓰이고 있다. 더 편하고 효율적인 기술규격이 나온다고 하더라도 과거 기술에 익숙한 기존 사용자들은 이를 거부하기 때문이다.아날로그 시대에 살던 사람들도 ... ...
- [수학뉴스] 눈맞춤 기술로 자연스러운 셀카수학동아 l201505
- 모습은 그대로 두고 사진의 일부만 변형하는 기술입니다. 컴퓨터는 사람의 왼쪽과 오른쪽 모습을 찍은 사진을 각각 3차원 데이터로 인식한 뒤, 두 사진의 대응점을 찾아 한 장의 사진으로 만듭니다.사진을 한 장으로 처리한 뒤에도 점과 선이 끊어지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처리하는 과정에서 바로 ... ...
- Part 3. 강함을 배운다과학동아 l201505
- 세워 공기저항을 최소화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같은 원리로 왼쪽으로 비행할 땐 오른쪽 날개의 깃털을 눕히고 왼쪽 날개 깃털을 세워 힘을 받는다). 새는 날개 뼈도 유연하게 움직였다. 날개를 내릴 땐 날개를 최대한 옆으로 길게 뻗고, 올릴 땐 어깨를 접었다. 비행기가 엔진, 상승키, 하강키, 좌우 ... ...
- 치키노사우루스 가능할까? 동물 복원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505
- 나와요. 그런데 최근 고생물학자들은 벨로키랍토르를 독수리만 한 크기에 온몸이 칠면조(오른쪽 사진)처럼 커다란 깃털로 뒤덮여 있는 모습으로 복원했어요. 그 이유는 지난 2007년 미국 자연사박물관의 앨런 터너 박사가 몽골 고비사막에서 발굴한 벨로키랍토르의 팔 화석에서 작은 돌기들을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