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착오
잘못
착류
균차
d라이브러리
"
오차
"(으)로 총 63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끝없는 달력의 도전
수학동아
l
200912
이제 마지막으로 둘러볼 곳은 연구 부서입니다. 좋은 달력을 만들기 위해서 끊임없는 연구개발이 필수죠.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그레고리력 ... 다른 생각을 해 보세요. 더 나은 달력을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자연을 관찰하고 계산해
오차
를 수정해 온 사람들의 노력을 느낄 수 있을거예요~ ... ...
떠다니는 과학 실험실 아라온 호, 남극 간다
과학동아
l
200912
측정하는 중력계실도 있다. 고위도로 올라가면서 작아지는 중력을 측정하기 위한 곳으로
오차
를 줄이기 위해 배의 흔들림이 가장 적은 한가운데 자리 잡았다.아라온 호는 극지의 해양생물과 지질, 기후변화를 연구할 수 있도록 100여 종의 첨단 장비를 갖췄다. 다중채널 탄성파 장비는 에어건에 ... ...
볼펜 한 자루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12
만들고 얇은 틈 사이에 넣고 굴리면 표면이 마모되면서 매끄러운 구가 된다. 볼 지름의
오차
는 0.1% 이내로 유지해야 하므로 볼이 작을수록 더 높은 정밀도가 필요하다.한편 볼펜을 쓸 때 볼에서 나온 잉크가 종이로 100% 옮겨지지 않고 볼 주변에 조금씩 쌓이는데, 어느 정도 이상 커지면 글씨를 쓸 때 ... ...
[수학의 위대한 발견] 별난 수, 소수의 발견
수학동아
l
200912
계산해 지구 전체의 둘레를 구했다. 비록 당시의 측정법이 지금과 달리 정확하지 않아
오차
가 많지만, 최초로 지구 둘레를 계산해 보았다는 점만은 대단하다.수학자는 더욱 더 큰 소수를 꿈꾼다 수학의 한 분야인 정수론을 연구하는 수학자의 꿈은 끝없이 소수를 찾을 수 있는 함수를 발견하는 ... ...
초고층 빌딩엔 초고속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912
더블데크 방식은 한 번에 두 층에 정확히 멈추려면 건물 전체의 층 간격이 한 치의
오차
도 없이 일정해야 한다.최근에 개발된 ‘슈퍼 더블데크’ 방식은 이런 단점을 보완해 카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심지어 승강로 하나에 카 2개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트윈 엘리베이터도 있다. ... ...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와 근삿값
과학동아
l
200912
맨 끝자리 단위 값의 1/2이다. 또 측정값은 반올림해 얻은 근삿값이므로 측정값의
오차
한계는 측정 계기의 최소 눈금의 1/2이다근삿값에서 50과 100은 십의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100으로 같다. 즉 작게 보면 차이가 있지만 크게 보면 별반 차이가 없다. 하지만 수학 공부에서 오십 보와 백 보는 엄청난 ... ...
소리의 속력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12
크기 않다. 원통의 길이를 측정할 때와 시간간격을 구하는 두 지점 측정시 발생하는
오차
를 감안하면 이 방법을 이용한 소리의 속력 구하기는 간단하고 유용한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 ...
Part 1. 달력의 생명은 정확도!
수학동아
l
200912
방법이 조금 더 복잡합니다.4일 다음이 15일?율리우스력은 1600년이 넘게 쓰이는 동안
오차
가 많이 쌓여 실제 날짜와 계산한 날짜가 다르게 되었다. 율리우스력의 읠년인 365.25일과 실제 일 년인 365.2422일의 차이는 0.0078일이지만 1600년 정도 쌓이면 0.0078×1600=12.48이므로 열흘이 넘게 달라진다. 그래서 ... ...
제4회 청소년 표준올림피아드
과학동아
l
200911
사더라도 기존 면도기에 끼워 사용할 수 있다는 의견을 냈다.이외에도 신발을 살 때
오차
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발 길이와 볼 너비뿐 아니라 발바닥의 모양을 그려 넣자든가 지역이나 버스회사, 정류소마다 다르게 생긴 버스 노선 안내도를 통일하자는 아이디어가 나왔다. 매운 음식을 고를 때 매운 ... ...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
과학동아
l
200911
배와 탐사장비 사이의 거리와 방향을 파악한다. 둘 사이의 거리가 2000m 떨어져 있을 경우
오차
는 6m 정도다. 박쥐가 동굴 벽에 반사된 초음파가 두 귀에 도달하는 차이를 이용해 위치 정보를 얻는 것과 같은 원리다.김 박사는 “이전 탐사에서는 배가 지나가다 해저 카메라로 흥미로운 영상을 찍어도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