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의심
물음
의혹
문제
질의
앙케트
d라이브러리
"
의문
"(으)로 총 1,356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나로호 2025년 달을 쏜다
과학동아
l
201211
즉 이번 나로호가 발사에 성공한다고 해서 우리 우주 로켓 기술에 어떤 도움이 될까 하는
의문
을 품는다. 실제로 1, 2차 발사 실패와 한·러간 책임 공방을 두고 ‘굴욕적 협력’을 했다는 지적도 잇따랐다. 그러나 한국형 우주발사체 개발과 평생을 함께 한 채연석 항공우주연구원 연구위원은 3차 ... ...
화학상 - 응급실에서 들은 ‘세포의 대화’
과학동아
l
201211
GPCR의 세포 내 신호를 전달하는 고리형아데노신일인산(cAMP)이었다.응급실에서 시작된
의문
의 GPCR 구조사실 구아닌 수용체의 존재는 1960년 이후부터 예견됐으며, 인체의 생존에 꼭 필요한 센서 역할을 하리라는 사실까지도 막연하나마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세포가 어떤 방식으로 외부 자극을 ... ...
GMO 안전성에 빨간 불?
과학동아
l
201211
의미가 있다는 암시다. ‘장기 투여 연구가 음식의 안전성을 연구하는 데 적합한지
의문
’이라는 학계의 반론도 함께 소개했다. 생물(이번 연구에서는 쥐)에게 직접 투여해 안전성을 확인하는 방법은 화학물질의 규제 기준을 만들기 위해 하는 실험으로, 음식과 같이 불균질하고 조절하기 어려운 ... ...
Part 2. 유기농
과학동아
l
201211
있다. “그럼 우리는 영양적으로 뚜렷한 장점이 없는 식품을 비싸게 먹고 있다는 건가?”
의문
2 맛도 덜하고 크기도 작고 벌레 먹어야 유기농?“유기농을 영양 때문에 선택하는 사람은 없지 않을까요?”㈜산들의 임현수 대표는 연구 결과가 불만이다. 산들은 시아노박테리아(남세균 또는 남조류) 등 ... ...
암흑물질 3파전
과학동아
l
201210
한다. 하지만 한 개도 성공하지 못 했다. 따라서 초대칭 입자가 과연 존재하느냐는
의문
이 나온다. 일부 물리학자들은 이미 ‘초대칭이론은 끝났다’고 공공연히 이야기한다. 초대칭이론이 폐기되면 자연스럽게 윔프도 설 자리를 잃는다.윔프 외에 다른 후보 입자가 여럿 있다. 윔프보다 가벼운 ... ...
쓰레기 DNA 역할 찾았다
과학동아
l
201210
중 생명활동과 관련된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가 2%에불과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의문
을 품은 각국 442명의 과학자들은 새로운 프로젝트팀을 구성해 나머지 98% DNA(쓰레기 DNA)의 기능을찾는 연구를 시작했다. 그 결과, 400만 개의 ‘스위치’를 새롭게 발견했다. 유전자가 작동하도록 켜거나 끄는 ... ...
오늘의 날씨를 말씀드리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210
얻었습니다. 하지만 씨를 뿌리지 않아도 바람이 자연적으로 감소하지 않았을까 하는
의문
이 있죠. 최근에는 폭탄을 이용해서 태풍을 파괴하거나 햇빛을 차단해 바닷물의 온도를 낮춰 태풍의 세력을 약화시키는 방법도 나왔습니다.그런데 정말 태풍은 없어져도 좋은 것일까요? 지구는 고위도와 ... ...
목표 없이 멈추거나, 휩쓸리거나
과학동아
l
201210
B학생은 이과성향임에도 불구하고 왜 문과가 유명한 자사고와 외국어고를 지원했는지
의문
이었다. 상담 선생님은 왜 그 학교들에 지원했는지 물었다. 가장 큰 이유는 부모님과 학교의 결정이었다. 당시 B학생이 다니던 학교에 상담을 하러 갔던 학생의 어머니는 학교에서 외국어고로 분위기를 ... ...
[knowledge] 백설공주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09
하지만 피부와 관련한 미스터리는 다 풀린 게 아닙니다. 오히려 복잡하고 다양한
의문
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나오기 시작했습니다.알고보면 인류는 ‘솜털’복숭이포유류가 털을 가진 것은 몸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털은 치명적일 수도 있는 자외선과 주변의 나뭇가지, 기상현상 ... ...
'녹조라떼'위기! 4대강이 원인일까
과학동아
l
201209
강 길이의 약 80%가 사실상 호수”라며 “사실상 흐름이 정지돼 있다”고 말했다.시기도
의문
이다. 공교롭게도 4대강 공사 완료 시점(작년 10월 말)직후다. 보 역시 댐과 마찬가지로 물을 가두는 시설로 체류시간을 늘린다. 여러 연구자들이 4대강 보가 이번 녹조의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하는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