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페이퍼
용지
제지
벽지
통제
지폐
돈
d라이브러리
"
종이
"(으)로 총 1,987건 검색되었습니다.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
과학동아
l
201511
독소를 공급하는 분비선이 확인된 것이다. 독을 가진 도마뱀의 종류가 2종에서 100
종이
상으로 늘어났다. 또 뱀이 도마뱀 시절부터 독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일부 과학자들은 왕도마뱀류와 이구아나류, 그리고 뱀을 묶어서 ‘독을 가진 자들’이란 뜻을 가진 고대 그리스어 ... ...
바이러스도 ‘생명의 나무’에 그려 달라!
과학동아
l
201511
모든 생명체의 진화계통을 정리한 표로, 지금까지 바이러스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종이
워낙 다양하고 유전자 변이가 잦아 염기서열을 토대로 계통발생분석을 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구스타보 교수팀은 쉽게 변하는 염기서열 대신, 잘 변하지 않는 단백질 접힘 구조를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을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
과학동아
l
201510
우리의 곤충연구 역사는 60여 년에 불과하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곤충은 약 1만4000여
종이
밝혀졌지만 아직도 발견하지 못해 이름을 붙이지 못한 곤충들이 무수히 많다.앞으로 파브르처럼 신비로운 곤충에 흠뻑 빠진 미래 세대의 주인공들이 대한민국의 특별한 곤충에 관심을 갖고 관찰하여 ... ...
다람쥐 VS 청설모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0
매우 닮았지만 서로
종이
다른 친척이에요. 영어로 ‘스쿼럴(squirrel)’이라고 부르는
종이
바로 청설모예요. 반면 다람쥐는 ‘칩멍크(chipmunk)’라고 부른답니다 ... ...
깨끗한 수돗물이 퐁퐁~! K-water 성남 정수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0
박사님을 따라 콜라에 활성탄을 넣었어요. 그리고 먹물처럼 까맣게 변한 콜라를 거름
종이
에 부었지요. 잠시 뒤 비커에 투명한 물만 흘러 내려오자 ‘우와~’ 하는 탄성이 나왔어요. 콜라가 생수로 변신한 것 같았거든요. 이건 바로 활성탄 때문이래요. 활성탄 표면에는 달처럼 움푹 패인 구멍이 ... ...
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
수학동아
l
201510
있다. 이런 성질을 ‘탄성’이라고 한다. 두 교수는 나노 입자만큼 미세한 수준에서 보면
종이
띠가 휘면서 그 지점에 탄성 에너지가 쌓인다고 설명했다. 많이 휜 부분일수록 에너지가 더 많이 쌓인다. 만약 띠의 길이와 너비의 비율이 달라지면 띠의 곳곳에 에너지가 쌓인 정도도 달라진다. 띠의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10
거미연구회 회원 두 명이 완도의 여서도에서 발견해 작년에 발표한 어리여치 신
종이
에요. 호랑이를 닮아서 범어리여치라는 이름이 붙었어요.” 말이 점점 빨라졌다. 속기를 하는 손가락이 전속력으로 내달렸다.논문 다음은 홈페이지였다. 국내에는 어리여치를 연구하는 사람이 거의 없으므로 건혁 ... ...
[Hot Issue] 막 먹은 영혜씨, 8주간 유전자 다이어트를 체험하다!
과학동아
l
201510
사람은 한달 동안 무려 6kg이 빠졌다고 했다. 그런데 왜!9월 4일 질문이 빼곡이 적힌 A4
종이
3장을 들고 제노플랜 본사를 찾아갔다. 김정민 제노플랜 연구소장은 분노한 기자에게 “SNP 분석은 예측일 뿐, 진단이 아니다”라고 차근차근 설명했다. 한 마디로 확률이라는 것이다. 운동선수들이 많이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
과학동아
l
201510
현생인류가 아니라 우리와 별개의
종이
며, 드마니시의 화석은 초기 호모 속과 별개의
종이
다. 또 초기 호모 속 후보로 꼽히던 리 버거 교수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는 우리의 직계 조상이 된다. 이상희 교수는 “호모 하빌리스가 아시아로 확산해 거기에서 호모 에렉투스와 플로레시엔시스 ... ...
Part 1. 의심스러운 토대 위에 싹트다
과학동아
l
201509
기하학으로 한정돼 있던 수학의 범위를 대수학으로 확장했다. 이전까지 수학자들은
종이
에 삼각형을 그려놓고 연구했는데, 이제 원과 곡선을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좌표를 이용해 더 복잡하고 다양한 연구를 할 수 있게 됐다. 따로 발전하던 기하학과 대수학은 서로 경계를 넘나들며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