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푸른곰팡이
푸른곰
팡이
곰팡이
곰팽이
초록
녹색
d라이브러리
"
푸른
"(으)로 총 642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산 쇠고기 파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했을까
과학동아
l
200910
되기 위한 노하우를 전한다.식탁 위의 생명공학농업생명공학기술바로알기협회 지음 |
푸른
길 | 192쪽 | 1만 3000원몇 해 전부터 GMO식품에 대한 알 수 없는 불안감이 퍼지며 생명공학에 대한 반감도 커졌다. 이 책은 생명공학이 우리가 먹는 음식에 얼마나 많은 기여를 하고 있는지 설명하며 과학기술 그 ... ...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
과학동아
l
200910
특히 이 시의 마지막 행을 읽으면 ‘소리가 눈에 보인다’. “분수(噴水)처럼 흩어지는
푸른
종소리.” 소리가 색깔을 띠거나 분수처럼 흩어질 수 있는 건 문학작품에서나 가능한 일일까.마음만 먹으면 소리를 눈에 보이게 만들거나 움직임을 귀에 들리도록 만들 수 있는 사람이 있다. 바로 상명대 ... ...
깨처럼 고소한 물고기
과학동아
l
200909
넣어 듬성듬성한 크기로 썰어달라 하자바다는 떼지어 헤엄치는 전어들로 하여
푸른
은빛으로 빛나고그 바다를 그냥 떠와서 풀어놓으면 푸드득거리는 은빛 전어들뼛속까지 스며드는 가을을 어찌하지 못해 속살 불그스레 익어제 몸 가득 서 말의 깨를 담고 찾아올 것이니조선 콩 된장에 푹 찍어 가을 ... ...
일본 작가 카가야가 그린 밤하늘 판타지
과학동아
l
200908
블루(madonna blue)’를 결코 잊을 수 없습니다.”마돈나 블루란 성모 마리아가 입은
푸른
색 의상의 빛깔이다. 카가야가 ‘마돈나 블루(madonna blue)’로 이름지은 이 작품은 밤하늘과 자연의 신성함에 대한 그의 깊은 감동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카가야의 지인인 시인 미호는 이 작품을 보고 같은 ... ...
별빛 끝에는 무엇이 있는가
과학동아
l
200906
과학자 칼 세이건은 보이저 1호가 보내 온 사진 속의 작은 먼지를 가리켜 ‘창백한
푸른
점’(the pale blue dot)이라 불렀다. 그는 태양계의 가족사진이 지닌 미학적 가치를 이렇게 설명한다. 지구는 광대한 우주의 무대 속에서 하나의 극히 작은 무대에 지나지 않는다. 이 조그만 점의 한 구석에서 일시적 ... ...
아날로그에 디지털 입혀 증강현실 창조한다
과학동아
l
200906
이런 일이 실제로 벌어진다.문화콘텐츠기술연구소 문을 열고 들어가니 책상 위에는
푸른
들판이 그려진 그림책 한 권이 펼쳐져 있고 스탠드식 소형 카메라가 그림책을 촬영하고 있다. 썰렁한 그림책에 실망하려는 순간, 저게 뭐지? 모니터를 보니 3차원 동물들이 그림책 위를 어슬렁어슬렁 ... ...
동물원 역사는 동물이 행복해지는 역사
과학동아
l
200905
노천명은 5월을 ‘계절의 여왕’이라고 말했다. 그의 시 ‘
푸른
오월’에서다. 도시에서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공간인 동물원이 5월에 유난히 붐비는 것도 같은 이치다. 겨우내 움츠러들었던 온갖 동물이 어깨를 펴고 뛰노는 모습은 일상에 지친 현대인의 정서를 달래는 특효약이다.하지만 ... ...
투명하게 빛나는 LED 사인보드 ‘루미시스’
과학동아
l
200905
팬시용품유리처럼 투명한 플라스틱판을 ‘수놓은’ 발광다이오드(LED) 전구에서 나온
푸른
빛이 은은하게 퍼진다. 그런데 어찌된 일일까. 전구에 연결된 전선이 보이질 않는다. 눈에 보이진 않지만 수십 μm 크기(마이크로미터, 1μm=10-6m)의 초미세회로(패턴)가 LED 전구에 전원을 공급하고 있기 ... ...
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
과학동아
l
200904
이 박테리아를 포획해 세포내소기관인 엽록체로 만든 진핵생물이 식물로 진화해 오늘날
푸른
지구를 만들었다. 멋진 시나리오이기는 하지만 증명하기는 어려울 거라고 생각했던 이 가정이 실제 사건이었음을 강력히 지지하는 현상들이 속속 발견되고 있다. 광합성 능력을 얻기 위한 생명체들의 ... ...
먼지 따라 떠나는 지구과학 여행
과학동아
l
200904
영원히 무생물의 행성이 됐을 것이다.햇빛 속에 떠다니는 먼지 같은 지구, 즉 창백한
푸른
점을 바라보노라면 우리가 아는 유일한 고향을 소중히 다뤄야 한다는 책임감이 들지 않는가.손영운 작가는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를 졸업하고 중·고등학교 과학교사와 과학영재교육 전문가로 오랫동안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