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념
자신
소신
견해
의견
신뢰
학설
d라이브러리
"
확신
"(으)로 총 70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이 앓기 쉬운 5가지 마음병
과학동아
l
201010
객관적으로 인정하도록 돕고, 더 이상 비슷한 일이나 관련된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란
확신
을 줘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범인을 검거하는 데 열중해 피해자를 여러 차례 심문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1▼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국인이 앓기 쉬운 5가지 마음병내 옆에 있는 두 ... ...
최초의 과학 찾아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1010
그에 따른 과학의 발달을 들 수 있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진공 상태가 불가능하다고
확신
했다. 하지만 17세기 들어 진공이 발견됐고, 그 속성이 구체적으로 탐구됐다. 진공을 활용하면 여러 가지 편리한 물건을 만들 수 있음을 직감한 과학자들은 18세기에는 증기기관을, 19세기에는 음극관을 ... ...
지구가 뿔났다? 아이슬란드 화산 대폭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0
깨졌을 가능성이 커요. 아이슬란드 정부에서는 ‘카틀라’ 화산도 곧 폭발할 것으로
확신
하고 있답니다." 윤성효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교수) ▲ 아이슬란드 기후연구소에 따르면, 최근 들어 ‘카틀라’ 화산에서 규모 3 이하의 지진이 자주 일어나고 있다. 화산 폭발 전에는 지진이 많이 ... ...
하늘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10
~5%씩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산화탄소의 효과가 열권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고
확신
을 갖기에는 부족했다.미 국가대기연구센터(NCAR)의 ‘열권-이온권 전기역학적 대순환 모델’로 1996년과 2008년 태양 에너지 강도의 효과를 봤을 때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태양의 영향으로 2008년 열권의 ...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
과학동아
l
201010
방법은 성공할 수 없다고 주장해 기운이 많이 빠졌다”고 털어놨다. 하지만 무언가 ‘
확신
’이 있었던 장 교수는 실험을 포기하지 않았다. 실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조건을 하나하나 검토하고 조정했다. 결국 앞선 연구팀은 유화제를 잘못 선택하고 합성 기술이 능숙하지 못해 실패했음을 ... ...
왼손잡이에 대한 또다른 발견
과학동아
l
201009
허 생원과 동이가 왼손잡이라는 점은 둘이 부자지간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나타내지만
확신
을 주지는 못한다. 소설 속에서 ‘왼손잡이’라는 장치는 이야기의 개연성을 확보하고 미학적 요소를 채우는 데 기여한다. 그러나 과학에서 왼손잡이는 유전자가 만들어내는 통계와 확률의 결과다. 이 ... ...
1992년 사무엘 웨이스 박사의 성체 신경세포 생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09
그러나 웨이스 교수는 이런 결과가 뇌세포 덩어리에 포함돼 있는 줄기세포 때문이라고
확신
하고 그 뒤 신경줄기세포 연구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이 연구가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 같은 퇴행성 뇌질환을 치료하는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실제 성체 포유류의 뇌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08
“아저씨, 근데 정말 과거나 미래로 갈 수 있긴 한 거예요?”“물론이지.”장도사는
확신
에 찬 목소리로 말하더니, 계단을 내려가기 시작했다. 지오도 잰걸음으로 장도사를 따랐다.지오에게서 연월기의 정체는 마치 어둠에 숨은 달빛 같았다. 지오는 연월기에 대해 알듯하다가도 이내 고개를 ... ...
대결! 위기의 지구를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8
비밀 요원들이 아주 많아요. 당신도 이 요원들처럼 멋진 활동을 할 수 있을 거라 저는
확신
합니다!지구를 지키는 또 다른 방법수백만 그루의 나무를 심은 초등학생독일에 사는 펠릭스 핑크바이너 친구는 당신과 같은 초등학생이에요. 지금부터 3년 반 정도 전인 2006년, 지구와 환경을 위해 독일에 10 ... ...
1994년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의 렙틴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008
있었다. 따라서 ob 유전자가 지방조직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을 암호화하고 있을 거란
확신
이 있었다. 실제로 렙틴은 지방조직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라는 사실이 밝혀졌고 지방조직이 커질수록 렙틴의 수치도 올라갔다. 비만으로 지방을 저장하는 지방 세포가 커질수록 “이제 그만 먹어!”라고 하는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