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카톨릭
천주교
캐톨릭
캐돌릭
구교
카톨릭교
성당
d라이브러리
"
가톨릭
"(으)로 총 235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에틱스, 마침내 수면 위로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이용한 치료는 사회가 공유한 생과 사의 개념에도 문제를 일으키기 시작했다.지난 69년
가톨릭
의대 이용각 교수(외과)팀이 처음으로 신장이식 수술을 성공시킨 이래 지금까지 1천여명 가까이 이같은 수술을 받은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산하고 있다.현재 국내의 신장이식수술 성공률은 신장이 1년간 ... ...
무더위와 피부관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화장품 옻나무 머리염색약 니켈 크롬 고무화합물 등이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킨다.어느덧 후덥지근하면서 땀이 나는 계절이 성큼 다가왔다. 우리나라 여름철은 유난히도 뙤약볕이 쨍쨍 내리면서 습도가 높다. 그러므로 햇볕 땀 습도 등으로 인해 피부가 손상을 많이 받게 된다.여름철에 흔히 생길 ... ...
알칼리성 이온음료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잘못된 인식과 소비심리를 이용, 이에 호소하는 상업적 논리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가톨릭
의대 김명석 교수(생리학)에 따르면 “식품이나 음료수 등 인위적인 방법으로 혈액의 산소를 바꾼다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혈액 임파액 조직액 등 체액에는‘완충작용’이 있어 외부에서 산이나 알칼리성분이 ... ...
왜 아픈가?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엔돌핀의 발견은 통증의 연구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아무튼 '이상구신드롬'이 한반도를 떠들썩하게 하고 있다. 소위 '이상구론'의 요체는 엔돌핀과 T림프구로 압축되는데 특히 '사랑의 호르몬'으로도 불리우는 엔돌핀은 대중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 엔돌핀이 통증과 깊은 관련 ... ...
오랜 전쟁에 시달리다 통일된 나라 베트남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거리를 지나간다. 동호이는 베트남전쟁이 끝났을 때 깨어진 벽돌과 콘크리트더미 사이에
가톨릭
성당의 정문만이 남아 있었던 곳이다.21년동안 '17도선'이라고 불렀던 경계선 벤하이강을 건너면 소위 남쪽 베트남이다. 쾅트리성채는 완전히 파괴되어 지금도 가끔 불발탄 희생자가 생긴다 한다. 이곳을 ... ...
마인드 컨트롤인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특히 꿈 조절법을 통해 놀라운 지혜를 얻을 때가 종종 있다고 한다.우리나라는 1973년초
가톨릭
살레지회 소속 '알프레도 모레노'신부가 처음으로 마인드 컨트롤을 소개한 이래 많은 곳에서 마인드 컨트롤 비슷한 것을 가르치고 있다. 국제 실바 마인드컨트롤협회와 정식으로 계약을 맺고 있는 곳도 ... ...
AIDS보다 무서운 질병 유행성출혈열과의 한판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나는 좌장으로 주도권을 잡고 회의를 진행하였는데 우리나라 대표로는 전염병전문가인
가톨릭
의대 전종휘교수도 있었다.그러나 병의 이름을 통일한다는 것은 그리 간단한 일이 아니었다. 여러 이름들을 놓고 20여명의 학자들이 하루종일 거론한 결과, 세계 각국의 모든 학자들이 부담없이 사용할 ... ...
초음파로 백내장의 핵을 부순다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사실이
가톨릭
의대 안과 교실 이상욱박사팀에 의해 드러났다.83년 4월부터 87년 말까지
가톨릭
의대 여의도성모병원을 찾은 환자 6백2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별표와 같은 통계를 얻은 것이다.백내장은 40대 이후에게 흔히 나타나는 대표적인 안과 질환으로 미국에서는 작년 한 해만도 ... ...
파킨슨씨병, 부신수질이식술로 치료에 성공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시도되고 있다. 자기부신피질 이식술로 알려진 조직이식술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가톨릭
의대 신경외과 최창락교수팀과 연세대의대 신경외과 정상섭교수팀에 의해 각각 수행된 것.아직 수술의 효과를 판정할 단계는 아니지만 "대체로 성공적"이라는 것이 관계자들의 얘기다.파킨슨씨병은 중뇌의 ... ...
청소년·부모 모두 알아두자 자살의 속사정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최근 우리주변에서는 충격적인 사건들이 잇달아 일어났다. 청소년의 자살사건이 연일 신문에 보도된 것이다. 그 자살의 동기는 이러했다. 첫째가 성적하락을 비관한 중고생의 자살이며, 둘째가 학생운동과 관련된 대학생들의 분신, 투신 자살이었다. 왜 꽃다운 나이의 인생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어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