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각도"(으)로 총 1,5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체험실] 연필 한 타로 만드는 폴리링크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속이 빈 정삼각형 4개로 이뤄진 정사면체 폴리링크가 있다. 정사면체의 모든 면을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시켜 만들 수 있는 이 구조물은 속이 빈 정삼각형들이 서로 맞물려 있어 단단히 고정된 구조를 만든다. 정사면체 폴리링크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막대의 수는 정사면체의 모서리 개수인 6개가 ... ...
- [과학동아 X 긱블] 물수제비 기계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관절, 그리고 손목 관절이죠.잭키 님은 어깨 관절과 팔꿈치 관절이 결정하는 팔 전체의 각도를 상하 조정 장치와 좌우 조정 장치 둘로 나눠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손목 관절과 비슷하게 돌멩이의 입사각을 조정하는 부위도 따로 만들었죠. 이들 장치는 레이저 가공을 의뢰해 주문 제작한 뒤, ... ...
- [화보] 유기젤 레시피...무생물에 숨을 불어넣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gel)로 생명체의 모습을 구현했다. 작품 내부에서 발산되는 신비로운 빛을 포착하기 위해 각도에 따라 빛을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는 편광필터로 사진을 촬영했다. 그렇게 세상 어디에도 없는 작품이 ... ...
- 지구 떠난 지 8개월 천리안 2B호가 보낸 영상 편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별이 있어야 할 위치 데이터와 비교해 탑재체가 인식하고 있는 각도와 실제 바라보는 각도의 오차를 추정했다.그 다음 지구로 고개를 돌려 지상과 바다를 촬영했다. 해양탑재체의 경우 촬영한 해안선과 실제 해안선의 위치를 비교해 최종 기하보정이 이뤄진다. 목표 지역을 12구역으로 나눠 찍는 ... ...
- IT 기술 총집합 방구석 패션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겹쳐 보여준다.모델이 무대 장치가 없는 런웨이를 걸으면 움직이는 카메라가 다양한 각도에서 영상을 촬영한다. 그러면 이 영상 위에 게임 엔진 ‘유니티’를 이용해 만든 가상의 교실과 체육공원 그리고 수영장이 나타난다. 옷의 디자인에 맞는 공간을 무대 장치 없이 표현한 것이다. 이렇게 꾸민 AR ... ...
- [수학뉴스] 격자를 구부리는 수학적 마법수학동아 l2020년 10호
- 무시알스키 시각컴퓨팅 및 인간중심기술연구소 교수팀은 미분기하학 개념을 적용해 각도에 따라 격자 모양의 구조물이 어떻게 변하는지 구하는 식을 만들었습니다. 그런 다음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해서 실제로 만든 구조물과 비교했죠. 그 결과 실제 모양과 계산된 모양이 일치한다는 것을 ... ...
- [탐험대학]코로나19도 우리를 막을 수 없다! 한여름의 로켓 탐험기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앞으로 로켓 탐험에서 하게 될 미션은? 이번 탐험을 통해 탐험가들은 일정한 길이와 각도에 맞춰서 로켓 부품을 조립하는 데까지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멈춘다면 ‘로켓 탐험’이라고 볼 수 없죠. 학생들은 직접 만든 로켓을 멘토의 지도를 받아 쏘아 올릴 예정입니다. 로켓을 날릴 때는 ... ...
- [기초과학의 힘, IBS] 나노입자 연구단, 원자 수준으로 관찰하는 나노입자의 3D 증명사진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단층 촬영도 나노입자 분야에선 활용하기가 어렵다. 전자 단층 촬영은 한 시료를 여러 각도에서 찍어 시료의 구조를 한 번에 포착한 뒤 3차원으로 구현한다. 단 전자 단층 촬영은 시료가 진공 상태에 놓여있을 때만 촬영할 수 있다. 진공 환경은 나노입자가 실제로 존재하는 환경이 아니므로 ... ...
- [기획] 장난감의 변신! 다양성의 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고정관념이 담겨 있다는 사실, 알고 있니? 장난감에 깃든 편견을 날려버리고, 다양한 각도에서 세상을 볼 수 있도록 노력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지금 들려줄게! 고정관념과 맞서 싸우는 장난감바비 인형을 떠올려 보세요. 금발에 잘록한 허리, 흰 피부에 긴 다리, 분홍색 원피스를 입은 모습이 ... ...
- [매스크래프트] #9. 부산의 광안대교 현수교의 곡선은 현수선일까,포물선일까?수학동아 l2020년 09호
- 개의 새로운 과학’에서 현수선은 포물선에 가깝다고 주장했어요. 지면과 곡선이 이루는 각도가 45° 미만일 때 곡선이 많이 휘지 않을수록 포물선에 가까워진다고 이야기했죠. 하지만 독일의 수학자 요아힘 융기우스가 현수선은 포물선이 아니라는 사실을 밝혔어요. 1691년 스위스의 수학자 요한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