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광선"(으)로 총 1,043건 검색되었습니다.
-
- 양띠 독자가 나섰다! 양의 비밀을 밝혀낼 거양!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피부색은 몸에 있는 색소인 멜라닌의 농도에 따라 결정돼요. 멜라닌은 자외선과 가시광선을 잘 흡수하기 때문에 이 색소가 많을수록 털이나 피부색이 어둡지요. 멜라닌은 크게 검거나 갈색을 띠는 ‘유멜라닌’과 붉은색을 내는 ‘페오멜라닌’으로 나뉘어요. 이 둘이 조합해 낼 수 있는 색인 ... ...
-
- 色시한 과학 色시한 라이프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원추세포 중 가장 긴 파장을 감지하는 L세포에 문제가 생긴 경우입니다. 빨간 가시광선을 흡수하는 L세포가 반응하는 파장이 M세포쪽으로 옮겨 가거나(적색약), 아예 없어져(적색맹) 빨간색을 잘 볼 수 없습니다.이 원리를 이용해 색채 과학자들은 색각이상자의 관측자 함수를 만들어 이들이 보는 ... ...
-
- [과학뉴스] 7000광년 밖 별의 요람이 눈앞에!과학동아 l2015년 02호
- ESA)는 허블우주망원경 25주년을 기념해 더 선명한 사진을 찍어 공개했다.가시광선으로 찍은 사진은 이전보다 선명하고 넓다(오른쪽). 적외선으로 찍은 사진도 공개했는데, 더 많은 별이 보이고, 기둥 주변의 빛도 보다 선명하다(아래). NASA는 별의 일생 중 극히 잠깐인, 눈 깜빡할 순간의 모습이라고 ... ...
-
- [Hot Issue] 상공 528km, 한반도에 ‘밤눈’이 생기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생략한 걸까. 그건 아니다. 아리랑 위성은 각각 용도가 다르다. 1, 2, 3호는 모두 가시광선 사진을 찍는다. 해상도는 점점 높아졌다. 1999년부터 3호까지 6.6m급 해상도가 70cm까지 줄었고 3A호는 55cm나 된다. 1호와 비교하면 16년 만에 144배나 늘어난 셈이다. 반면 아리랑 5호는 레이더 위성이다. ... ...
-
- 그들이 말했다, "빛이 있으라!"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무기를 여러 개 가지고 있었다. 그중 하나는 바로 ‘빛’과 ‘거울’을 이용한 ‘죽음의 광선’이었다! 시라쿠사는 아르키메데스의 이것으로 정박 중이던 로마 전함을 불태워 버렸다. 거울을 태양을 향하게 비춘 다음, 적당히 기울여 전함을 향해 반사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혹시 이 이야기를 ... ...
-
- 세상에서 가장 까만 검은색!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약 0.035%만 튕겨내고 99.965%나 흡수하거든요. 도로에 깔린 검은 아스팔트는 가시광선을 약 4%, 석탄은 0.5% 튕겨낸답니다.밴타블랙은 어디에 활용할 수 있을까요? 전문가들은 사람이나 무기를 가려 군사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또 망원경의 효율을 높여 희미한 빛을 내는 별도 관찰할 ... ...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방출한다. 이것이 바로 오로라다. 사실 오로라에는 우리 눈에 보이는 색깔을 가진 가시광선뿐만 아니라 자외선, 적외선, 전파같은 다양한 전자기파가 들어 있다.목성과 토성에서도 보이는 오로라오로라를 우주에서 보면 어떻게 보일까. 지상에서 300~400km 고도를 날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 ...
-
- PART 4. 화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가시광선 파장의 절반 거리(대략 200nm)보다 가까이 있는 두 물체에서 각각 출발한 가시광선은 좁은 대물렌즈를 통과하며 회절을 일으켜 보강·상쇄 간섭을 일으킨다. 이 때문에 두 물체를 구분해서 볼 수 없다. 헬은 레이저 빔을 두 번 쏴서 이 문제를 해결했다. 하나는 불을 ‘켜는’ 레이저 빔이고, ... ...
-
- 얼굴 대면 문이 딸깍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시도하면 얼굴을 촬영해 기록을 남기고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기존 얼굴인식은 가시광선을 이용하는데, 유페이스키는 적외선으로 감지합니다. 어두운 환경에서도 인식할 수 있고, 조도에 따라 인상이 달라져 생기는 오류도 줄었죠. 출입할 때마다 찍힌 얼굴 영상을 매번 업데이트하기 때문에 ... ...
-
- [과학뉴스] 물에 햇빛 쪼이니 수소가 펑펑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가시광선을 이용해 물에서 수소를 분리할 수 있는 촉매인 금 나노입자에 주목했다. 가시광선을 흡수한 금 나노입자는 ‘열전자’를 방출해 물에서 수소를 분리할 수 있다.문제는 금 나노입자에서 방출되는 열전자의 수명이 너무 짧아 반응효율이 낮다는 것이었다. 연구팀은 금 입자에 나노소재를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