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박스
케이스
상자
나무궤짝
프레스
press
box
d라이브러리
"
궤
"(으)로 총 48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도 2020년 달에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영국 임페리얼대와 협력하고 있는 연구단은 총 3기의 시험용 위성을 2011년 지구 저
궤
도에 띄워 1년 6개월 정도 성능을 검증할 계획이다. 2013년 개발 프로젝트가 끝나고2~3년 뒤까지 실제 달로 쏠 탐사선을 만들겠다는 게 연구단의 복안이다.이 연구가 왜 필요할까. 연구단에 소속된 같은 학과의 진호 ... ...
달 정착촌 후보지 찾아 나서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기술 수준을 보유한 나라는 사실상 일본이 유일하다. 일본이 지난 6월 11일 달에 충돌시킨
궤
도선인 ‘가구야’(정식 명칭은 셀레네)는 2007년 9월 13일 발사된 뒤 달 고도 100km 상공을 선회하면서 14종의 관측 기계로 달의 기원을 밝힐 자료를 수집해 왔다. 일본은 2013년 달 착륙선을 발사하고 2030년에는 ... ...
지하철과 KTX 선로 같을까? 다를까?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구성한다.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열차제어연구실장 김용규 박사는 “현재의 선로 기술은
궤
도회로로 열차의 속도를 제어하던 2, 3세대 방식에서 무선통신을 이용한 4세대 방식으로 넘어가고 있다”며 “앞으로는 선로 외부에 설치된 무선안테나로 지상과 열차가 끊어짐 없이 통신할 수 있고 이는 ... ...
비상! 우주가 위험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때문에 우주쓰레기가 지구의 그림자에 가리면 찾을 수 없단다. 레이저인공위성의
궤
도와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는 데 쓰는 레이저는 레이더나 망원경보다 정밀해서 더 작은 우주 쓰레기도 찾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 그러나 굉장히 정교한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아직 우주쓰레기를 찾는 데 ... ...
기우(杞憂)와 우주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간격은 1만 9833리 100보(1리는 300보)이고 가장 안쪽
궤
도의 지름은 23만 8000리, 두 번째
궤
도의 지름은 27만 7666리 200보, 세 번째는 31만 7333리 100보, 네 번째는 35만 7000리, 다섯 번째는 39만 6666리 200보, 여섯 번째는 43만 6333리 100보, 일곱 번째는 47만 6000리라 ...
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없다. 위성을 발사해 미사일의 로켓엔진 성능을 시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성을 우주
궤
도에 올려놓았다면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로켓추진시스템을 개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렇다고 위성발사체 발사 성공이 곧 대륙간탄도탄 기술의 확보를 의미하지는 않는다.은하 2호의 발사 실패 ... ...
[물리]전하 세계에서도 에너지는 보존된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r1ω2은 보이는 별의 질량중심을 향한 구심가속도이다. 또한 질량중심을 기준으로 원
궤
도의 반지름들은 m1r1=m2r2을 만족하므로 r은 r1으로 표현할 수 있다.Q2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가) 정전기력(쿨롱힘)의 수학적인 형태는 중력과 동일하다. 따라서 정전기력도 중력처럼 보존력이다. ... ...
자연 속의 역제곱법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점점 느려졌고, 행성의 공전 주기와
궤
도 장반경의 관계를 조사해 공전 주기의 제곱이
궤
도 장반경의 세제곱에 비례한다는 것도 알아냈다. 이 세 가지 결과를 케플러의 법칙이라고 한다. - 고등학교 『과학』교과서 [제시문 2] 아이작 뉴턴(1642-1727)은 경험적 사실에 바탕을 둔 케플러의 법칙을 ... ...
제2 지구 찾는 케플러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방법은 크지 않은 망원경으로 어두운 별까지도 관측할 수 있으며 행성의 크기와
궤
도 경사각 같은 정보를 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행성의 질량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별빛가림 현상이 포착된 후보별은 시선속도 방법으로 추가 관측해 질량을 확인한 뒤에야 그 ... ...
별은 몇 쌍둥이까지 가능한가요?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사중성 +1한국천문연구원 광학적외선천문연구부 이충욱 박사는 “육중성이 서로를 돌며
궤
도 운동을 하는지 판단하기는 쉽지 않다”며 “망원경으로도 움직임을 발견할 수 없을 만큼 쌍성이 가까이 있다면 별의 스펙트럼을 분석하거나 스페클 영상을 찍어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스페클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