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폰트
글자체
d라이브러리
"
글자크기
"(으)로 총 412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만: 세계적인 주요 건강 문제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최근‘사이언스’지에 실린 미 뉴욕대 매리언 네슬레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8억명의 인구가 굶주림으로 병들어가고 있다. 반면 세계 인구의 20명 중 한명은 비만이며, 음식물 섭취와 관련된 질병으로 위험한 상태다. 음식물을 섭취함으로써 심장병이나 당뇨병, 암과 같은 질병을 예방할 수 있지만,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올해는 간지(干支)로 계미년(癸未年)이다. 띠로 보면 양띠 해. 순한 양을 연상해서인지 올해는 모든 일이 순조로울 것이라는 기대도 많다.띠를 나타내는 십이지(十二支)는 중국 은(殷)시대에 널리 쓰였다. 이 십이지는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 ...
상식에 어긋나는 흑맥주 기포의 추락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일상생활에서 기포가 발생하는 모습은 그리 대수롭지 않은 현상이다. 맥주나 탄산음료를 마실 때 그 안에서 기포가 발생하는 모습을 쉽게 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포는 지금도 풀리지 않은 비밀을 간직하고 있는 미스터리한 존재다. 최근 과학자들이 밝혀낸 기포의 비밀은 무엇일까. 이를 ... ...
땅속에 향나무 묻은 뜻 침향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침향은 향기나는 나무를 가리키는 말로 이를 불에 태우면 좋은 냄새가 난다. 주산지는 동남아시아이나 신라시대부터 우리나라에서 애용됐다. 하지만 워낙 귀하고 값비싸 일반 서민은 써볼 엄두도 내지 못했다. 그래서 선조들은 일반 향나무를 침향으로 바꾸기 위해 땅 속에 묻고 매향비를 세웠는데 ... ...
고대인의 필기노트, 죽간과 목간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종이가 개발되기 전에는 어디에 문자를 기록했을까. 옛 사람의 지혜는 죽간과 목간이라는 훌륭한 기록매체를 발명했다. 대나무나 나무 껍질을 얇게 쪼개 그 위에 문자를 새긴 것이다. 중요한 정보의 기록 외에 연습장, 물건의 꼬리표 등 다양하게 쓰인 죽간과 목간을 알아보자.‘후난성 서부의 룽 ... ...
영어발음 미국인처럼 할 수 없을까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얼마전부터 영어발음 때문에 혀 수술까지 한다는 얘기가 언론에 오르내리고 있다. 이 사건은 우리나라 사람이 얼마나 영어에 민감한지 보여준다. 정말 미국인처럼 발음을 잘하는 방법은 없는 것일까.최근 서울의 일부 부모들이 자녀의 영어발음을 좋게 하기 위해서 혀의 아래 부분을 수술해준다는 ... ...
천마도 캔버스는 수입품 아니다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신라의 천년 고도 경주에는 수많은 왕릉이 있다. 이 중에서도 단연 돋보이는 무덤은 천마도가 출토된 천마총. 목덜미의 갈기와 꼬리털을 휘날리며 하늘을 날아오르는 백마는 지금 봐도 그 생동감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하지만 이 천마도가 자작나무 껍질이 아닌 다른 곳에 그려졌다는 주장이 제기 ... ...
공학적 직관과 응용의 조화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흔히 명문대는 그렇게 불릴만한 이유가 있다고 한다. MIT도 예외는 아니다. 세계적 수준의 공과대학이라고 알려진 MIT에서는 엘리트 공학자 한명보다는 잘 검증된 다량다량의 공학도를 키우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다.MIT의 ‘고급유체역학’ (advanced fluid mechanics)과 ‘생의학신호·영상 ... ...
디지털캠코더와 함께 나도 이제 영화감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최근 선명한 화면과 깨끗한 음질을 저장할 수 있는 디지털캠코더가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으면서 가정의 필수품으로 떠오르고 있다. 디지털캠코더의 원리와 조작방법, 그리고 디지털캠코더를 고르는 방법을 알아보자.1895년 근대 영화의 창시자라고 할 수 있는 뤼미에르 형제가 영화의 시작으로 평 ... ...
팔만대장경 기적의 보관 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7백50년 전 몽골군의 침입을 물리치고자 만들어진 팔만대장경은 자랑스런 문화유산 중 하나다. 나무판에 불경을 새긴 경판만 8만여장이 넘고, 새겨진 글자는 무려 5천2백만자이며 제작에 동원된 사람은 1백30만명이나 된다. 하지만 더 놀라운 사실은 팔만대장경을 보관하는 선조들의 비법에 있다. 역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