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여"(으)로 총 1,69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핵융합 에너지는 후손에게 남길 자랑스러운 유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다른 분야의 연구에서도 국제협력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Q. 한국이 ITER에 기여한 바를 평가한다면?→ 한국은 ITER에 후발주자로 참여했을 뿐 아니라 핵융합 연구 역사도 다른 국가에 비해 짧다. 하지만 지금은 한국이 없다면 ITER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기 어려울 정도로 대단한 기술력을 ... ...
- [기초과학의 힘] 베일에 싸여있던 물리량 양자 거리를 재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거리와 관련된 연구는 많지 않다. 과학자들은 양자 거리가 고체의 물성을 결정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 추측하면서도, 양자 거리를 측정할 방법이 없다고 생각해왔다. 에너지 퍼짐 현상에서 아이디어를 얻다 양 교수팀은 고체의 에너지띠에 주목했다. 고체의 에너지띠란 물질 내에 존재하는 수많은 ... ...
- [에디터노트] 노벨상과 질문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운동 코치가 꿈인 한 대학생이 있었습니다. 스키, 축구, 육상, 수영 모든 종류의 운동을 즐기는 스포츠 마니아였죠. 당연한 얘기지만 그는 항상 ... ‘궁극의 질문’ 공모전을 시작했습니다. 노벨상이 될 만큼 독창적인 질문, 인류 복지에 기여할 질문이 떠올랐다면, 지금 바로 도전하세요 ... ...
- [2020 노벨상] 얼마나 걸릴까, 궁극의 질문에서 노벨상 수상까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암이나 유전병 등 질병을 고칠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 개발의 꿈을 현실화하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트렌드 2. 래스커상이 예견한 노벨생리의학상 노벨과학상 외에도 의학계와 과학계에는 몇몇 권위 있는 상이 존재한다. 대표적인 것이 래스커상과 울프상 등 두 가지이며, 이들은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플라스틱 먹는 박테리아 찾아 스타트업(start-up)!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우리의 목표는 리플라 프로젝트를 통해 플라스틱 재활용 산업의 채산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플라스틱 재질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스타이렌(PS), 폴리프로필렌(PP) 등으로 다양한데, 이 중 특정 플라스틱을 잘 분해하지 않는 박테리아를 찾았고, 이 ... ...
- [수학뉴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가 수학 전공자라고?수학동아 l2020년 11호
- 기반으로 합니다. 노벨위원회는 이 경매 방식이 사회 전체의 최대 이익을 도출하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했습니다.미국은 1994년 이동통신용 무선 주파수 경매에 이 방식을 처음 도입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8년 5G 주파수 경매에 사용했죠. 동시 다중 라운드 경매 방식은 전기, 천연가스,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196,883 차원의 대칭 괴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분류하는 일이었죠. ‘유한 단순군 분류 정리(2004)’로 불리는 이 연구는 증명 과정에 기여한 수학자만 100명이 넘고, 논문의 분량이 15,000쪽이 넘는 수학 역사상 전례 없던 가장 거대한 정리가 됩니다. 어떤 유한군이 단순군인지 증명하고, 어떤 성질을 가지는 단순군인지 밝힌 것이죠. 이 정리에는 ... ...
- 하늘로 떠난 수학 사냥꾼, 존 코웨이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수학자의 반열에 올리는 데는 미국의 과학저술가이자 유희 수학자인 마틴 가드너가 크게 기여했습니다. 둘은 1950년대에 처음 만난 이후로 편지를 주고받으며 유희 수학에 관한 아이디어를 공유했습니다. 가드너는 미국 과학 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수학 칼럼을 연재했는데, 거기에 ...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우리나라의 유일한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는 여름마다 북극으로 나선다. 겨울철 꽁꽁 얼어있던 북극해는 기온이 올라가며 쇄빙연구선이 지나갈 틈을 내준 ... 북극 항로를 개발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전망이다. 북극의 환경을 지키면서도 인류의 번영에 기여할 수 있는 유익한 연구인 셈이다 ... ...
- [에디터노트] Why Explore Space?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매우 천천히 나오겠지만, 결국에는 지금 세계가 당면한 큰 문제의 해결책을 찾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썼다. 스툴링거 박사는 현미경 개발을 예로 들었다. 흑사병이 유럽을 휩쓸던 400여 년 전, 독일의 한 마을을 다스리던 백작은 작은 생물(미생물)을 볼 수 있는 렌즈를 연구하던 인물을 성으로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