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notch
쇠뇌
소모증
노들나루
나루
가마
대장간
d라이브러리
"
노
"(으)로 총 603건 검색되었습니다.
무한도전팀도 몰랐던 조정의 수학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해 배가 나아가는 데 필요한 힘을 최대한 끌어내서 활용한다. 반면
노
를 직접 들고 젓는 카누는 주로 상체의 힘을 이용한다. 이런이유로 조정은 일정 속도까지 올라가는데 카누보다 시간이 많이 걸린다. 하지만 일정 속도에 오르면 속도를 유지하거나 그 이상으로 올리기가 ... ...
수학으로 변신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종이로 만들어진 옵티머스 프라임에게 정교한 매력까진 바랄 수 없지만 전개도를 보고 있
노
라면 가슴이 벅차오른다. 종이로 만든 로봇이 변신하다니!이 작품의 전개도는 미국의‘Paperrobot1999’라는 예명으로 활동하는 작가가 직접 그린 것이다. 이 작가는 로봇을 사랑하는 전 세계 모든 이들이 ... ...
수학으로 풍덩, 수영의 매력 속으로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모양의 돌기 붙인 전신 수영복이 금지된 이유초창기 수영 경기에서 수영복은 신체
노
출을 줄이는 데 목적이 있었다. 그 당시엔 기록을 단축하기 위해 수영복을 개발한다는 일은 상상도 못했던 것이다. 심지어 수영복의 소재가 물을 잘 흡수하는 ‘울’ 소재여서 물속에서 무게가 더 증가하기도 했다 ... ...
수학과 시 상상력으로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만든똥그란 똥버찌나무엔 버찌 똥앵두나무엔 앵두 똥살구나무엔 살구 똥까만 똥빨간 똥
노
란 똥나무들이 눈 똥을새들이 맛있게 먹는다작품설명 | 열매를 나무가 누는 똥으로 표현한 참신한 시입니다. 우리의 눈에 익숙한 자연물을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고 쓴 시인데 버찌, 앵두, 살구 같은 둥근 ... ...
북극 빙산으로 아프리카 갈증 푼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빙산 때문에 주변 수온이 낮아질 경우 해양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무쟁 씨는 “
노
(no)”라고 결론부터 얘기했다. 빙산에 두르는 차단막은 빙산 표면과 1m 간격을 두고 천천히 내려오기 때문에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해양 동물은 충분히 빠져나갈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또 ... ...
Part 1.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미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흙 등에서 발견할 수 있는 잡균으로 병원성 세균은 없었다.세균 분석을 담당했던 이갑
노
고려대 구로병원 진단검사의학과장은 “미라를 발굴하던 중 나무 관이 충격을 받았거나, 해포 과정에서 공기 중에 있던 미생물이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며 “그 전에는 무균상태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 ...
턱이 귀가 된 사연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자연사박물관의 진 멩 박사팀은 중국에서 발견한 1억 2200만 년 전의 포유류 ‘리아오코
노
돈 후이’의 화석에서 아래턱과 중이의 관계를 명확히 보여 주는 증거를 찾았다. 화석을 관찰한 결과 포유류가 소리를 들을 때 쓰는 뼈 셋 중에서 둘은 아래턱뼈에서 분리된 상태였다. 남은 뼈 하나는 오늘날 ... ...
Part1. 원전 사고 5가지 핵심 쟁점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순환하게 만들어 준다.후쿠시마 원전처럼 전기가 끊긴다고 바로
노
심 온도가 올라가
노
심용융 현상이 일어나지는 않는다는 뜻이다.물론 이런 기술적인 대책에도 불구하고 원전 자체의 안전에 여전히 의구심을 표하는 사람도 많다. 이번 사고가 인류가 예측하기 어려운 대형 재해에 인간의 기술이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
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그는 이를 “과학의 자유(scientific freedom)”라고 표현했다.안데르손 부총장이 꼽은
노
벨 생리의학상의 수상자격은 하나다. 독창적인(unique) 발견을 해낸 과학자 ... ...
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
는 '구름' 결정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초고체(supersolid)가 다이아몬드보다도 단단한 고체냐고 물어보는 분들도 있더군요.”초고체 연구로 최근 국내외에서 주목받고 있는 KAIST 물리학과 김은성 교수(39세)는 연구 ... 물질 삼형제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
는 '구름' 결정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Part3. 모
노
폴_극이 하나뿐인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