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점"(으)로 총 1,531건 검색되었습니다.
- 붉은 수돗물, 어떻게 없앨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방법도 있어요. 물을 이용한 청소보다 효과는 뛰어나지만 비용과 인력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답니다. 녹이 덜 생기는 관으로 바꾸자상수도관의 녹을 아예 막을 순 없어요. 땅의 압력과 물이 흐르는 속도를 견디려면 상수도관은 단단한 금속 재질이 가장 적합한데, 금속은 물과 만나면 산소를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여기는 화성, 지구는 응답하라! 우주탐사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때문에 정확한 조사가 가능해요. 반면 고장의 위험이 크며, 조사 범위가 넓지 않다는 단점도 있답니다. 로버 중 가장 긴 거리를 이동한 ‘오퍼튜니티’도 14년 동안 약 45km밖에 움직이지 못한 것을 보면, 로버가 얼마나 조심스럽게 천천히 움직이는지 짐작할 수 있지요. 현재 로버가 활동하고 있는 ... ...
- [통합과학교과서] 램프의 요정, 지니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이를 통해 자원을 아낄 수 있기 때문이랍니다.하지만 조명을 LED로 바꾸는 일의 이면엔 단점도 있어요. 거리의 조명으로 흔히 쓰이던 주황빛 나트륨 램프를 LED로 교체하면서 푸른빛이 더욱 강해졌고, 이 때문에 도심 지역의 빛 공해가 더욱 심각해진 거예요. 2017년, 독일 헬름홀츠협회 지질학연구소 ... ...
- 잘 얼려야 더 맛있다! 냉동의 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냉동하면 오랫동안 원래 상태를 보존할 수 있다. 다만 냉동은 유통과정에서는 단점으로 작용한다. 저온으로 유지해야 할 뿐만 아니라 얼음막의 무게가 더해져 무거워지기 때문이다. 냉동 후 수분을 제거하는 동결건조 기술을 이용하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래서 우주식품이나 전투식량은 ... ...
- [10대의 약] 상처나면 소독약 꼭 발라야 한다 VS. 아니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대신 접착력이 약해 쉽게 떨어질 수 있으며, 불투명해 상처가 보이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하이드로콜로이드형 습윤 드레싱은 폼형보다 얇고 접착력이 좋지만, 삼출물 흡수 능력은 떨어집니다. 대신 투명한 형태의 제품들이 많아 상처를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삼출물이 적거나 얼굴 등 ... ...
-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리튬이온전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니켈-카드뮴 전지보다 크기는 작고 에너지 밀도는 훨씬 높다는 장점이 있었다.단점이라면 전지전압이 2.3V 미만으로 낮다는 것이었다. 존 구디너프 미국 텍사스대 교수는 전압을 높이기 위해 리튬전지의 양극에 이황화티타늄 대신 리튬코발트산화물(LiCoO₂)을 쓸 것을 제안했다. 이렇게 하면 전압을 4V ... ...
- 세상을 구한 아이언맨 문명 이끈 진정한 영웅, 철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산화수가 많아 반응성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점이 발목을 잡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런 단점을 극복하고 철을 촉매로 활용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탄소-수소 결합을 탄소-산소 결합으로 산화시키는 반응과 천연고무를 인공적으로 합성할 때 사용하는 촉매를 철로 대체하려는 ... ...
- [영국유학일기] 물가 비싸기로 소문난 런던 생존기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새로 지어진 기숙사들이라 시설도 훌륭하고 기숙사 이벤트도 많은 편이다.한 가지 단점이 있다면 학교에서 1시간가량 떨어진 2, 3존(Zone 2, 3)에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우드워드 빌딩은 1학년용 기숙사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1학년들이 이 기숙사 생활을 포기하고 다른 기숙사로 옮겨 빈자리가 생긴다. ... ...
- [수학동아10주년 특별인터뷰] 오성진 UC버클리 수학과 교수, 수학실력은 지수함수처럼!수학동아 l2019년 10호
- 많은 도움이 됐어요. 하지만 동기보다 어리다 보니 새로운 인간관계를 형성해야 한다는 단점도 있었어요. 또 시간을 충분히 들여서 천천히 깊게 이해해야 하는 내용을 빠르게 공부하다 보니 무리가 와서 일찍 지치거나 잘 이해하지 못하고 넘어갈 위험도 있죠.Q어렸을 때는 수학에 흥미가 ... ...
- 너는 지금 달리기가 하고 싶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오래 달리기 위해 진화한 흔적이 남아 있다. 사실 다리가 길면 에너지를 많이 소모한다는 단점이 있다. 인간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리 끝의 질량을 줄여 질량관성모멘트를 줄였다. 질량관성모멘트는 엉덩이에서부터 발끝까지의 질량과 거리의 제곱값에 비례한다. 예를 들어 질량 3.6kg을 줄이면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