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격
거장
값
달인
거물
제일인자
명인
d라이브러리
"
대가
"(으)로 총 975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과학 뉴스] 전세계는 지금 비트코인 열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사용자들이 컴퓨터로 암호를 풀면 비트코인을 얻을 수 있어요. 이렇게 암호를 푼
대가
로 코인을 얻는 과정을 ‘채굴’이라고 해요. 그런데 컴퓨터에 데이터로만 존재하는 비트코인은 과연 안전할까요? 누군가 해킹해서 조작할 위험은 없을까요? 전문가들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말해요. 바로 ... ...
심판이 볼 수 없다면 수학이 본다! 심판 판정 돕는 기술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가능한 고성능 카메라로 실시간으로 공을 찍어 컴퓨터로 전송합니다. 카메라 여러
대가
각자의 위치에서 촬영한 공의 궤적을 갖고 컴퓨터는 공의 위치를 추적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방법이 ‘삼각측량법’입니다. 각 지점에 고정돼 있는 카메라와 공의 거리 변화를 측정해 공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 ...
Part 3. 호킹이 남긴 21세기 이론물리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양자적인 시나리오에 다른 제동이 걸린 것은 약 5년 전이다. 최근 타계한 초끈이론의
대가
조 폴친스키 등이 ‘불의 장막’이라는 새로운 화두를 던지면서다. 당시 호킹 역시 이 문제에 대한 반응으로, 양자정보퍼즐 자체가 사실은 오해에 불과했다는, 상당히 급진적이고 당황스러운 이야기를 한 ... ...
[Culture] 해피 화이트데이를 기원하며♥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많이 느꼈습니다. 반면 상대를 통제하려고 하는 행동에는 큰 거부감을 보였는데요. ‘상
대가
어디 있는지 항상 알아야 한다’거나 ‘모든 시간을 함께 보내야 한다’ 등의 상황입니다. 하지만 연구팀은 “이는 문화에 따라 다를 수 있다”며 중국과 캐나다를 예로 들었습니다. 공동체 의식이 강한 ... ...
[번외종목] 스키로봇챌린지, 8봇 8색 도전! 로봇 스키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길이와 각을 이용해 기문의 위치와 거리를 계산한다. 이를 위해 로봇에는 컴퓨터 두
대가
달려 있다. 영상을 인식하고 처리하는 컴퓨터와, 로봇을 제어하는 컴퓨터다. 이들은 통신선으로 연결돼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다. 박 연구원은 “로봇이 실시간으로 기문과의 거리를 계산하면서 적절한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제대로 분리되는지 스스로 점검할 수 없었던 겁니다. 하나의 큰 난자를 만들어내는
대가
로 자연 유산의 빌미가 생긴다니, 참 아이러니한 생명 법칙입니다 ... ...
[2018 태국탐사대] 우리는 느리게 걷자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마약의 재료인 양귀비를 재배하다가 마약에 중독되는 사람도 많았습니다. 그러나 탐사
대가
찾아갔을 때 도이 퉁은 숲으로 가득하고 차와 커피가 유명하며 유기농 채소가 신선한 곳이었습니다. 가까운 매 파 루앙 정원은 꽃과 나무로 활기가 넘쳤고요. 극기훈련에 가까웠던 ‘공중다리 산책 공원’ ... ...
[Issue] 내 잉크가 너의 숨을 쉬게 하리라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그런데도 대기오염 적합도 테스트를 거치지 않은 디젤 자동차가 전 세계적으로 1100만
대가
넘습니다.” 샤르마 씨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이렇게 밝혔다. 그는 뭄바이의 대기오염을 남의 나라 이야기로만 치부할 수는 없었다고 한다. 그는 신발에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넣어 ... ...
Part 1. 하늘에서 내려온 보석, 눈결정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분자★ 여러 개의 원자로 구성된 물질의 성질을 갖는 가장 작은 입자다. 눈결정 연구의
대가
인 케네스 리브레히트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 물리학과 교수는 “눈결정은 육각 패턴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대칭을 유지하며 성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수학자는 얼음이 육각형 구조라는 것을 ...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계획한 가토리 히데토시 도쿄대 교수는 수십 년간 광격자 시계를 연구해 온 그 분야
대가
로 꼽힌다. 광격자 시계는 35억 년에 1초의 오차율을 가질 만큼 정확하다. 현재 우리가 기준으로 삼고 있는 세슘 원자시계(6000만 년에 1초의 오차율)보다 더 정확하다. 일본도 하는데 우리라고 못할쏘냐. 2017년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