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화"(으)로 총 1,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 아나운서가 꿈? 인공지능에게 맡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말을 정확하게 인식하는게 쉬운 일이 아니었죠. 그러다 인공지능이 여러 사람들의 대화를 스스로 분석하고 학습해 자신만의 ‘음성인식 모델’을 만들면서 음성인식의 정확도가 크게 높아졌어요. 인공지능이 자신만의 음성인식 모델을 만들려면 녹음된 여러 개의 목소리가 필요해요. 예를 들어 ... ...
- [인터뷰] 할 수 있는 게 이렇게 많은데 놓쳐 버리는 건 너무 아깝더라고요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것이다. 승재 씨는 “교수님도 1주일에 두 번씩 일대일로 만나고, 선배들과는 수시로 대화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새로운 소재를 찾기 위해서는 기계학습을 비롯한 컴퓨터 과학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는 조언을 많이 들었다”고 말했다. 승재 씨는 G-SURF를 마치고 회로 이론을 비롯해 전자, ... ...
- [Bridge] 음성 인식 AI에 꼭 필요한 너! 삼각함수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우리 연구실은 대화에서 음성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더불어 대화의 내용을 이해해 적당한 응답을 내놓는 기술도 열심히 연구하고 있답니다! 삼각함수는 음성 신호의 숨어있는 특징을 보여줘요! 김훈카카오엔터프라이즈 음성처리팀 팀장 안녕하세요, 김훈 ... ...
- [특집]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가드닝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떨어지고 우울증이 심할 경우 가드닝이 좋은 효과를 보인다는 연구도 있다. 식물은 대화를 하는 존재는 아니지만 살아 있는 생명체로, 타인과의 소통에서 오는 스트레스에 의한 질병에는 식물을 통한 치료가 매우 탁월하다. 도시가 더욱 발달하고, 밀집된 환경 때문에 삶이 힘들어질수록 가드닝 ... ...
- [특집] 한눈에 익히는 삼각함수와 음성 인식 AI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뜻인지를 이해하는 ‘대화 이해’ 과정을 거칩니다. 그리고 이에 맞는 응답을 만드는 ‘대화 생성’ 과정을 거치죠. 이렇게 만들어진 문장을 음성으로 바꾸는 ‘음성 합성’ 과정을 거쳐 AI는 “오늘 날씨는 구름이 많고 미세먼지 농도는 좋음입니다”라고 답한답니다! 이 단계에 대해서는 5월호에 ... ...
- [특집] STAGE 3 민주주의의 미래. AI로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한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세계 최초 인공지능 정치인 ‘샘’이 등장했어요. 샘은 페이스북 메신저로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고 질문에 대답했어요. 그리고 사람들이 어떤 뉴스를 많이 보는지, 어떤 게시물을 올리고 어떤 댓글을 다는지 정보를 모으고 분석했지요. 인간보다 기억력이 뛰어나고,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공정하게 ... ...
- AI 윤리│공정성을 보는 세 가지 시선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문제가 된 이루다는 수많은 사람과 예측하기 어려운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대화형 AI로, 이런 AI에 대해서는 공정성에 대한 요구가 강해질 수밖에 없다.하지만 이렇게 분명히 공정해야 할 AI조차 고려해야 할 사안이 많고 복잡하다. 요구되는 공정함이 어느 정도 수준이어야 하는지 사람들 ... ...
- 앨런 튜링의 일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그리고 드디어 이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완성했다. 컴퓨터와 대화를 나눌 때 컴퓨터인지 인간인지 구별할 수 없다면 컴퓨터가 인간처럼 생각한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지금은 어렵겠지만 50년 뒤에는 컴퓨터의 진짜 정체를 알아차릴 확률이 70% 이하인 기계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 ... ...
- 이루다의 이루다 만 꿈, 대화형 AI의 미래는?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자연어 데이터인 ‘말뭉치’를 적절한 출처에서 얻어야 하고, 실제 사용자가 주고받은 대화 데이터일 경우 ‘비식별화’를 통해 개인정보를 보호해야 합니다. 또 유출될 만한 개인정보 단어들을 거르는 알고리듬도 필요합니다.스캐터랩은 실제로 “AI 기술 개발업계 모두가 AI 윤리 기준을 철저히 ... ...
- AI 공학│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개발한 대화형 AI ‘테이’의 인종 차별적 발언, 아마존 채용 AI의 성차별적 판단, 국내 대화형 AI ‘이루다’의 소수자 혐오 발언이 그 예다.단, 기술적 의미에서 AI의 편향(bias)은 조금 더 넓은 범위를 포괄한다. 최재식 KAIST AI대학원 교수는 “사회적·윤리적 이슈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사실관계를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