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연
우주
피창조물
생물
천연
산수
산림
d라이브러리
"
만물
"(으)로 총 252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극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아래로 내려갈 때와 솟아오를 때의 여명은 대단히 아름답고 신비하다.짧은 여름에
만물
이 소생북극 군도에는 비교적 소수의 동·식물이 있으나 혹독한 자연환경에서 생존하다는 점이 대단히 흥미있다. 식물의 분포는 여름기후, 토양과 바위의 종류에 따라 좌우된다. 예를 들면, 유관속 식물은 7월 ... ...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의 만남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도를 체득해 무심의 심경에 도달한 사람에게는 사물간의 차별이나 대립은 사라지게 되며
만물
은 제일(齊一)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상은 진리는 하나라는 생각으로 발전하게 되며 중국사상과 불교는 현실적으로 여러가지 다른 점이 있지만 유교나 불교 혹은 도교의 그 어느 ... ...
마우스가 펼쳐내는 마술의 창(窓)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세가족'이라는 드라마가 있다. 요즘은 안 나오지만 거기서 순돌이 아버지가 하는 일은
만물
수리점 주인으로 고장난 가전제품을 수리해주는 일이었다. 순돌이 아버지는 옛날에 나온 전기제품들은 원리가 간단해서 금방 고칠 수 있었는데, 요새 나오는 물건들은 모두 IC(집적회로)니 반도체니 해서 ... ...
생활주변에서 소재 찾으면 누구나 발명가 될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제일임에는 분명하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 분야가 크고 작은 것이 아니다. 적어도
만물
의 영장이라는 인간으로 태어나서 자기분야의 제일이 되었다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작은 정상도 오르지 못한 사람은 큰 정상을 아예 생각조차 할 수 없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하리라 ... ...
맨발로 지내는 것이 최상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이해가 갈 것이다.그 옛날 인간이 네발로 걸었을 때는 손과 발의 구별이 없었으나 인간이
만물
의 영장으로 두 발로 서서 걷게 됨에 따라 손과 발의 기능이 달라지게 됐다. 손은 '제 2의 두뇌' 라고 일컬을 정도로 많은 일을 하고 인류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해 모두가 손에 큰감사를 느끼며 많은 찬사와 ... ...
천랑성의 색깔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해석을 내리는 것 대신에 중국인들은 천상의 변화를 살펴본 후 이 해석에 따라 지구상의
만물
이 움직인다고 생각했던 것이다.그렇지만 천랑성은 흰색이었고 그런 견지에서 이별에 어떤 변화는 없었다고 분명하게 지적하는 중국서적들도 있다.이는 별들의 색깔이 변하지 않았다는 것이 아니다. 사실 ... ...
불볕 더위와 장마를 배후조종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고기압에서 발산하는 찬 공기가 된다. 봄철 가뭄은 겨울철 가뭄의 연장에 불과하지만,
만물
이 소생하는 때라서 비가 더욱 절실하게 기다려지기 때문에 느껴지는 현상인지도 모른다. 사실 봄에는 겨울보다 더 많고 더 자주 비가 내린다. 차츰 더워진 지표면 위로 그전처럼 제트기류의 하강이 잘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먹는 송충이와 배추잎을 먹는 배추벌레의 성격이 다르다. 하물며
만물
의 영장인 인간의 경우는…우리는 상대방의 얼굴 생김새를 보고 그 사람의 성격과 운명을 알아내기도 하고 손바닥의 손금을 보고 성격과 인생을 점치기도 한다. 또 그 사람이 주로 먹는 음식의 재료와 맛에 따라 성격이 달라질 ... ...
1 이공계 학과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지식들은 자연철학으로 통합되어 있었다. 물리학과 화학의 기본 내용이라 할 수 있는 '
만물
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하는 질문은 당시 자연철학의 주요과제였던 것이다.이들 지식이 자연철학에서 벗어나 물리학 화학 생물학등으로 구별 정립되기 시작한 것은 뉴턴의 천체물리학이 완성되던 ... ...
1만가지의 냄새를 어떻게 식별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이뤄졌을지도 모른다는 게 연구진 진단.우리의 눈은 오직 세가지 유형의 수용체로
만물
의 색을 구별한다. 즉 적색수용체 녹색수용체 청색수용체를 적절히 활용해 수천가지의 색을 식별해내는 것이다. 물론 색을 인식하는 최종적인 장기는 뇌이지만.그러나 냄새를 구별하는 수용체는 그 종류가 훨씬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