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도체"(으)로 총 1,6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서울대 공대 내에서 단일 학부 기준으로 교수가 가장 많다. 65명의 교수진은 반도체와 통신, 제어, 전자물리, 컴퓨터, 전기에너지시스템, 그리고 최근 뜨고 있는 바이오 전자공학까지 크게는 총 7개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22개 분야까지 나뉜다. 4차 산업혁명과 함께 가장 많이 ... ...
- [Issue] 중국이 옮길 혁신이라는 산(山)과학동아 l2018년 04호
- hongsikjeong@tsinghua.edu.cn연세대 물리학과 박사학위를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반도체 분야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및 인공지능센터 연구원으로 인공지능용 소자 연구를 하고 있다 ... ...
-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지문 식별 기술 1] 사람마다 다른 땀 성분 3월 7일.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 한쪽에 위치한 이 교수팀의 실험실을 찾았다. 광학 장치와 서버, 그리고 현미경처럼 생긴 분광분석장치가 실험실에 빼곡히 들어 서 있었다. 조재범 박사과정 연구원이 분광분석장치로 촬영한 겹친 ... ...
- [Issue] 액면분할 이후 삼성전자 주가는 어떻게 될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지난 글에서 언급했던 학습곡선을 떠올려보자(과학동아 2018년 1월호 참조). 항공기나 반도체 같은 업종은 새로운 경쟁자의 진입이나 퇴장이 어렵다. 설비투자 규모가 너무 큰 데다, 먼저 진입한 기업들이 이미 학습곡선을 타며 생산비용을 대폭 절감해버린 상태이기 때문이다. 마지막 조건인 ... ...
- [Future] DNA에 사진 담고 원자에 영화 담는 차세대 메모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앞으로 반도체 집적회로의 성능은 18개월마다 2배씩 증가할 것이다.” 인텔의 공동창립자인 고든 무어가 1965년 4월 19일자 ‘일렉트로닉스(Electronics)’ 잡지에 쓴 ‘집적회로에 더 많은 부품 집적하기(Cramming More Compo nents onto Integrated Circuits)’라는 기고문에 담긴 내용이다. 정확하 ...
- [Issue] 노벨상 산실 가속기 누가 먼저 짓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안정성을 테스트할 수 있다. 삼성전자의 경우 해외 가속기 시설을 빌려 방사선에 대한 반도체의 안정성 평가를 하고 있는데, 라온이 완공되면 해외에 나갈 필요가 없다. 수명이 다한 노후 원자력발전소 해체 시 발생하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리하는 기술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다. 권 ... ...
- [과학뉴스] 평창 하늘 수놓은 1218대 드론 군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조종사는 단 한 명이다. 정확히는 슈퍼컴퓨터급 사양을 가진 컴퓨터 한 대다. 미국의 반도체기업 인텔이 드론 여러 대를 동시에 조종하는 ‘군집 비행’ 기술로 이 쇼를 완성했다. 인텔은 국제올림픽조직위원회(IOC)의 파트너 기업으로 올림픽에 적용되는 가상현실(VR), 드론, 인공지능 플랫폼 등을 ... ...
- 오일러를 앞선 최석정수학동아 l2018년 03호
- 효시로 불리기 때문입니다. 직교라틴방진의 원리는 오늘날 이동통신 시스템이나 반도체칩 설계 같은 분야의 실험을 디자인하는 데 활용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20세기 초 영국의 통계학자이자 유전학자인 로널드 피셔는 4차 직교라틴방진을 이용해 토질이 다른 밭에서 가장 잘 자라는 씨앗과 최적의 ... ...
- [Origin] 비브라늄으로 무장한 슈퍼히어로, 블랙팬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데 활용할 수 있는 메타물질이 개발됐다. 노준석 POSTECH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교수팀은 반도체 연구에 쓰이는 실리콘을 가시광선 파장인 400~700nm보다 짧은 50~150nm 단위로 정밀하게 가공해 메타물질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 메타물질을 평면렌즈 표면에 배열해서 가로세로 1mm인 정사각형 모양의 ... ...
- [Origin] 피 한방울 이즈 베리 임폴턴트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고감도 진단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양자점은 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반도체 물질로 입자 크기에 따라 다양한 색을 낼 수 있다. 일반 형광염료보다 1000배 더 밝은 것도 장점이다. 이를 이용하면 여러 종류의 바이오마커를 다양한 색의 형광으로 한 번에 진단하는 센서를 만들 수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