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출
배설
분비물
배설물
걸러내기
스며나옴
d라이브러리
"
분비
"(으)로 총 1,54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PICK] 귤, 붕어빵, 군고구마...겨울 간식 3대 천왕의 비밀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역할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과일에 충격을 주면 에틸렌이 자연 상태보다 많이
분비
되거든요. 하지만 에틸렌은 숙성뿐 아니라 노화도 시킵니다. 과일 안에 모든 전분이 완전히 숙성했을 때 충격을 주면 달기는커녕 빨리 상하지요. 윤 박사도 “주무르거나 주무르지 않거나 당도에는 별 ... ...
[10대의 약] ‘키 크는 주사’ 맞으면 170cm가 180cm되나요?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관련이 없습니다. 정상적으로 성장호르몬이
분비
되고 있는 청소년이라면 이미 잘
분비
되고 있는 성장호르몬을 추가로 주입하는 게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본인의 성장호르몬을 어떻게 제대로 활용할 것인가가 더 중요합니다. 특별한 질병이 없다면 키가 크는 지름길은 충분히 자고 운동하는 ... ...
[이달의 PICK] 새해 계획 성공하려면? 뇌가 조종하는 도파민 경로의 비밀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백자현 고려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마약 중독자는 주사기를 보는 것만으로도 도파민이
분비
되기 시작한다”며 “그 행동을 떠올릴 수 있는 자극을 최대한 피하는 것이 중독을 막는 최우선의 방법”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도파민 경로를 만드는 것도 방법이다. 행동을 멈추면 해당 도파민 경로가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촉촉 립밤으로 가을철 입술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1호
꽃에서 모은 당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만들어 내는 물질이에요. 꿀벌의 배에 있는 8개의
분비
샘에서 만들어진 뒤, 벌집을 짓는 데 쓰이지요. 벌집을 다시 녹이면 액체 상태의 천연 밀랍을 얻을 수 있어요.한편 시어버터는 시어나무의 씨앗에서 얻을 수 있는 식물성 기름이에요. 시어나무의 씨앗에 ... ...
[통합과학 교과서] 수상한 대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0호
무럭무럭 자라며 난자를 내보낼 준비를 해요. 동시에 여포는 호르몬 ‘에스트로겐’을
분비
해 자궁 안쪽 벽을 다시 두텁게 한답니다. ● 통합과학 넓히기 : 우주에서 어떻게 월경을 할까? 앞으로 5년 뒤면 최초의 달 관광이 이뤄질 예정이에요. 지난 9월 18일 민간우주회사 스페이스X는 일본의 ... ...
[통합과학 교과서] 두 번째 아이템의 행방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8호
의식활동에도 영향을 미쳐요. 한 예로 편도체 시냅스에 ‘글루타메이트’라는 물질이
분비
되면 공포를 느끼게 되지요. 거미 공포증처럼 특정 사물에 공포를 느끼는 것도 글루타메이트 때문이랍니다. 또 시냅스에서는 뉴런과 뉴런 사이의 전기 자극으로도 신호가 전달돼요. 뉴런 끝부분에서 (+ ... ...
[실전! 반려동물] 해피가 저를 떠나려는 걸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7호
아파서 먹을 수가 없는 거예요. 특히 요크셔테리어나 토이푸들 같은 소형견은 침의
분비
가 적고 치석이 잘 끼는 구강구조라 다른 종에 비해 치주염에 잘 걸려요. 따라서 틈틈이 입을 벌려 치아 상태를 확인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요. 또 반려견의 몸 냄새로도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요. ... ...
[이모저모] 식충식물 BEST 3! 이상한 애들은 다 모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4호
잡아줄 필요는 없어요. 특히 몇몇 종류의 식물은 벌레의 움직임을 느껴서 소화액을
분비
하기 때문에 죽은 벌레를 잡아주는 것이 역효과를 낼 수 있지요. 또한, 식물은 잎을 움직이는 데 큰 에너지를 소모합니다. 그러므로 신기하다고 자꾸 식물을 만지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관련기사를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학교 밖 체험 다 모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3호
안쪽에는 감각털이 있어요. 벌레가 이 털을 건드리면 벌어져 있던 잎을 다물고 소화액을
분비
하지요. 살아있는 벌레를 잡아먹은 파리지옥은 잎이 검은색으로 변한답니다. 처음에는 썩은 줄 알고 잎을 잘랐는데, 알고 보니 잡아먹은 벌레를 소화하는 중이었어요. 벌레를 잡아먹지 않을 때 파리지옥은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셀룰로오스를 분해해 당분을 얻는다. 하지만 이들의 소화기관은 셀룰로오스 분해 효소를
분비
할 수 없다. 이 효소의 역할을 장내 미생물이 대신하고 있다. 때로는 공생을 통해 외부의 적과 싸우기도 한다. 인간을 비롯한 여러 동물의 장내 미생물이 외부 세균으로부터 개체를 보호한다는 사실은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