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심함
d라이브러리
"
불쾌함
"(으)로 총 286건 검색되었습니다.
1. 먹거리의 대차대조표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지구를 구성하는 물질과 인체를 구성하는 물질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이러한 궁금증을 풀어보기 위해 먹거리의 대차대조표를 만들었다. 또 기본영양소 외에도 식품에는 여러가지 첨가물이 들어있는데, 이들의 역할은 무엇인지 함께 알아보자.항간에서 우리들의 외모가 먹는 음식에 따라 달라진다 ... ...
시대를 풍미한 만병통치약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20세기 초까지 위세를 떨친 테리악에는 독사의 살코기와 아편이 섞여 있었다. 19세기 영국에서 설사약을 만병통치약으로 판매한 돌팔이가 한때 대중의 영웅으로 추앙받았다. 미국에서는 무절제한 광고가 대중을 우롱하는데 한몫 거들었다.히포크라테스보다 용한 의사 사람들이 무병장수를 원하는 ... ...
불면증 치료에서 항암제까지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해외 여행자들을 괴롭히는 시차증과 함께 정력강화와 노화방지에도 효험이 있다고 선전되는 멜라토닌. 그러나 현재까지 불면증 치료 외에는 입증된 사례가 많지 않다.지난 수년 간 미국과 유럽에서 멜라토닌이 시차증을 줄이고 수면을 촉진시킨다는 광고가 매스컴에 자주 등장했다. 이에 발맞춰 ... ...
3. 통증을 정복한다 : 우리 몸에는 '천연아편' 이 존재한다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사람이 통증을 느낄 때 스스로 치유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현재까지 뇌에 있는 호르몬성 물질이 통증을 조절한다는 가설이 대두돼 왔다. 뇌에 아편과 비슷한 효력을 갖는 진통 호르몬인 엔돌핀이 생산되며, 뇌세포막에는 이들 진통 호르몬을 받아들여 아픔을 모르게 하는 수용체가 있다는 점이 ... ...
2. 몸 곳곳을 누비는 통증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통증을 경험한다. 한 통계에 따르면 첫 생리를 거친 여성 중 약 반수 이상이 월경중에
불쾌함
을 경험하며, 이 가운데 10%정도는 매달 하루 내지는 몇일 간 아무일도 못한다. 그래서 어떤 학자는 생리통은 사회 경제적인 면에서 가장 큰 시간 손실(매년 약 1억 4천만 시간)을 낳는다고 말한다.생리통은 ... ...
DOHC 엔진 힘좋다고 마냥 좋은 것은 아니다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생겨 배기가스가 새어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이 경우에는 개스킷교환으로 쉽게
불쾌함
을 극복할 수 있다.이때는 또한 반드시 엔진룸과 운전석 사이에 고무패킹이 빠져있지 않은가를 살펴보아야 한다. 차의 실내와 엔진룸은 엑셀러레이터 페달,각종 배선 및 에어콘 등을 연결시키기 위해 여러 ... ...
1 촉감-인체 최대의 감각기관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어린이들은 따뜻한 촉감을 놓아하며 젊은 여성들은 딱딱하고 차가운 소재를 선호한다. 신체를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고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을 담당한 피부는 그 면적이 2㎡에 달하는 인체 최대의 감각기관이다. 피부에는 온냉감 접촉 압력 통증 등을 느끼는 감각 수용체들이 산재돼 있어 ... ...
2 온도·습도-쾌·불쾌의 가늠자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결정되는 생리적 욕구는 인간의 기분 상태를 좌우하는 가장 큰 요인이다.생리적으로는
불쾌함
이 없는 중립적 상태를 '안락하다'고 정의하기도 하지만 심리적 기분 상태를 포함한다면 보다 적극적인 의미의 쾌적한 상태가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많은 연구들은 이러한 상태에서 인간의 업무 ... ...
4 조명-심리를 좌우하는 테크놀러지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백화점 매장 조명의 화사함과 레스토랑의 은은한 불빛은 인간 감성을 고려한 정교한 설계의 결과다.지금까지 조명의 역할은 단순히 우리가 잘 볼 수 있도록 충분히 밝게 하는 양적인 효과에 국한돼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공간의 쾌적성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면서 조명의 선택과 ... ...
좋은 정수기 고르는 요령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물에 대한 불신이 높아가는 가운데 정수기를 찾는 사람이 늘고 있다. 정수기의 원리와 잘못 알고 있는 것들을 파헤쳐 본다."국민이 원하는 것은 깨끗한 물이 아니라 안전한 물입니다. 그게 국민 정서죠. 그렇지만 안전한 물은 결국 깨끗한 물이 아닐까요?" 최근 정수기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는 이유를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