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동키즈] “과학동아는 제 동갑내기 친구입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2022년 진주시 나불천의 자라 등 다양한 주제의 탐구를 진행했다. 2018년에는 ‘무지개
빛
우리 동네 사이언스 투어’라는 투어 프로그램을 만들어 운영하면서 한국학생과학탐구올림픽 과학동아리 부문 전국 최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학생들과 함께 특별한 과학 수업 만들기 나는 과학 ... ...
[물리] 30년 만에 밝혀진 야광 페인트의 발광 비밀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단 야광 페인트는
빛
을 쬘 수 없는 밤에도 계속 발광해야 한다. 즉 전자가 낮에
빛
을 받아 에너지 준위가 높아졌다 하더라도 다시 에너지 준위가 낮아지며 광자를 방출하는 과정은 천천히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 이때 디스프로슘 이온이 에너지 준위가 높아진 전자를 가뒀다가 차례로 놓아주며 ... ...
[이그노벨상] 단세포 생물에게 노선 설계 맡겼더니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호수 등 철도가 지날 수 없는 지형은 황색망사점균도 지날 수 없도록 점균이 싫어하는
빛
을 비춰주었다. 이후 도쿄에 황색망사점균을 풀어주었다. 그러자 점균이 도쿄 주변으로 노란 튜브를 천천히 뻗쳐나가기 시작했다…마치 B급 호러 SF 영화의 한 장면처럼. 황색망사점균의 튜브가 뻗어나간 ... ...
[SF] 끝내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수에 98BPM, 4분의 4박자로 리듬을 찾아준다.—‘저기 사라진 별의 자리, 아스라이 하얀
빛
. 한동안은 꺼내 볼 수 있을 거야. 아낌없이 반짝인 시간은 조금씩 옅어져 가더라도 너와 내 맘에 살아 숨 쉴 테니.’*후렴구에 이르자 반박자에 한 걸음씩 내딛는 보폭이 조금씩 커지며 속도가 미미하게나마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3호
1호를 무사히 발사하며 첫발을 내디뎠지요. 2000년대 과학자들은 달에서 반사되는 태양
빛
의 파장을 분석해 달 표면에 얼음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 달에서도 사람이 지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밝혔어요. 지난 12월, 달 궤도에 도착한 우리나라의 달 탐사선 ‘다누리’도 달 표면을 탐사할 ... ...
[우주탐험대] 매리너 2호 / 금성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03호
것을 말해요.대기: 천체를 둘러싸고 있는 기체(공기)예요.온실효과: 태양으로부터 온
빛
이 대기층에 갇혀 나가지 못하고 표면 온도를 높이는 걸 말해요.표면: 사물의 가장 바깥쪽,겉 부분이에요 ... ...
[특집] 중이온 가속기, 1년 만에 터진 라온의 첫 축포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하는 희귀 동위원소를 골라내는 것이다. 골라낸 희귀 동위원소는 가속장치를 거쳐
빛
의 속도의 약 20% 정도로 빠른 희귀 동위원소 빔이 된다. 신 부장은 “2월 말, ISOL의 희귀 동위원소 빔 인출시험을 처음 시행하게 된다”며 “희귀동위원소가 원하는 양만큼 나오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 ...
[5년 후, 과학은] 환자 맞춤형 진단·치료의 열쇠 탄소 양자점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등에 잘 흡수되지 않고 투과율이 높기 때문입니다. 탄소 양자점에 특정 원소를 도핑해
빛
을 받으면 열을 내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가령 질소를 도핑한 탄소 양자점 수용액에 근적외선을 쪼이면 용액의 온도가 5분 내에 50℃로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특성을 이용하면 암세포에 ... ...
[과학 뉴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다누리가 지구와 달 사진을 찰칵!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3호
●40쪽 과학동아천문대에서 다누리가 찍은 사진을 감상하세요! ●영구음영지대 : 태양
빛
이 비치지 않아 온도가 약 영하 230℃에 달하는 춥고 어두운 지역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3호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어요. 수많은 구멍이 난 껍질은 햇
빛
을 굴절시켜 광합성에 필요한
빛
을 모으고, 해로운 자외선은 외부로 튕겨냈죠. 연구팀은 “이 규조류의 껍질 구조를 태양광 패널 효율을 높이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