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사] 1667년 6월 15일, 인간에게 첫 수혈,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지요. 수혈의 역사는 1666년, 영국 의사 리처드 로워가 동물 사이의 수혈에 최초로 성공하며 시작되었어요. 당시 리처드 로워는 건강한 개의 동맥을 쓰러진 개의 정맥과 연결해 피를 공급했는데, 아픈 개가 원기를 회복했어요. 사람의 수혈은 이듬해 6월 15일, 프랑스 루이 ... ...
-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대화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물리학으로 정했다고 생각해요. 다시 돌아가도 그때와 동일하게 이론물리학과 수학 사이에서 고민할 것 같아요. Q. 물리학자로서는 유일한 필즈상 수상자로 아직도 회자가 됩니다. 필즈상을 받았을 때 기쁘기도 하고 놀라기도 했어요. 상을 받는 건 물론 좋은 일이지만, 상에 대해 크게 생각하지 ... ...
-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다! 발명 인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문이 열리면 위 사물함 문을 열지 못하게 하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했어요. 먼저 사물함 사이에 시소 원리의 지레를 달았어요. 지레의 오른쪽이 위층 사물함, 왼쪽이 아래층 사물함이 닿게 설치한 뒤 위층에는 고리가 걸려 문을 열 수 없도록 홈을 파고 아래층에는 스프링을 연결했어요. 아래층 문을 ... ...
- [과학뉴스] 홋카이도 마리모, 기후변화 탓에 ‘야위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속도는 한 해에 6.1kg/m3였던 반면, 연간 수온 누적량이 1609℃일이었던 2012년부터 2019년 사이에는 마리모의 분해 속도가 한 해에 7.88kg/m3에 이른다는 결론을 내렸다. 케이스케 교수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아칸호의 수온이 계속 상승한다면 대형 마리모 군락은 멸종할 것”이라며 “기후위기에 직면한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3세대’로 불리는 염기서열 분석법들이 등장했다. 생명공학 기업 ‘퍼시픽 바이오사이언스’와 ‘옥스포드 나노포어 테크놀로지’, 두 회사의 기술로 대표되는 3세대 분석법은 ‘롱 리드(long-read)’ 분석법이라고도 불린다. 많아봤자 100~500개 정도의 염기를 읽어내던 이전 기술들보다 훨씬 긴 ... ...
- [기획] 두려움 없는 도전을 위해, KAIST는 실패를 연구한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좋겠다’고 말을 걸고 싶었어요.” KAIST 학생들은 한국에서도 손꼽히는 수재들 사이에서 공부하고, 커리어의 정점에 있는 교수진의 성취를 매일 같이 접합니다. 그들과 비교해서 자신이 잘하고 있는지 막연히 불안해하는 학생들이 많다는 겁니다. 그런 학생들에게 ‘말을 걸기 위해’ 실패주간 내내 ... ...
- [기획] KAIST 학생들이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연구와 삶에서 실패를 만날 때마다 혼자 시들어 가는 느낌을 받는다. 싱싱한 잎들 사이 혼자 시든 이 노란 이파리처럼. 실패, 너무나 자명한너무나 자명한 연구 실패다. 남의 데이터를 가져다 쓰거나 남의 코드를 변형하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일이란 걸 다시 한번 느꼈다. 계속 약간씩 어긋나는 회전 ... ...
- [최신 이슈] 에너지·화학 산업에 불어온 ‘흰 물결’ 화이트바이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2021년 1월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화이트바이오 산업 시장규모는 2021년부터 2027년 사이 매년 11.5% 성장해 2027년에는 4799억 달러(약 629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트렌드에 발맞춰, 한국에서는 지난 2021년 4월 GS칼텍스, CJ제일제당, 롯데케미칼 등 바이오화학 기업 10개사와 ... ...
- [최애은하] 제임스 웹 설상가상 미스터리과학동아 l2023년 12호
- 67 정도가 나온다는 결말이 가능했을테니 말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제 더 난감한 두 축 사이에서 고민해야한다. 허블뿐만 아니라 제임스 웹도 똑같은 한계가 존재하고, 둘 모두의 관측에 오류가 있는지, 아니면 정말 우주론 모델 자체에 수정이 필요한지. 미스터리는 아직 풀리지 않았다 ... ...
- 심해는 생물들의 집! 채굴해도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클라리온 클리퍼톤 해역(CCZ)에는 망간 단괴만 있는 것이 아니에요. 망간 단괴의 틈 사이로 다양한 해양 생물들이 살아가고 있지요. 5월 25일, 영국자연사박물관 뮤리엘 라본 박사팀은 그간 알려진 기록을 분석해 CCZ에 총 5,578종의 생물이 서식하며, 그중 약 92%는 아직 공식적인 이름이 붙지 않았다고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