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갈라내기
구분
구별
d라이브러리
"
선별
"(으)로 총 348건 검색되었습니다.
기능성 쌀 등장으로 다시 주목 받는 쌀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우리는 다만 인위적으로 그 속도를 빨리 해 추구하는 특성을 지닌 변종을
선별
할 뿐”이라고 말한다. 즉 거대배아미도 언젠가는 자연상태에서 나올 수 있다는 얘기다. 반면 GMO는 전혀 다른 종의 유전자를 도입한 것으로 자연적으로는 결코 나올 수 없는 변종을 얻게 된다.다이어트하려면 밥 ... ...
전화와 e메일 바짝 따라잡은 메신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회원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처럼 각 메신저마다 주 사용자층을 대상으로 기능을
선별
해 적용하고 있다.현재 가장 많은 사용자를 확보한 MSN 메신저는 1999년 국내에 출시될 당시 메시지 전송이라는 메신저 본연의 기능만을 간편하게 제공했다. 그 후 2000년부터 등장한 윈도우2000, 윈도우XP에 함께 ... ...
공생관계도 셈은 철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달리한 것이다. 연구자들은 식물이 산소공급을 조절함으로써 협조적인 박테리아를
선별
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질소화합물을 공급받지 못한 뿌리혹 내부의 산소 농도와 산소 투과도가 정상 뿌리혹보다 더 낮았다. 식물과 미생물의 세계에서도 ‘give and take’의 법칙이 지켜지고 있는 셈이다 ... ...
갈릴레오호의 탐험 역사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변화한다밀도의 진폭이 큰 부분에 전극간극을 놓아 출력을 낸다 입자의 속도를
선별
하는 장치 속도포텐셜 고체 속의 비휘발성 물질을 일정량의 휘발성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장치 상·중·하 3부로 구성되어 있다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는 집 에너지를 축열(蓄熱)하여 적극적으로 이용하면 ... ...
수박 자르지 않고 맛을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약 8년 전 개발하기 시작한 후, 현재 기술 개발이 완료돼 국내의 과일
선별
기에 장착돼 가동중이다. 현재 사과 배 복숭아 감귤 단감 수박 참외 멜론 등 국내 주요 과일에 대해 당도나 산도, 그리고 내부이상을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돼 있고, 새로운 과일이나 그 품질인자를 계속 연구중이다 ... ...
울릉도 1백년 전설 돈스코이호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그 크기와 형체를 판별했다. 그리고 침몰선과 크기가 같거나 작은 형태의 이상 물체를
선별
했다. 1912년 4월 타이타닉호가 침몰하면서 두동강이 났다는 점을 감안해 돈스코이호도 침몰할 때 해저 암반과의 충돌로 같은 현상이 일어났을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이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침몰선이 실제 ... ...
4 생명의 기원과 유전자 비밀 밝혀줄 핵심분자RNA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표적으로 삼는 특정 분자의 구조에 꼭 들어맞는 최적구조체의 RNA를 설계해 합성한 뒤
선별
하는 작업도 이뤄지고 있다. 이같이 만들어진 RNA는 여러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로 응용되고 있으며 나아가 이런 리보자임을 질병 진단제로 응용한 바이오센서의 개발도 한창 진행중이다.응용 가능성 ... ...
둥근 원 형성하는 돌들의 신비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형성하고 다른 지역에서는 미로나 정다각형을 형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압착과정이
선별
과정보다 훨씬 셀 경우 정다각형이 형성된다. 두가지 기작 외에도 땅의 경사나 돌과 흙의 비율도 패턴 형성의 요소가 된다고 밝혀졌다. 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저고도 항공사진을 이용해 ... ...
독감과 싸우는 약품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변화한다밀도의 진폭이 큰 부분에 전극간극을 놓아 출력을 낸다 입자의 속도를
선별
하는 장치 속도포텐셜 고체 속의 비휘발성 물질을 일정량의 휘발성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장치 상·중·하 3부로 구성되어 있다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는 집 에너지를 축열(蓄熱)하여 적극적으로 이용하면 ... ...
유전자변형으로 치료용 항체 개발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연구를 하고 있다. 형태학적인 특성을 이용해 생산성이 높은 세포주를 효율적으로
선별
하는 방법도 연구중이다.현재 동물세포배양 연구실에서는 이균민 교수를 중심으로 7명의 박사과정생과 4명의 석사과정생이 동물세포배양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