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체"(으)로 총 2,0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과학] ① 동물 해부실습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LCD 화면으로 돼 있고, 실제와 똑같은 신체 모습이 나타나요. 화면에 손가락을 대고 신체 부위를 절개하는 행동을 하면, 이를 인식해 해부가 이뤄지지요. 이러한 대체 방법들은 동물의 희생을 최소화하고 반복적인 실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어요. 전세계 여러 학교들도 도입을 ...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10.1073/pnas.1005259107식사 후 약 1시간 뒤부터 혈중 인슐린 농도가 감소하거나, 특히 운동 등 신체 활동으로 에피네프린(epinephrine)과 같은 카테콜아민(catecholamine) 호르몬의 혈중 농도가 높아지면 지방세포에서는 지방 분해 과정이 일어나 부족한 에너지를 보충한다. 에피네프린이 지방세포의 세포막 ... ...
- 살이 빠지는 화학반응이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위한 살의 조절은 생존을 위해 프로그래밍 된 생명체 반응의 부산물일 뿐이다. 또 신체는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급격한 변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여러 대책을 보유하고 있다. 예를 들어, 자가포식(autophagy)이라는 과정은 세포가 불필요하거나 기능이 저하된 세포소기관을 분해하며 에너지를 얻는 ... ...
- 키보드 1시간 두드리면 살 얼마나 빠질까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에너지가 추가로 더 소모된다. 우유만 먹고 아령을 든다면 100번을 반복하기도 전에 우리 신체는 이미 충분히 배고픔을 느끼게 될 것이다. *용어정리 수직 항력: 물체가 접촉하고 있는 면에서 물체에 수직 윗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강체: 외력을 받아도 크기와 모양이 변하지 않는 이상적인 고체. ... ...
- [퀀텀닷 완전정복] 카드뮴 없앤 친환경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구현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기존 재료로는 광전환 효율의 한계가 명확했던 태양전지, 신체 조직을 뚫고 나올 수 있는 가시광선과 근적외선이 필요한 바이오이미징 등 여러 분야에서 퀀텀닷을 활용하기 위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각 분야에 특화된 퀀텀닷을 만들기 위한 연구가 치열하지만, ... ...
- NASA 신입 우주인 공채, 스펙과 연봉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상황에서 심리 변화를 분석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우주인 선발은 면접과 신체검사 등 2021년 8월까지 진행된다. 최종 합격한 우주인들은 텍사스주 휴스턴에 있는 존슨우주센터에서 근무하게 된다. 존슨우주센터는 NASA의 여러 연구소 중 유인 우주탐사 프로그램의 허브다. 우주인 훈련 ... ...
- [팩트체크] 청색광은 망막을 얼마나 손상시킬까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사용자가 느끼는 효과 사이에도 간극이 있을 수 있습니다. 최 교수는 “각자 처한 환경과 신체적 특성에 따라 청색광이 미치는 영향과 청색광 차단 제품의 효과도 차이가 클 수밖에 없다”며 “밤새 모니터를 봐야 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이라면 주기적으로 눈을 쉬게 하는 등 스스로 눈 관리에 신경 ... ...
- [이달의 책] 틀림의 두려움 떨쳐낸 과학적 상상력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점프하기 위해 장대높이뛰기부터 시작한다. 중력가속도와 뛰는 속도, 뛰는 사람의 신장, 신체에서 중력 중심의 위치 등을 계산해서 뛸 수 있는 최대 높이는 6.07m라고 결론을 낸다. 지상 10~50km 구간인 성층권까지는 턱없이 부족한 높이이니 미련 없이 이 방법은 접는다.이어서 스케이트보드를 타고 ... ...
- [한페이지 뉴스] 피부세포를 시각세포로! 눈 먼 쥐 눈 떴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보통난이도신체 기관이 치료할 수 없을 정도로 손상됐을 때 현재로서는 다른 사람의 장기를 이식하는 것이 유일한 희망이다. 가령 당뇨망막병증은 주요 실명 원인으로 꼽히는 질병으로, 2018년 기준 우리나라에서 약 36만 명이 앓고 있다. 하지만 마땅한 치료법이 없어 최후의 수단으로 망막 이식이 ... ...
- 인공 눈, 인공 팔, 인공 몸... 인체 개조 드라마 '루갈'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전극 칩을 뇌나 말초신경에 심어 시각이나 청각 정보를 일부 감지하도록 돕는다. 인간의 신체 능력을 강화하기보다는 보조하는 수준에 가깝다. 김 교수는 “뇌에서 시각과 청각을 담당하는 영역에 대한 생물학적 연구가 충분히 진행된 결과, 망막에 연결해 망막세포에서 나오는 전기신호를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