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암호"(으)로 총 7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이 문제 풀면 나도 앨런 튜링수학동아 l2018년 02호
- β가 되겠죠. 이런 규칙을 Y까지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기호와 알파벳을 짝지을 수 있고, 암호문을 해독할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안전한 스마트시티 만들 숨은 튜링을 찾아라!Part 1. 이 문제 풀면 나도 앨런 튜링Part 2. 화이트해커가 필요해![INTERVIEW] 끈기와 근성 있다면 ... ...
- Part 2. 화이트해커가 필요해!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설계하고 있다”며, “하이패스 카드뿐만 아니라 신용카드, 교통카드도 부채널 공격에 암호가 깨지지 않도록 만들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두 사례 모두 선의의 목적으로 해킹을 하는 ‘화이트해커’가 활약했기 때문에 막대한 피해를 막을 수 있었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 ...
- [INTERVIEW] 끈기와 근성 있다면 도전하세요! 화이트해커 박세준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빠르게 많은 것이 변하는 분야기 때문에 항상 배우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또한 보안과 암호는 컴퓨터과학을 기초로 응용하는 학문입니다. 그렇기에 기본기인 컴퓨터와 수학을 먼저 확실히 공부할 것을 추천합니다. 기본이 탄탄하면 응용하는 기술이 급변하더라도 쉽게 적응하고 연마할 수 있다고 ... ...
- 위대한 수학자의 발자국, 괴팅겐을 걷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1836년에 개발돼 1844년에 미국 볼티모어와 워싱턴DC 사이의 통신에 처음 쓰였어요. 암호화된 메시지를 품고 있는 ‘레이저-전신’은 가우스와 베버가 최초로 통신에 성공한 이후 174년 만인 2007년 11월 19일부터 괴팅겐의 밤하늘을 수놓기 시작했어요. 전기 신호 대신 짧고 긴 시각 신호로 정보를 ... ...
- Part 5. 온 몸이 보안 코드, 생체인증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사용자를 인증한다. 독일의 도이체방크(Deutsche Bank)와 폴란드의 폴란드은행(PKO BP) 역시 암호 시스템을 대체할 다중생체인식 시스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손목피부인증원리 전자부품연구원이개발중인손목피부인증기술.웨어러블 기기에서빛이방출되면(➊)피부층마다구조가달라(➋) ... ...
- Part 1. 전자화폐 시대가 온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거래할 수 있어요. 가상화폐로 거래하려면 은행 대신 지갑, 물건, 가게 등의 거래 내용을 암호화해서 장부에 적을 사람이 필요한데, 이런 일을 하는 사람에게 대가로 가상화폐를 제공합니다. 대가가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나서서 장부에 적으려고 해서 은행이 필요 없지요. 이렇게 장부를 작성해 ... ...
- [과학뉴스] 비트코인, 모르고 사면 독(毒)된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2.5비트코인이 보상이다. 누적 총액이 총 2100만 비트코인이 되는 2040년, 발행은 중단된다. 암호를 풀어 비트코인을 채굴하는 대신 개인 간 거래나 비트코인 거래소를 통해 돈을 주고 비트코인을 쉽게 살 수 있다. 일본은 2017년 4월 비트코인을 정식 화폐로 인정했고, 미국에서는 12월 11일 시카고 옵션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드디어 밝혀지는 보물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그걸 본 오로라가 외쳤어요.“보라색 불꽃! 스트론튬과 구리! 두 금속 원소의 원소기호가 암호일지도 몰라! ‘Sr’과 ‘Cu’말야~!”이 말을 들은 시원이가 자물쇠의 알파벳을 ‘s, r, c, u’로 맞추자 ‘철컥’ 소리와 함께 자물쇠가 풀렸어요. 그리고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보물 상자를 열었는데…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reaction diffusion model)’이라고 부릅니다. 이 모델은 생물학자가 아닌, 영국의 수학자이자 암호해독학자였던 앨런 튜링이 처음 제안했습니다.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에서 베네딕트 컴버배치가 열연했던 인물이죠. 정리하면, 시계방향으로 도는 섬모에 의해 노드 속 액체가 왼쪽으로 흐릅니다. 이후 ...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만들어내는 복잡한 뇌의 언어 체계를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면 각종 지식을 암호화해서 뇌에 주입하는 것도 허황된 꿈만은 아니다. 실제로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연구팀은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전환하는 해마 부위에 전기 자극을 가해 기억을 조절하는 ‘해마 칩’을 개발하고 있다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