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린벌레
유충
번데기
에벌레
d라이브러리
"
애벌레
"(으)로 총 296건 검색되었습니다.
버섯과 곤충의 각별한 인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배양하는 데 성공한 눈꽃동충하초는 약효가 뛰어나 암 치료에 사용되기도 한다.곤충
애벌레
는 버섯균사를 이용해 먹이를 만드는 한편, 버섯은 다시 곤충 몸에서 종자를 퍼뜨리기 위한 양분을 얻는다. 곤충과 버섯의 ‘공생관계’는 먹이를 주고받아 달콤하지만 목숨이 걸릴 만큼 살벌하다 ... ...
과학소년, 소녀들의 필독서 파브르 곤충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곤충의 세계도 살기 위한 투쟁으로 가득하다. 남의 둥지를 가로채거나 심지어 남의
애벌레
몸속에 자신의 알을 낳기도 한다. 진화론자들은 기생을 하는 벌들은 게으르고 노는 것을 좋아한다고 주장하지만 파브르는 정색을 하며 이를 반박한다. 그가 관찰한 바에 따르면 기생벌은 노동벌보다 더 ... ...
“내 아기를 부탁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덴마크 동물학자 데이비드 내시 박사는 유럽산 잔점박이푸른부전나비가 자신의
애벌레
를 개미가 키우도록 한다는 사실을 알아 냈어요.이 나비가 습지의 풀 위에 알을 낳으면 습지를 돌아다니던 개미는 그 알을 자신의 알로 착각하고 집으로 가져갔어요. 연구팀이 분석해 보니 나비와 개미의 알에서 ... ...
봄을 부르는 겨울자나방의 세레나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주변의 어느 나무 틈에는 말라서 쪼그라진 암컷의 시신이 있다. 날이 따뜻해지면 알을 깬
애벌레
들이 그 자리를 채운다. 생명체가 살 수 없을 것 같은 삭막한 겨울 숲에서 다음 세레나데를 위해 겨울자나방은 또 나뭇잎을 갉아 먹는다.겨울자나방은 왜 결혼 시즌을 겨울로 택했을까? 생존은 곧 ... ...
뻐꾸기도 울고 갈 영악한 나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착각하고 집으로 가져간다. 그 뒤 나비의 알이 부화하면 개미는 열심히 먹이를 물어다
애벌레
를 애지중지 키운다. 그렇다면 개미는 왜 나비의 알을 자신의 알이라고 착각하는 걸까. 내시 박사는 개미가 자신의 알을 독특한 냄새로 알아본다는 사실에 착안해 나비와 개미의 알에서 풍기는 냄새를 각각 ... ...
밥상 안전, 벌레가 지킨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먹이가 특별히 정해져 있다. 예를 들어 잎굴파리고치벌은 해충인 아메리카잎굴파리의
애벌레
만 공격한다. 다른 벌레는 절대 공격하지 않는다. 무당벌레는 진딧물을 가장 좋아한다. 만일 진딧물이 없다면 다른 해충을 일부 먹을 뿐이다. 다시 말해 천적별로 먹이 대상이 되는 해충이 정해져 있기 ... ...
한겨울에 곤충 보러 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있었어. 마음에 드는 암컷을 차지하기 위한 싸움이지. 그 옆에는 꼬물꼬물 기어가는 하얀
애벌레
가 있었어. 조금만 있으면 그 옆에 있는 번데기로 변하게 되지. 이렇게 번데기를 거치는 방식을 완전변태라고 해. 여기서는 완전 변태의 과정을 한눈에볼 수 있단다 ... ...
해충 바퀴가 해충 제거에 유용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해충인 목화다래나방의
애벌레
는 물론 목화나 감자, 채소, 화훼류를 파먹는 파밤나방의
애벌레
를 줄였다. 게다가 이 바퀴는 콩 농장에서 1m3당 100마리 이상 발견될 정도로 많았으나 콩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다.그는 “아시아바퀴가 밭에서는 유용하지만 집 안으로 들어오면 문제라 해충을 ... ...
조선조류열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다른 새보다 길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새끼가 태어나면 소나무좀이나 딱정벌레의
애벌레
, 개미 알을 먹여 키운다. 당시 소형녹음기를 켠 채 “끼악끼악” 하는 크낙새의 울음소리와 둔탁하게 나무를 두들기던 소리를 녹음하던 일은 모두 추억이 됐다.원래 개체수가 많지 않았던 크낙새는 좁은 지역 ... ...
시간 공장, 새해를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공장을 견학했더니 곧 죽을 때가 됐군요….하하~! 이건 농담이구요. 사실 하루살이는
애벌레
로 2~3년을 산 뒤, 어른벌레가 되면 한 시간에서 며칠 정도 산답니다. 사람의 평균 수명이 80세라고 하던데…. 그에 비하면 저는 정말 짧은 시간을 사는 거죠. 그래서 저에게 1초는 사람의 1초와는 비교도 안 될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