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쪽"(으)로 총 1,350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다른 곳에서 뻗어 나와 염색체에 붙는 경우도 있고요. 이런 경우엔 염색체가 동등하게 양쪽으로 분리되지 못하고 하나의 세포에 더 들어가게 됩니다. 결국 염색체 수가 정상(23개)보다 적거나 많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염색체 수 이상 현상은 정자 생성 과정보다 난자 생성 과정에서 더 자주 ... ...
- [종목2] 스켈레톤, 세계랭킹 1위 도운 DNA 훈련법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선수별로 근육 발달 상태를 분석해 맞춤형 훈련법을 제시했다. 윤성빈 선수의 경우 양쪽 다리 근육에 균형을 잡아 줄 필요가 있었다. 근육량을 측정해보니 왼쪽 다리의 근육이 오른쪽보다 20%가량 더 발달해 있었기 때문이다. 또 허벅지 앞쪽의 넙다리네갈래근(대퇴사두근)이 100일 때 뒤쪽 ... ...
- [과학뉴스] 백조 닮은 육식 공룡 있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국제학술지 ‘네이처’ 2017년 12월 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신종 공룡이 육지와 바다 양쪽에서 서식한 것으로 추정했다. 노처럼 생긴 앞 발뼈는 수영에 유리하고, 11개의 날카로운 이빨은 물고기 사냥에 적합하다. 또 긴 목 때문에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리지 않도록 큰 골반을 가진 점 등이 그 ... ...
- [Issue] 무술년 ‘황금 개’의 해 과학으로 풀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형접합률이 61%, 경주개는 70%, 풍산개는 57%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형접합이란 양쪽 부모로부터 서로 다른 형질의 유전자를 물려받은 것을 뜻하는데, 이형접합률이 높을수록 해당 품종의 유전적 다양성이 높고 아직 고정되지 않아 개량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많습니다. 최근에는 한 단계 더 ...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강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통나무 조각만으로 다리를 만들 아이디어를 냈다. 그는 통나무 양쪽 끝에 홈을 파서 나무들을 맞물리게 하는 형태로 줄이나 못 없이 안전한 다리를 조립했다. 이 다리는 해체도 쉬웠다. 아군이 모두 건넌 뒤 통나무 몇 개를 빼기만 하면 무너졌다. 반면 그의 후기 작업은 ... ...
- 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기자가 체험한 전설의 고향은 초당 90프레임이었다. 또 이날 사용한 HTC의 ‘바이브’는 양쪽 눈에 보여지는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각각 1080×1200 픽셀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였다.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데 고해상도 디스플레이가 필요한 이유는 시야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디스플레이 ... ...
- Part 2. 혼합현실을 만나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우리가 알고 있던 VR 헤드셋과 비슷하게 생겼어요. 하지만 헤드셋의 바깥쪽, 사용자의 양쪽 눈 앞에는 카메라 2대가 달려 있어서 현실 공간을 가상현실 화면에 그대로 반영한답니다. 또 적외선을 쏘아 반사되는 시간을 계산해 우리 주변에 어떤 물체가 있고, 어떻게 생겼는지 파악하지요 ... ...
- [가상인터뷰]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중력파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받았답니다. 라이고는 4km 길이의 터널 두 개가 직각으로 놓여 있는 구조예요. 중심에서 양쪽 터널의 끝을 향해 동시에 레이저 빛을 쏘면, 빛이 거울에 반사돼 다시 돌아 오지요. 평소에는 두 터널을 지나온 빛의 시간이 똑같아요. 그런데 중력파가 지구를 지나가면 두 터널의 길이가 달라져서 빛이 ... ...
- Part 1. 초고층 빌딩을 만든 슈퍼 엘리베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세계 최초로 만든 거예요. 엘리베이터 줄이 끊어지면 철로 된 두 개의 톱니가 양쪽의 레일에 걸리면서 멈추는 원리지요. 이후 현대식 엘리베이터는 도시의 풍경을 완전히 바꿔놓았어요. 건물 높이가 1km를 넘는 초고층의 시대에 진입하게 됐고, 엘리베이터 또한 이에 맞춰 계속 진화하고 있답니다 ... ...
- [과학뉴스] 요다 닮은 박쥐, 새로운 종으로 인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약간 튀어나왔으며, 눈도 옆으로 길게 찢어진 생김새를 하고 있어요. 둘둘 만 종이를 양쪽에 꽂아 놓은 것과 같은 독특한 코도 특징이지요. 그동안 과학자들은 이 박쥐가 기존에 있던 ‘큰박쥐’ 중 하나일 거라고 생각했어요. 큰박쥐는 과일이나 꽃의 꿀을 먹어서 ‘과일박쥐’라고도 불려요.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