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찌그러뜨림
뒤틀기
비틀림
왜곡 보도
곡해
d라이브러리
"
왜곡
"(으)로 총 391건 검색되었습니다.
필요에 따라 썼다 지우는 워터마크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사진이나 동영상을 구분하는 데는 밝기 변화를 이용했다. 먼저 사진에서 합성과 같은
왜곡
에도 변하지 않는 부분을 몇 군데 찾은 뒤 각 영역에서 밝기가 증가하는 방향을 분석했다. 밝기가 변하는 방향성을 종합하자 사진은 모두 다른 패턴의 ‘지문’을 갖게 됐다. ‘움직이는 사진’인 동영상도 각 ... ...
[물리]변압기가 작동하는 원리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밀착돼 낙하한다고 가정한다. 또 공기저항이나 자기장의 모서리 부분에서 일어나는
왜곡
현상도 무시한다. 1) 막대가 자기장 영역에서 속도 v를 가지고 낙하할 때 크기가 R인 저항에 걸리는 기전력의 크기는 얼마인가? 2) 1)에서 저항을 통과하는 전류의 크기와 방향은 얼마인가? 3) 막대가 자기장 ... ...
2000년 조지프 르두 교수의 기억 재강화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사라진다. 답은 “기억의 변형이 생존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즉 기억의 변형은 ‘
왜곡
’이 아니라 ‘업데이트’이기 때문이다.2003년 ‘네이처’에는 기억의 업데이트가 실제 어떻게 일어나는지 보여주는 재미있는 연구결과가 실렸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정신과 로버트 스틱골드 교수팀은 ... ...
클릭 한 번으로 펼쳐지는 '상상 그 이상의 설계'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비틀림파는 파의 진행방향과 진동방향이 90。를 이루는 초음파의 일종으로 신호
왜곡
현상이 가장 적어 이상 부위를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다. 연구단은 자동설계기술로 설계한 Z형 트랜스듀서가 기존 일자형 트랜스듀서보다 신호 출력이 13배 높고 품질도 3배가량 우수해 이상부위를 쉽게 진단할 수 ... ...
모자이크로 붙인 카시오페아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만들어보자.사진 크기는 35mm 렌즈로 찍은 한 장의 사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왜곡
도 적고 별들이 빼곡이 들어찬 사진이 탄생한다. 필름 카메라로는 꿈도 못 꿀 일이지만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면 모자이크 사진을 쉽게 만들 수 있다.먼저 성도(별자리 지도)를 보면서 카메라 뷰파인더로 보이는 ... ...
국가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1772년에 발표한 도법 정각성(正角性)을 갖추기 위해 위선의 간격을 조절하여 각도의
왜곡
(歪曲)이 없게 했다1772년 독일의 수학자 J H 람베르트가 발표한 정적도법의 하나 지도의 중심에서 각 지역간에 방위가 정확하며, 면적을 정확히 나타내도록 반지름의 길이를 조정했다기체분자와 전자 사이의 ... ...
소설 쓰는 양자컴퓨터공학자 안도열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경제적으로 초일류국가로 발돋움한다.”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으로 시끄러운 시기에 많은 사람들이 이 내용을 읽으며 대리만족을 얻었으리라. 그는 ‘임페리얼 코리아’를 쓸 때만 해도 과학적 요소를 중시했지만 요즘엔 인물을 중심으로 소설을 구상하고 있다. ‘소설 ... ...
지구온난화 가속시키는 바이오연료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수정한 도법 시뉴소이드 도법은 적도와 중앙경선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거리와 각도의
왜곡
이 커진다 그러므로 지도가 전체적으로 정확한 면적 · 모양 · 거리를 나타내도록 대륙을 지나는 몇개의 중앙경선을 구해 이것을 기준으로 다른 경선을 구하고, 별로 필요로 하지 않는 해양 부 분을 단열시켜 ... ...
사랑과 절망이 낳은 명작 모딜리아니展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표현한다. 만약 특정 신체 부위가 변형됐거나 생략 또는 과장됐다면 그와 관련된 갈등과
왜곡
이 그림에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모딜리아니는 사랑을 원하면서도 책임질 수 없는 자신을 바라보며 괴로웠을 것이다. 그가 죽기 전 둘째를 임신한 잔은 친정집에 머물고 있었다. 잔을 보기 위해 처가에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상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입체안경’이 획일적으로 눈앞의 풍경을
왜곡
했다면 이 디스플레이 기술은 원하는 방식으로 눈에 비치는 풍경을 ‘재창조’할 수 있다. 나노미터 규모로 생체현상을 들여다보는 조 교수 또한 사물의 숨겨진 이면을 간파할 수 있게 해주는 ‘요술안경’을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