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45억 년
전
지구와 충돌한 행성 맨틀 아래 남아있다?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거대 충돌 가설’에 등장하는 화성 크기의 가상 천체다. 거대 충돌 가설은 약 45억 년
전
의 원시 지구에 테이아가 충돌하면서 만들어진 잔해가 우주로 날아가 뭉쳐져 달이 됐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테이아가 실제로 충돌했다는 증거를 찾기는 쉽지 않았다. 연구팀은 LLVPs의 조성과 밀도를 통해 ... ...
[특별기획] 중요한 일은 표면에서 일어난다 '금속 표면처리'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여러 국가와 기업에서 친환경 정책을 시행하기 때문이다. 홍 본부장은 “EU에서는 오래
전
부터 6가 크롬 사용을 규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6가 크롬 도금 규제가 국제사회에서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도금 약품은 물론 6가 크롬으로 도금된 수많은 공산품의 수출길이 막히게 된다는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기술정책이란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바로 적용 가능한 응용과학기술 연구 지원은 한국 정부의 지원 방식을 대표합니다. 냉
전
이후로도 국가는 과학의 중요한 후원자로 남았습니다. 군사기술 분야는 물론 첨단 산업까지, 과학이 국가경쟁력의 지표가 되는 중요한 척도로 자리매김했기 때문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자료에 의하면 ... ...
[SF소설] 더 마더(THE MOTHER)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편집자주. 2023 SF스토리 공모
전
총36편의수상작중 양자나노과학연구단 특별상을 수상한 소설을 지면에 소개합니다. 2175년2175년 스코틀랜드 포트 윌 ...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
전
과 저소득·소외계층의 복지 증진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 ...
몇 번째 사귄 사람과 결혼할까? 비서 문제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결혼을 잘하려면 연애를 많이 해봐야 한다’라는 말이 있다. 수학적으로 따졌을 때도 이 말이 맞을까? 대체 몇 번째 사귄 사람과 결혼하는 것이 가장 좋은 걸까? 수 ... 사귄다면 5명까지 사귄 다음에 지금까지 만난 사람보다 더 멋진 사람을 만났을 때 결혼하는
전
략을 쓰는 것이 좋다 ... ...
살살 녹는 고기의 비밀은 방정식으로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데 도움주기 위해 소고기의 맛을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만들었다. 2006년부터 5년간
전
국 소비자 4600명을 대상으로 근내지방도(마블링), 부위, 숙성 정도, 요리 방법 등 고기 맛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다르게 한 소고기의 맛을 평가하는 조사를 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연한 정도인 연도를 ... ...
파인만도 못 푼 스파게티 미스터리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만든 뒤 스파게티 면을 정확하게 반으로 쪼개는 방법을 계산했다. 이 모형을 이용해 13년
전
오돌리와 노이커치가 발표한 논문도 이론적으로 설명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보통 판매되는 24cm 길이의 스파게티 면은꼬인 상태에서 구부리면 2개로 쪼개진다 ... ...
가뭄으로 뱃길이 막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잇는 항로가 있어요. 따라서 이번처럼 기후위기로 운하에 이상이 생기면 그 피해가
전
세계로 확산됩니다. 파나마 운하를 통해 미국과 무역을 하는 해운 업체 HMM의 노지환 홍보부장은 “파나마 운하가 막히면 돌아갈 수 있는 다른 운하와 다르게 대안이 거의 없다”며 “파나마가 배 통행량을 더 ... ...
기후위기가 뱃길을 바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북극항로 개척은 일부 국가에게 경제적으로 이득을 줄지 몰라도, 기후적으로는
전
세계에 예측 불가능한 이상기후를 가져다 주기 때문에 어떤 부작용이 생길지 모른다”고 지적했습니다. ●부동항: 1년 내내 얼지 않는 항구 ... ...
기상청 취재기, 예보관의 하루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외부에서 열려요. 날씨에 따라 경기 진행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강원도 평창의 날씨가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죠. 당시 각국의 수치예보모델은 평창에 극단적인 추위가 나타나고 폭설이 내릴 것으로 예측했어요. 하지만 우리나라 예보관들은 경기가 가능한 날씨일 거라고 생각했죠. 우리나라의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