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하생
학생
동공
동자
눈동자
사람
자손
d라이브러리
"
제자
"(으)로 총 516건 검색되었습니다.
“공학의 꿈 키우며 정 나누는 공간”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지나는 친구들, 선생님들마다 웃음띤 인사를 건넬만큼 유쾌한 친구이자 사랑스러운
제자
로 꼽힌다. “저는 작은 키를 제 장점으로 꼽아요. 타인에게 좀 더 겸손하게 보이는 것 같아요. 그래서 노력한 데 비해 더 좋게 평가받는 것 같아요.” 본분인 학업과 관련된 활동에도 열정적으로 도전한다. ... ...
[수학클리닉] 함수 정복하기!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성산중 학생들의 생 생 노하우기자는 성산중학교 2학년 11반 교실에서 양윤진 선생님의 애
제자
6명을 만났어요. 특별히 평소 수학 공부에 관심과 애정이 많은 친구들이었죠.오늘의 주제가‘함수’인 만큼 그동안 공부했던 함수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봤어요. 함수를 배우고 시험공부를 하는 동안 ... ...
Part 2. 머리 좋은 가수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이미지로 시청자들에게 동정과 연민을 샀던 김태원의
제자
3명은 빅4까지 갔고
제자
2명이 결승을 치르게 됐다.노래 실력보다 외적인 요소에 의해 우승자가 달라지는 이유는 위대한 탄생과 슈퍼스타K와 같은 프로그램이 대중적 감동의 코드를 흥행의 요소로 크게 고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 ...
Part 1. 대한민국 영재들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좋지만 방식이 잘못됐다는 의견도 많다”고 말했다. 영어 강의에 대해 재학생들은 “
제자
들에게 최대한 많은 것을 가르치고 싶은 마음은 모든 교수님이 같은데, 영어 말하기 능력에 따라 수업의 양과 질이 다르다”며 안타까워했다. 한 학생은 “평소 연구실에서는 재미있게 말씀하시는 교수님이 ... ...
1984년 발터 게링 교수의 호메오박스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취리히에서 태어난 게링 교수는 취리히대의 저명한 동물학자 에른스트 하돈 교수의
제자
로 연구자의 삶을 시작했다. 당시는 1953년 왓슨과 크릭의 DNA 이중나선 발견으로 유전자의 실체가 밝혀진 지 10여 년이 지난 때라 돌연변이체를 연구해 염색체에서 그 원인이 되는 유전자의 위치를 밝히는 연구가 ... ...
Part 2. 여성 수학자, 리더가 되다!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소피 모렌이 2014년 최초의 여성 필즈상 수상자이자 필즈상을 받는 제라드 라몽의 세 번째
제자
가 될 수 있을까?2014년 한국에서는 국제수학자대회가 열린다. 수학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수학자에 대한 관심은 아직 낮은 편.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수학자들의 큰 축제인 만큼 여성 수학자에 대한 관심을 ... ...
Part 1. 역사 속의 최초, 그녀는 누구?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그녀는 유럽으로 건너갔다. 소냐는 해석학의 아버지인 독일의 카를 바이어슈트라스의
제자
가 됐고, 괴팅겐대에서 편미분방정식 연구로 여성 최초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또 1888년에는 ‘고정점을 중심으로 한 고체의 회전문제에 관하여’란 논문으로 파리아카데미의 보르댕상을 받았다. 이 논문은 ... ...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생물학과의 게롤프 슈타이너 전 교수는 2차 세계대전이 막바지던 때에 방공호와
제자
의 집을 전전하며 암울한 삶을 보냈다. 그러나 천진난만한 상상력은 어두운 삶 속에서도 빛을 잃지 않는 법. 그는 전에 없던 왕성한 창작력과 필력으로 한 생물 목(생물 분류의 중간 단계)을 그림과 글로 완벽하게 ... ...
오일러가 사랑한 수 e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글자 e를 선택했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오일러는 매우 겸손한 사람이라 평소 동료나
제자
를 위해 자신의 연구 결과를 늦게 출판했다는 것을 생각한다면 그럴 가능성은 낮다. 어쨌든 이 기호는 오일러의 책에 인쇄된 이후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이제 오일러 수 e가 수학적으로 어떻게 ... ...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생물학과의 게롤프 슈타이너 전 교수는 2차 세계대전이 막바지던 때에 방공호와
제자
의 집을 전전하며 암울한 삶을 보냈다. 그러나 천진난만한 상상력은 어두운 삶 속에서도 빛을 잃지 않는 법. 그는 전에 없던 왕성한 창작력과 필력으로 한 생물 목(생물 분류의 중간 단계)을 그림과 글로 완벽하게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