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입"(으)로 총 1,000건 검색되었습니다.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정확하게 목표하는 영역만을 활성화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특정 약물을 주입해 뇌 영역을 자극하거나 억제하는 방법도 사용했지만, 이 역시 약물이 체내에 흡수되는 정도를 조절하기 어렵고, 약물에 반응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매우 느리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빛으로 이온채널 ... ...
-
- [Career]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세포가 자리 잡고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었다. 세포를 정확한 위치에 주입할 수 있도록 ‘세포 정밀 패터닝 장치(Guide Slit)’도 고안했다. 신 연구원은 “바이오칩 같은 실험 도구를 직접 개발한 경험이 없었던 만큼 시행착오를 수 없이 겪었다”며 “그럴 때마다 재현성을 확보할 수 ... ...
-
- [과학뉴스] 피부에 붙이기만 해도 독감이 예방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패치를 팔목에 붙인 뒤 20분이 지나면 바늘이 녹으며 안에 들어 있던 백신이 피부로 주입되는 원리지요. 패치의 미세 바늘은 설탕 성분으로 만들어져서 사람에게 해롭지 않아요. 또 바늘이 워낙 얇고 작기 때문에 신경세포가 통증을 인식하지 못할 정도지요. 하지만 몸에 항체가 생기고 독감을 ... ...
-
- Part 1. 번번이 놓치는 모기, 잡기 어려운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사실을 알아차리는건 대부분 모기가 이미 날아가 버린 뒤예요. 우리 몸은 모기가 주입한 침을 외부에서 침입한 이물질로 여겨요. 그래서 몸에 들어온 이물질을 없애기 위해 면역 반응이 일어나지요.바로 이 면역 반응 때문에 피부가 빨갛게 부어오르며 가려워진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못했다”며 “다만 올해 3~4월 지하에 뚫은 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많은 양의 물을 주입했고, 당시 규모 3.0의 지진이 발생했다는 점에서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4. 지진 피해 컸던 이유는포항 지진은 경주 지진에 비해 규모가 0.4작았다. 지진에너지로 따지면 4분의 1 수준이다. 그럼에도 체감 ...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해당하는 36개 배아에서 모자이크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수정 뒤 크리스퍼를 주입한 이전 연구에서는 과반수 이상의 배아에서 모자이크 현상이 발견됐다. 이번 논문의 제3저자인 박상욱 IBS 유전체교정연구단 연구위원은 “정자와 난자의 염색체가 만나는 시기에 크리스퍼가 작동해 ... ...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복잡한 뇌의 언어 체계를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면 각종 지식을 암호화해서 뇌에 주입하는 것도 허황된 꿈만은 아니다. 실제로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연구팀은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전환하는 해마 부위에 전기 자극을 가해 기억을 조절하는 ‘해마 칩’을 개발하고 있다. 한편 ... ...
-
- [Career] 우리만 가졌다 차세대 전극 제조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구리나노선을 넣은 진공 장치에 전기장을 걸어 플라스마 상태를 형성한 뒤 메탄 가스를 주입하면 섭씨 400도 정도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그래핀 박막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이용했다. 그래핀으로 코팅한 구리나노선으로 투명전극을 만들어 실험한 결과 전극의 성능을 판단하는 요소인 ...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라이고 과학협력단 대변인 가브리엘라 곤잘레스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 교수가 “암맹주입은 없었다”고 확인했다. 더 정밀한 검증을 통해 중력파가 틀림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2015년 12월 26일 두 번째 중력파 신호가 포착됐다. 그리고 2016년 2월, 연구단은 전세계인을 향해 외쳤다. “우리가 ... ...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약물이 기억 T세포의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약물을 주입하자, 항원에 노출됐을 때 대조군에 비해 기억 T세포가 더 많이 생성됐고 항원에 두 번째로 노출됐을 때 기억 T세포가 더 왕성하게 활동했던 것이다. 전혀 예상치 못한 현상이었다. 또, 2013년 미국 워싱턴대 의대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