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궁금증 해결! 출동, 슈퍼M] 바코드는 어떻게 만드는 건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막대기의 굵기와 배열이 다르지요. 바코드는 1949년 미국의 조 우드랜드라는 발명가가 처음 만들었어요. 짧은 선과 점으로 문자를 만들어 신호를 보내는 ‘모스 부호’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지요. 하지만 당시에는 바코드를 빠르게 읽는 기술이 발달하지 않아서 바로 사용하지는 못했어요. 이후 약 2 ...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버섯의 여왕에겐 고약한 냄새가 난다? 말뚝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아닙니다. 완전히 성숙하기까지 며칠이 걸리는 일반적인 버섯들과는 달리, 말뚝버섯류는 처음 피기 시작하면 불과 몇 시간 만에 성숙한 상태가 됩니다. 말뚝버섯류가 자라는 속도는 한 시간에 10~15cm 정도로 알려져 있어요. 이후 완전 성숙 상태가 되면 급격하게 시들어 버리는데요, 이 때문에 멋지게 ... ...
- [이달의 과학사] 1667년 6월 15일, 인간에게 첫 수혈,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수혈은 이듬해 6월 15일, 프랑스 루이 14세의 주치의였던 장 밥티스트 드니에 의해 처음 이뤄졌습니다. 장 밥티스트 드니는 사람이 아닌 양의 피를 고열에 시달리던 15세 소년의 정맥에 수혈했어요. 이 소년은 수혈 후에도 살아남았지요. 이후 몇 차례 더 수혈 치료가 시도되었는데, 일부 환자가 수혈 후 ... ...
- 위로와 희망이 공존하는 실패 나눔의 장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나타나 그 내용을 발표합니다. 하지만 그의 논문에는 오류가 있었습니다. 와일스 교수는 처음엔 혼자서 오류를 수정하다 도저히 안돼서 그의 제자와 협력했지만 끝내 오류를 수정하지 못했어요. 결국 증명에 실패했다는 소문이 돌지요. 무려 15개월이 지난 1994년 9월 19일 아침, 증명을 거의 포기했던 ... ...
- [수학체험 유랑단] 막대 던져서 π 근삿값 구하기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스타니스와프 울람이 중성자가 원자핵과 충돌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묘사하기 위해 처음 고안했어요. 확률은 도박에서부터 연구가 시작됐다보니 당시 카지노로 유명한 도시인 모나코의 몬테카를로의 이름을 땄어요. 오늘 소개할 체험에선 수십 개의 작은 막대를 여러 번 던져서 나온 데이터를 ... ...
- [르포] '씨즈' 숏다큐 : 물에 잠기는 도시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매니저는 “이전까지 침수 경험이 거의 없던 뉴요커들이 도심 침수의 위험성을 이때 처음 자각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뉴욕의 폭우는 최근 들어 잦아졌다. 뉴욕의 역대 시간당 강수량 데이터를 보면, 배수 시설의 최대 용량(시간당 44.45mm)을 넘는 폭우가 2020년과 2021년에 연속해서 왔다. 지난 9월 2 ... ...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스테인리스, 몸통은 아크릴이고요. 데이터 수집기와 카메라, 낙하산을 장착한 로켓이니 처음 종이로켓에 비하면 무척 발전했네요. 그런데 왜 1년 전 시점에 해결된 연료 문제가 발사를 방해한 건가요? 정승호: 습도 때문에 그래요. 장마철이어서 공기 중 습도가 무척 높았는데, 습도가 높으면 연료가 ... ...
- [최신 이슈] 태우는 게 최선일까? 지구 오염시키는 우주 쓰레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이 방식으로는 지구도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가 새롭게 제기됐다. 10월 3일, 사상 처음으로 우주 쓰레기에 벌금이 부과됐다.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자국의 위성 TV 업체인 디쉬 네트워크에 15만 달러(약 2억 원)의 벌금을 내라고 명령한 것이다. 해당 업체의 위성이 임무를 다했으나 폐기하지 ... ...
- [최애은하] 제임스 웹 설상가상 미스터리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속으로 밀어넣었다. 우주 팽창을 파악하는 두 가지 방법 에드윈 허블이 우주의 팽창을 처음 발견한 이후, 천문학자들은 쭉 우주가 얼마나 빠르게 커지는지를 관측해오고 있다. 우주의 팽창을 파악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허블 때부터 이어지는 방법이다. 다양한 거리에 놓인 ... ...
- [4컷 만화] 나비는 어디에서 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무려 1만 9000여 종에 이를 정도로 그 종류가 많고 다양합니다. 나비는 어디에서 처음으로 나타났을까요? 미국 플로리다대학교를 포함한 공동연구진이 지난 5월 15일 최초의 나비를 밝혀냈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진은 90개국 2244종의 나비에서 생명의 정보를 담고 있는 유전물질인 DNA를 수집해 나비의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