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식
침범
침략
삭마
마모
소모
erosion
d라이브러리
"
침식
"(으)로 총 34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돗물 불소화는 꼭 필요하고 안전하다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이용할 수 있어서 산이 잘 만들어진다. 음식물을 반복해서 먹으므로 바닷물이 바위를
침식
시키듯이 세균이 만드는 산이 치아면을 계속 녹여서 충치가 발생된다. 여기서 충치는 벌레가 갉아먹어서 생기는 것이 아니므로 충치라는 말은 실은 옳은 명칭이 아니다.먹는 물에 함유된 불소이온이 충치를 ... ...
달은 왜 크기가 변할까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쉽게 들 수 있다.4.한번 찍은 발자국은 지워지지 않는다. 달에는 공기가 거의 없어
침식
작용이 매우 느리게 일어난다. 암스트롱이 찍어놓은 발자국은 수십만년이 지나도 보존될 수 있을 정도다.5.낮에는 여름옷, 밤에는 겨울옷을 입어야 한다. 달에서는 일교차가 심해 햇빛이 비치는 곳은 약 1백20℃로 ... ...
정보 전도사들이 주장하는 디지털사회의 신화들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지금의 추세를 보면 인터넷이 자유시장 이데올로기에 의해
침식
당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사이버스페이스라는 공간이 현실세계와의 긴장 관계를 놓아버릴 때 개인주의화의 촉매제로 전락할 우려도 항시 존재하고 있다.지적 재산권은 승화될 ... ...
소저너 탐사일지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픽스’다. 파노라마 사진을 분석한 과학자들은 트윈픽스에서 수평 띠가 보이는 것은
침식
에 의한 퇴적층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 앞쪽에 나타난 각이 진 바위들은 가까운 크레이터에서 충격에 의해 날아온 것으로 보고, 둥글둥글하게 생긴 바위들은 화성이 진화할 때 수많은 홍수에 의해 ... ...
일본 규슈 화산지형 탐사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지정됐다. 아오시마는 사질셰일과 니암이 번갈아가며 발달한 퇴적암이, 파도의 차별
침식
작용으로 인해 빨래판 모양으로 변했다. 우리나라 남해안 지역에서도 이러한 지형을 찾아볼수 있는데, 특히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 공룡해안에는 지층이 수직으로 절벽을 이루고 있다. 반면 아오시마는 1 ... ...
96화성퍼레이드 적색경보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구조물이 있다. 이를 두고 많은 사람들이 외계인이 세웠다고 믿고 있다. NASA는 바람의
침식
과 햇빛으로 생긴 그늘 때문이라고 말하지만 사람들이 믿지 않는게 문제다. 글로벌서베이어가 화성에 도착한다면 그 진실은 확실히 밝혀질 것으로 보인다.붉은 별 징크스러시아는 오래 전부터 화성 개척에 ... ...
프로톤로켓 마지막 점화 실패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깊이 너비 길이 등을 적당한 방법으로 수량화하는 것에 따라 표시된다 이것은 그
침식
작용이 이루어진 시대의 신구(新舊)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핵을 다른 세포질로 바꿔치는 일 다른 종 사이의 잡종(A×B)을 어머니 쪽으로 하고, 여기에 한쪽 어버이(B)를 아버지 쪽으로 하여 여교잡(戾交雜, ... ...
오일색깔로 건강진단한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감소됐을 때 맑은 물만 보충해주면 된다. 냄새가 없고 증발하지도 않으며 도료를
침식
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혹한기는 물론 혹서기에도 사용할 수 있어 보통 ‘4계절용 부동액’이라고 불린다.경정비업소들은 매년 늦가을이 되면 부동액을 넣고 봄에는 냉각작용을 더욱 강화시킨 일명 ‘쿨란트’란 ... ...
서울 면적의 1.6배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끈질긴 잔디마저 추방된다.키 큰 초본들이 듬성듬성 들어선 부분은 비바람으로 크게
침식
돼 낮은 구릉형의 황량한 초원이 형성된다. 이곳은 꽉 짜인 뿌리가 '인해전술' 방식으로 번식해 가는 '수크령'이란 키 큰 벼과식물이 빼곡이 들어서 야릇한 경관을 낳는다. 마치 한 폭의 그림을 그리고 싶은 ... ...
생태계 천적, 자연의 무법자들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오늘날 부레옥잠은 5개 대륙 50개국에서 출몰하고 있다.또다른 불행한 귀화식물은 토양
침식
에 대처할 목적으로 미국에 전파된 중국 덩굴식물 칡(kudzu)이었다. 이 불멸의 식물은 미국 삼림의 1백 60만ha를 침범하여 약5천만 달러의 국가경제 손실을 가져왔다. 아직까지 이를 없앨 뾰족한 대책을 찾지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