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탐험
연구
답사
탐방
탐구
현지답사
d라이브러리
"
탐사
"(으)로 총 2,671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다누리 달에서 할 일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4호
발사할 예정이에요. 우리나라는 보다 도전적인 우주
탐사
를 위해 차곡차곡 독자적인 우주
탐사
역량을 갖출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Q어린이 독자들에게 하고 싶은 이야기 있으신가요?이번 누리호 발사 성공으로 우리나라는 국제 우주개발 협력국에서 파트너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조건을 갖추게 ... ...
플라스틱 다이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4호
쉽게 할 수 있었어요. 어렵지 않은 작은 실천에 습관을 들이면 좋을 것 같아요. 줍깅
탐사
황윤지 기자 공원에서 줍깅종이컵, 담배꽁초, 음료수병 등 공원에 버려져 있는 쓰레기를 주웠어요. 의자에 앉아서 쉬고 계시던 할머니, 할아버지께서 칭찬해 주셔서 뿌듯했어요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4호
있으면 작은 입체 모형은 물론 인공 장기나 음식 등까지 만들어낼 수 있어요. 미국 우주
탐사
기업 릴래티비티 스페이스는 금속을 인쇄하는 3D 프린터로 로켓을 만들었습니다. 이 로켓의 연료 탱크는 콜라 캔보다 얇다는 특징이 있어요. 그만큼 가볍지만, 내부에 튼튼한 고리 구조의 금속들이 ... ...
[지구사랑
탐사
대] 도랑에 빠진 개구리를 구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4호
그렇게 모은 자료를 잘 정리해 놓으면 추후에 다양한 곳에 활용될 수 있어요. 또한
탐사
지에 가서 생물을 발견하지 못했어도 발견하지 못했단 사실을 기록해야 합니다. 그 주위 환경, 날씨, 기상 상황 등을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기록해 두면 생물이 있을 때와 없을 때를 비교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가 ... ...
[지구사랑
탐사
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4호
팀
탐사
생물 나비 애벌레발견 위치 서울 강동구 제비전은서 대원 | 헤드위그 팀
탐사
생물 제비발견 위치 강원 속초시 하정주 매니저새끼 제비들이 많이 자라서 집이 좁아 보여요 ... ...
플라스틱 다이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많이 어렵지는 않았어요. 분리배출을 실천하고 인증하는 것이 재미있었어요! 줍깅
탐사
정혜주 기자날아다니는 쓰레기를 잡아라!아파트 단지에서 킥보드를 타다가 바람에 굴러다니는 쓰레기를 보았어요. 곧장 주워서 쓰레기통에 버렸답니다. 쓰레기를 길가에 함부로 버리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 ...
[그래픽뉴스] 투탕카멘 발굴 100주년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1922년 11월 영국 고고학자 하 워드 카터는 수년간의
탐사
끝에 이집트 왕들의 계곡에서 땅에 묻힌 계단 일부를 발견한다. 이 계단은 3000년 전 투탕카멘의 무덤 입구였다. 그 후 몇 달 동안 고고학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발견 중 하나인 투탕카멘 무덤에서 수천 개 유물이 발굴됐다. ...
지구사랑
탐사
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나비의 짝짓기 현장을 관찰할 수 있어요! 나비 안리도 대원 곶자왈
탐사
대 팀
탐사
생물 나비발견 위치 제주 애월읍 하정주 매니저날개의 무늬가 마치 다른 동물의 눈처럼 보이지 않나요? 궁금해요!서진하 대원헤클보이 팀 Q제 신발에 붙어 있던 이 애벌레는 어떤 종인가요 ... ...
[과학뉴스] 달에서 식물을 기를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실제 달에서 토양을 가져와 식물을 기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어요. 우주인들이 달
탐사
임무 중 직접 식물을 재배해 음식과 산소를 공급받을 가능성이 열린 거죠. 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아폴로 11호와 12호가 1969년에, 17호가 1972년에 달에서 가져온 흙 중에 12g을 받아 실험을 했어요. ... ...
지구사랑
탐사
대, 10주년을 맞다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임팩트 재단에서 지구사랑
탐사
대를 후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앞으로
탐사
에 활용하는 애플리케이션(앱)을 개선하고 더 많은 연구자를 지원하는 등 공공성과 개방성을 더욱 확장하는 방향으로 시민과학 프로젝트를 발전시킬 계획이다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