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통과"(으)로 총 2,93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표준모형 넘어설 5번째 힘 범위 좁혔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수 있고 초끈이론과도 관련이 있다. 규소 결정에 중성자빔을 쏘면 원자가 늘어선 평면을 통과하면서 중성자는 정상파(진동의 마디점이 고정된 파동)를 형성한다. 이때 서로 다른 경로로 만들어진 두 정상파가 간섭해 희미한 움직임인 ‘펜델로슝 진동’을 만들어내는데, 이 진동은 중성자가 규소 ... ...
- [논문탐독] 이미지와 자연어를 연결 짓는 새로운 딥러닝의 등장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캡션이 달려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연구팀은 강아지 이미지와 캡션을 인코더에 통과시켜 각각 이미지 벡터와 자연어 벡터로 만들었습니다. 이 둘은 다른 종류의 데이터지만 의미하는 바는 같습니다. 연구팀은 두 벡터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학습을 진행해 이미지와 자연어의 관계까지도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이재형 천문대장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볼 수 있답니다. 자, 그럼 여기서 퀴즈! 다음 중 가장 파장이 길어 대기를 잘 통과할 수 있는 색깔은 무엇일까요?① 빨간색② 노란색③ 초록색④ 파랑색⑤ 보라색 홈페이지(kids.dongascience.com)의 ‘와르르 선물터’에 비밀댓글로 정답을 남겨 주세요. 당첨자 중 2명을 뽑아 ... ...
- [화보]이 밤 끝에 구름 위로 해가 내렸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블레이드(2). 보잉 737 랜딩기어 내부에서본 모습(3). 비행운을 만들며 ‘하늘의 섬’ 달을 통과하는 보잉 747(4). “비행을 하던 중 북극해의 빙하에 반사되는 북극광 쇼를 7시간 30분 동안본 적이 있다. 믿을 수 없을 정도로 특별한 순간이었다. 미국 시카고에서 알래스카 북쪽을 넘어 중국 정저우까지 ... ...
- [JOB터뷰] 프로파일러, 배우로 2막을 올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거쳐요. 사격, 체포술 외에도 무도(태권도, 검도 등), 오래달리기, 팔굽혀펴기 등도 통과해야 하니 평소 열심히 운동을 하세요. 또,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자기만의 스트레스를 완화하거나 사건에 집중할 수 있는 방법을 터득하는 것도 중요하답니다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20화. 축구와 수학의 귀환수학동아 l2021년 08호
- 한국 국가대표팀이 잘 싸워내리라 기대합니다. 만약 한국이 이번 최종예선을 통과하면 아시아 최초이자 세계 6번째로 월드컵 10회 연속 진출이라는 대기록을 세우게 됩니다. 벌써부터 한국팀이 치러낼 10번의 경기를 상상하니 심장이 두근거리기 시작합니다. 코파 2021과 유로 2020, 각 지역 최강자를 ... ...
- [chapter1] 왜 퓨처 모빌리티인가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줄였지만, 이 기준을 60만 대로 상향하는 방안을 현재 검토하고 있다. 이 방안이 통과되면 자국 업체인 제너럴모터스(GM)와 테슬라의 전기차를 구매하는 소비자도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보조금 규모 역시 한 대당 최대 7500달러(약 856만 원) 수준에서 최대 1만 2500달러(약 1426만 원)까지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8화. 숫자 암호가 안내한 곳은? 파헤칭단에게 보물을 뺏길 순 없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못해 고민 중이었지. 그러다 우주순찰대 우주선이 오는 것을 보고 숨어 있었다. 입구를 통과한 뒤로 지금까지 이 초소형 곤충 드론으로 너희를 추적하고 있었지. 우리를 보물로 안내해줘서 고맙다. 얘들아, 넷을 함께 꽁꽁 묶어 버려!”‘이런, 루띠가 동굴에서 본 불빛이 그거였나?’파헤칭단 무리가 ... ...
- [가상 인터뷰] 하와이가 ‘무지개 맛집’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때는 파장에 따라 꺾이는 각도가 달라. 우리 눈에 흰색으로 들어오는 햇빛은 물방울을 통과하며 굴절되어 빨간색부터 보라색까지 무지개색으로 펼쳐지지. 무지개는 대기 중에 물방울이 있으면서 햇빛이 있어야 하는 까다로운 조건 때문에 자주 볼 수 있는 현상이 아니야. 그런데 왜 하와이에서는 ... ...
- [이달의 우주 날씨] 8월의 밤하늘 수놓을 페르세우스 유성우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어떨까요? 유성은 우주를 떠도는 먼지가 지구의 중력에 사로잡히면서 대기권을 통과할 때 빛과 열을 내는 현상이에요. 평소에는 우리 눈에 보일 정도로 밝은 유성은 관측하기 어려워요. 하지만 지구가 우주 먼지가 모여 있는 곳을 지나갈 때는 다수의 유성이 한꺼번에 빗방울처럼 쏟아지는 현상인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