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결방법"(으)로 총 4,0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실험실에서 태어나는 아기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한때는 상상일 뿐이었습니다. 1818년 소설 ‘프랑켄슈타인’의 주인공이 실험실에서 만들어지고 1932년 소설 ‘멋진 신세계’에서 아기들이 공장에서 만들어지는 것처럼, 생명을 만드는 일 말입니다.하지만 이젠 현실에서도 가능합니다. 올해 7월, 니콜라 리브론 오스트리아 분자생명공학연구소(IMBA) ... ...
- [슬기로운 세특 생활] 연세대 컴퓨터과학과에 입학한 건에 대하여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방법만 터득하면 세특만큼 쉬운 게 없어요”8월 26일, 연세대 신촌캠퍼스에서 만난 이준성 씨는 세특이 쉬웠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이준성 씨가 말하는 그 ‘방법’이 뭔지 알아봤습니다. 연세대 컴퓨터과학과 22학번 학생의 따끈따끈한 세특 팁을 아래에서 확인해 보시죠! 세부능력 특 ... ...
- [똥손 수학체험실] 종이상자로 뚝딱뚝딱 로봇 친구 '프로보'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9호
- 똥손 기자가 ‘우주순찰대원 고딱지’에 나오는 캐릭터 중에서 가장 좋아하는 ‘프로보’! 물건을 사고 남은 종이 상자를 물끄러미 보던 똥손 기자는 생각했어요.‘흠, 종이 상자를 버리긴 아까운데 이걸 이용해서 프로보를 만들어볼까?’ 다양한 재료를 활용해 무엇인가를 만드는 활동을 ‘메 ... ...
- 네, 그래서 이과가 순간이동기술을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어느 출근길, 큰 고민에 빠졌습니다. 친구가 “월요일이라 짜증 날 너희를 위해 준비했다”며 단톡방에 올린 이미지 때문이었죠. 이미지엔 ‘이 중에서 알약 한 개만 먹을 수 있다면?’이란 질문과 함께 아홉 가지의 초능력 알약이 그려져 있었습니다. 신체 능력이 20배 강해지는 알약, 매일 300만 원 ... ...
- [논문탐독] 중독에 강하거나 약하거나 우리 뇌에 달려 있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너 게임 중독이야.’중, 고등학생 시절 취미로 게임을 한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이야기죠. 다른 친구들에 비하면 그리 많이 하지도 않은 것 같은데, 게임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말입니다.우리 사회에서는 무언가를 좋아해서 그것을 계속 원하는 상태를 ‘중독’이라 ... ...
- [2교시] 확장판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를 푼 수학자를 만나라!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최근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를 확장한 50년 난제가 해결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그 내용을 알아보고 연구자를 만나세요. 1973년 헝가리 수학자 에르되시 팔은 확장판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를 생각했어요. 어떤 점 2개도 동시에 여러 선에 포함되지 않도록 ‘하이퍼그래프’를 그리면서 선들 ... ...
- 양성자 없는 기묘한 원자핵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물리학계에는 오래된 궁금증이 있다. 중성자만으로 이뤄진 원자핵이 있을까. 자연계에 양성자만으로 구성된 원자핵은 있지만 중성자만으로 구성된 원자핵은 찾아볼 수 없다. 그런데 최근 국제공동연구팀이 중성자 4개로만 이뤄진 핵(테트라 중성자)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에 발견된 테트라 ... ...
- [수학 뉴스] 순식간에 대학교 수학 문제 푸는 AI 나왔다!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인공지능(AI)은 수학 문제를 잘 풀까요? 지금껏 AI가 대학 수학 문제를 풀었을 때의 정답률은 약 8%에 불과했어요. 그런데 최근 80%가 넘는 높은 정답률로 수학 문제를 푸는 AI가 나왔습니다. 미국 매사추세스공과대학교(MIT), 하버드대학교, 워털루대학교, 컬럼비아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수학을 전공한 ... ...
- [DGIST@융복합파트너] 배터리의 한계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사람들은 건강 검진을 할 때 자기공명영상(MRI)을 찍잖아요? 배터리의 건강을 진단할 때도 비슷한 장비를 쓸 수 있죠.”7월 26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에서 만난 이홍경 에너지공학과 교수가 실험실 입구에 놓인 커다란 투명 박스를 가리켰다. 자기장 영상(MFI·Magnetic Field Imaging) 장치였다. 사람 ... ...
- [수학이란?] 수학은 예술의 하나수학동아 l2022년 08호
- Q. 수많은 추측을 해결했는데, 그 과정에서 어려움은 없었나요? A. 똑똑한 수학자가 정말 많아요. 수학자들끼리 보드게임을 하잖아요? 처음 접하는 게임도 금세 규칙을 이해하고 전략을 세워서 게임해요. 그러면 전 정말 한 판도 못 이겨요. 운에 의존하는 게임 말고는요. 그만큼 전 수학자 치고 배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