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친절
친선
온정
선의
애정
은혜
은총
d라이브러리
"
호의
"(으)로 총 308건 검색되었습니다.
서베이어호 화성 도착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서베이어 우주선은 1993년 8월에 화성궤도 진입에 실패해 우주 미아가 된 마르스옵서버
호의
실패를 반전시키는 계기가 되고 있다. 마르스옵서버호는 궤도진입시 역추진장치에 압력을 높이는 순간 궤도를 이탈해 우주공간으로 사라졌다 ... ...
다시 뜨는 달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아폴로계획을 완성하고 관심을 달에서 행성간 탐사에 돌렸고, 옛 소련도 1976년 루나24
호의
시료채취여행 이후로 달에 대한 관심을 화성, 목성, 토성 등 다른 행성에 돌렸다.인류는 그동안의 탐사를 통해 달표면의 98%를 근접촬영하고 정밀한 월면도를 작성할 수 있었다. 또 달에서 채취해 온 암석과 ... ...
화석수집열풍 지구비밀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발견된 지역 가운데 거대한 땅덩어리를 가진 중국이 빠질 리 없다. ‘과학동아’ 96년 10월
호의
‘과학소식’에는 ‘중국에서 발견된 세계 8번째 시조새 화석’이란 기사가 실려 있다. 이에 따르면 1994년 요녕성 농민들에 의해 새의 직계 조상일 가능성이 높은 공자새(시조새의 중국이름) 화석이 ... ...
타이태닉호 침몰 그 이후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최후우리가 사는 이 세상에는 논리적으로 설명될 수 없는 일들이 적지 않다. 타이태닉
호의
침몰과 관련된 주변 이야기도 이 가운데 하나를 차지하고 있다.사고가 일어나기 14년 전인 1898년 소설가 몰건 로버트슨은 인간의 탐욕과 무지를 꾸짖는 ‘무용지물’(futility)이란 소설을 썼다. 타이탄이란 ... ...
1. 검은 황금 찾는 한국심해자원 개발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생산만을 기다리고 있는 실정이다.망간단괴는 1873년에서 1876년까지 이뤄진 H. M. S. 챌린지
호의
대양탐사에 의해 처음 발견됐다. 수심 4천-5천m의 해저면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 망간단괴는 나이테를 그리며 점차 성장하는 광물이다. 바닷물 속의 광물질들이 퇴적물이나 바위조각에 부착돼 자라는 ... ...
공룡은 암에 걸려 멸종됐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엉뚱한' 자신의 주장을 왕성하게 여러 학회지에 발표했는데, 다른 학자들의 반응은 매우
호의
적이다. 집단 멸종에 관한 가장 유력한 제의자 중 한 사람인 시카코 대학의 데이빗 슈람 박사같은 이도 "이론적으로 보아 충분히 가능한 일"이라며 콜라 박사의 의견에 동의하고 있다 ... ...
2. 한국우주개발의 신호탄 우리별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1백10분에 한번씩 지구를 돌며, 인공위성센터와 하루에 8번 교신할 수 있다. 우리별1
호의
전송 속도는 9.6kbps로 현재 전세계 아마추어 통신자들이 유용하게 이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별1호는 CCD 카메라로 2천3백㎢의 넓은지역과 2백 30㎢의 좁은 지역의 지구 표면을 촬영하고 있다. 화소의 ... ...
4. 우주개발의 원천 로켓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1972년에는 지름 3백㎜, 길이 4m인 AXR- 300을 발사했다. 그러나 공군사관 학교 역시 AXR-3003
호의
발사를 끝으로 로켓 연구를 멈추고 만다.1972년 2월 박정희대통령은 국방과학연구소에 로켓을 연구할 것을 지시했다. 그 결과가 나온 것은 1978년 9월26일이다. 국방연구소는 미국의 나이키 허큘리스를 모델로 ... ...
진화론 VS 창조론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진화론과 창조론의 논쟁을 여러번 본 적이 있는데, 항상 그랬듯이 과학동아 10월
호의
창조론의 주장은 실망스러웠다. 이는 진화론이 옳고 창조론은 그르다는 말은 결코 아니다. 진화론은 현재의 과학적 지식에 기반을 두고 있으므로 아직 설명을 못하는 부분이 많다. 과학이 더욱 발전함에 따라 점차 ... ...
1. 통신방송위성 무궁화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문제로 여러 차례 지연됐다. 이 결과 동경 110˚, 경사각도 0.04˚에 자리 잡은 무궁화 1
호의
수명은 4년 4개월로 단축됐다. 애초 10년을 내다봤던 것과는 큰 차이가 있다.어쩌면 이 정도도 행운인지 모르지만, 그동안 국민이 겪었던 정신적 피해는 참으로 컸다. 특히 엄청난 돈을 들여 만든 까닭에 국민의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