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미항공우주국
미국항공우주국
d라이브러리
"
NASA
"(으)로 총 1,90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 뉴스] 인저뉴이티, 다른 행성의 하늘을 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0호
회전시켜도 아래로 밀어낼 공기가 부족해 헬리콥터를 띄울 양력이 적게 만들어져요.
NASA
의 과학자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저뉴이티의 날개를 지구 헬리콥터의 5배가 넘는 속도인 1분에 2500번으로 빠르게 회전시켰어요. 빠른 회전 속도에도 날개가 망가지지 않도록 튼튼한 탄소복합재를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0호
거대 연필이 떴다?!지난 4월 14일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은 마치 연필처럼 생겨서 ‘연필 성운’이라고도 불리는 ‘NGC 2736’ 사진을 공개했어요. 이 성운은 지구에서부터 약 800광년 떨어진 곳에 있어요. 그 길이는 약 5만 광년이나 되죠. 사진 속 강렬한 빨간색은 이온화된 수소가, 파란색은 이온화된 ... ...
누리호 발사 카운트다운, 숨겨진 공로자들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뛰어들 수 있었다”고 말했다. 실제 스페이스X나 블루오리진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
) 출신 엔지니어를 영입하며 70년 이상의 노하우를 전수 받았다. 고 본부장은 “한국은 누리호를 통해 이제야 국내 기반기술의 초석을 마련하고 있다. 갈 길이 아직 많이 남았다”고 말했다 ... ...
탄소중립 달성, 눈속임 넘어 실질 감축 이뤄야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측정기를 이용한 관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정 교수팀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의 탄소 관측 인공위성(OCO-2) 데이터를 토대로 수도권의 탄소 배출량을 분석했다. OCO-2는 2014년 발사된 최초의 이산화탄소 관측 전용 인공위성이다. 지구에서 반사되는 햇빛이 이산화탄소에 흡수되는 정도를 측정해 ... ...
[기획] 물곰 너는 누구냐?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손상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어요. 이외에도 2011년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의 우주왕복선 인덴버호나 2007년 유럽우주국(ESA)의 Foton-M3 우주선에도 물곰이 탑승했답니다. #물곰_프로필물곰의 본명은 ‘완보동물’이에요. 이는 ‘느리게 걷는 동물’이라는 뜻으로, 1777년 이탈리아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이재형 천문대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충돌하면 대륙 하나가 초토화될 것으로 예측했고요. 그런데 지난 6일,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은 다행히 앞으로 100년 간 아포피스가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은 없다고 발표했어요. 그렇다고 지구가 안전한 건 아니에요. 아포피스 외에 ‘베누’, ‘1950DA’ 등 다른 소행성의 위협이 아직 남아있거든요. ... ...
우주로부터 지구를 지켜라! 우주위험감시센터에 가다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궤도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친 추적관측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런 자료는
NASA
의 센트리(SENTRY) 프로그램에서 얻는다. 센트리 프로그램은 소행성의 궤도정보를 이용해 향후 100년간 지구에 영향을 줄 가능성을 검토하고 위험도가 높은 소행성 정보를 공유한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다시 한번 ... ...
[수학자 가상 인터뷰]
NASA
의 ‘인간 컴퓨터’ 캐서린 존슨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9호
화장실을 따로 썼을 때였으니까요. 그래도 전 계속 열심히 했고,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NASA
가 작성한 보고서에 제 이름을 올렸어요. 남자 과학자만 들어갈 수 있었던 회의에도 여성 최초로 참석했지요. Q. 어렸을 때부터 수학을 좋아하셨나요? A. 네. 전 어렸을 때부터 숫자 세기에 빠져 있었어요.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띤 입자들이 천왕성의 고리와 충돌해 X선을 내뿜었을 것 등 다양한 가설을 내놓았어요.
NASA
는 천왕성의 X선이 생긴 원인을 알아내면 X선을 내뿜는 블랙홀이나 중성자별의 비밀도 알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답니다 ... ...
[특집] 다양한 지도를 만드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지도 기술도 발전하기 시작했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도 제작 : 1972년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의 관측 위성 (Landsat)이 발사된 이후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도 제작이 활발해졌다.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