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현장"(으)로 총 1,5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민과학 특별 탐사 - 공원과 새 (라이노비틀즈와 발자국)기사 l20231105
- 있도록 둥지가 되어주고, 앉아서 쉬거나 몸을 숨길 수 있는 그늘이 되어주는 새들에겐 꼭 필요한 존재입니다. 번개 현장 교육에서는 창경궁에서 흰꼬리딱새, 콩새, 개똥지빠귀, 딱새, 천둥오리, 원앙, 박새, 까치, 직박구리를 탐조할 수 있었습니다. 새들이 나무와 물가에서 어떻게 지내는지, 새들이 좋아하는 나무는 어떤 종류인지, 새 ...
- 창경궁에서 진행된 공원과 새 번개 후기기사 l20231105
- 저희가 관찰한 새는 총 12종 입니다. 아쉽게도 저희가 보고자 했던 나무발발이와 되새는 보지 못했지만 너무나 재미있는 현장교육이였습니다. 이제 곧 나뭇잎이 떨어져 새를 보기 좋은 겨울이 옵니다. 여러분도 겨울에 가까운 곳에서 탐조를 한번 해보시는 건 어떠신가요? 이상 허동혁기자였습니다. ... ...
- 위대한 독립운동가, 강우규 의사기사 l20231027
- 조선총독으로 온 사이토 마코토를 향해 폭탄을 던졌어요. 이 의거로 경찰 2명이 죽고 30여명 이상이 크게 다쳤지만 사이토는 살아남아 현장을 빠져나갔죠. 강우규는 결국 일제 경찰에 체포되어 사형을 언도받았고, 1920년 11월 29일에 사형당했어요. (사진출처: 연합뉴스) ☆구체적 설명 자 찬구(燦九), 호 왈우(曰愚). 1855년 7월 14일 ...
- [컵라면 실험] 컵라면의 과학을 아시나요?기사 l20231025
- 사용해야 올바른 도움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신이 났던 실험 과정입니다. 맛있고도 신나는 라면과학 실험 현장입니다. 실험을 노트에 정리했습니다. 직접 휴대폰으로 사진을 찍고 관찰한 것을 정리하면서 기억에 더 남았던 실험입니다. 라면을 좋아하는 친구들이라면 주말에 가족과 함께 실험해보시길 바랍니다. 너무 맛있는 실험이니까요 ...
- 경쟁이 싫어 진화했습니다-멧밭쥐기사 l20231025
- 이용하여 대화한다고 하네요. 이를 이용해서 초음파 탐지기로 멧밭쥐 탐사하는 부분을 고려해 보시는 중이라고 합니다. 저는 이번 현장 교육 이전에 하늘공원에서 멧밭쥐 둥지를 발견한 적이 있었는데요. 교육을 통해 멧밭쥐에 대해 더 많은 점을 알 수 있게 되어 좋았습니다. 미키마우스의 모델이 멧밭쥐라고 하는데요. 무엇보다 생존을 위해 선택한 진화 방식 ...
- 2023-2024 제 통장을 갈라버릴 아이들포스팅 l20231022
- 1. 레배카2, 밴허3.몬테크리스토4.레미제라블5. 노트르담 드 파리6. 영웅(15주년).우선 예정되어 있는 것은 다 적었는데 진짜 저거 다 보러 갔다간 전주-세종/서울 왕복을 6번 했다가 어머에개 전 죽기에 딱 1개 정해서 가야 합니다.아니 내년에 한 7년만인가에 1월달에 세종에서 노트르담 드 파리 한답니다,라이렌스인데 마이클리님 대성당 현장 ...
- 초록숲 - 231017 - 1탐사기록 l20231017
- 소래포구 갯벌 탐사 현장 채집 새물 농게 ...
- 빡세게 탐사!노랑빛 우승! 은행팀의 가을캠프기사 l20231017
- 그리고 수생식물의 현장교육은 직접 채집도구를 만들고 탐사를 나가는 방법이라고 하셨는데 재미있어 보였습니다. 다음번 수생식물 현장교육이 공지에 나온다고 꼭!한번 참여해 보고 싶었습니다. 쉬는 시간 없이 바로 수생동물이 진행되었습니다. 수생동물은 장이권 교수님이 진행하셨습니다. 생태원 내 습지에서 여러가지 동물을 관찰해 보았습니다. ...
- 서울시에 꽃봉오리보다 더 작은 쥐가 산다고? 멧밭쥐 현장교육!(feat.하늘공원)기사 l20231016
- 있다면 둥지를 한번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대부분 40cm지점에서 찾을 수 있다고 하지만, 새로 지은 둥지는 조금 더 위쪽에 위치해있고 현장교육에서 찾았던 둥지들은 키높이에 있었던 겄을 고려하면 둥지들의 위치는 다 다른 것 같습니다. 멧밭쥐가 둥지를 만들고 시간이 지나면 둥지가 갈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주변의 풀이 시들기 전에 찾는 것이 ...
- [기자의 체험 - 경기북부어린이박물관] 생태계를 구하러 출동!기사 l20231004
- 기뻤습니다. 경기북부어린이 박물관에서 가장 재미있었던 체험은 '공룡 발자국 발굴'이었습니다. 경기북부어린이 박물관 현장 취재를 하고 집으로 돌아와 전문 기자 능력 고사까지 마무리 했습니다. 경기북부어린이 박물관에서 있었던 이야기는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이상 강채원 기자였습니다. 다음에는 더 재미있는 기사로 돌아오겠습니다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