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팀목
장대
받침대
대들보
실린더
원통
지주목
뉴스
"
기둥
"(으)로 총 346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짜 화성생명체 있을까? ‘물’을 보면 알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23
게 그 증거다. 토성의 달(위성) ‘엔켈라두스’ 표면을 덮고 있는 얼음층 틈 사이로 물
기둥
이 솟아오르는 모습의 상상도. 지구에서는 이런 현상이 90도 이상의 뜨거운 물이 솟아 오르는 심해 열수구에서 일어난다. 심해 열수구 인근에는 자기영양미생물을 비롯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한다. - NASA ... ...
“토성의 달 ‘엔켈라두스’에 심해 생명체 존재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17.04.14
등이 포함됐다. 토성의 달(위성) ‘엔켈라두스’ 표면을 덮고 있는 얼음층 틈 사이로 물
기둥
이 솟아오르는 모습의 상상도. 지구에서는 이런 현상이 90도 이상의 뜨거운 물이 솟아 오르는 심해 열수구에서 일어난다. 심해 열수구 인근에는 자기영양미생물을 비롯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한다. - ... ...
내기에 진 친구의 최후
팝뉴스
l
2017.04.10
3월 30일 미국 휴스턴 경찰에 신고 전화가 빗발쳤다. 한 남자가 테이프로 묶여 교통표지
기둥
에 붙어 있다는 것이다. 경찰이 출동했을 때 두 번째 남자도 나타났다. 그의 손에는 칼이 있었다. 경찰은 당장 칼을 내려놓지 않으면 전기 충격기로 공격하겠다고 위협했다. 그런데 알고 보니 상황은 ... ...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 ‘알마’가 포착한 500만년 전 아기별 탄생 순간
동아사이언스
l
2017.04.07
탄생순간의 모습. 붉은 불
기둥
은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일산화탄소 가스이며, 푸른 불
기둥
은 상대적으로 천천히 움직이고 있는 가스다. - ALMA 제공 ‘우주의 불꽃놀이’ 별들의 요람에서 새로운 아기별이 태어나는 순간의 이미지가 포착됐다. 미국 콜로라도대 연구진은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검은등딱따구리(black-backed woodpecker)의 경우 산불이 심하게 난 곳에서 잘 산다. 불탄 나무
기둥
을 선호하는 딱정벌레가 낳은 애벌레를 즐겨 먹기 때문이다. 산불다양성의 생태적 효과는 불이 난 이듬해보다는 10년이 지났을 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기후변화로 대형 산불이 잦고 생태계도 ... ...
[뉴스분석] 북한 개발했다는 ICBM 엔진은 어떤 성능?
동아사이언스
l
2017.03.20
왼쪽) 모습과 19일 진행한 엔진시험 모습(오른쪽). 보조 엔진을 장착해 여러개의 불
기둥
이 치솟는 것을 볼 수 있다. - 북한 노동신문 제공 북한이 새로운 대형 로켓 엔진 실험에 또 다시 성공, 미국 본토까지 공격할 수 있는 ICBM (대륙간탄도미사일) 완성에 한 발 더 다가서게 됐다. 북한 노동신문은 1 ... ...
[카드뉴스] 우리 서로 조.용.히. 살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3.16
간에 소음이나 진동이 매우 잘 전달되는 구조이지요. 벽이 무게를 지탱하는 벽식구조는
기둥
이 없어 모서리 부분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고 보가 없어 층 높이를 낮출 수 있습니다. 때문에 대다수 공동주택이 채택하고 있는데요. 벽과 바닥으로만 이뤄진 벽식구조는 위층의 충격이 바닥판뿐만 아니라 ... ...
이 세상에 없는 새로운 물질 형태를 찾아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12
수많은 물질들이 결정 형태를 가집니다. 다이아몬드의 정팔면체 결정이나 석영의 육각
기둥
형태가 대표적이겠지요. 그런데 이런 결정이 만들어지는 것은 ‘대칭 깨짐(symmetry breaking)’이라는 현상 때문입니다. 이 쯤에서 ‘결정은 보통 대칭 형태를 가지는데?’라고 반박하는 분들이 생기리라 ... ...
이빨을 흉내낸 튼튼한 나노구조체를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2
치아 표면을 이루고 있는 법랑질은 수 마이크로미터 혹은 나노미터 크기의 단단한
기둥
형태의 세라믹 물질들이 수직으로 배향된 구조다. 사람뿐 아니라 공룡, 바다 속 성게까지 다양한 종의 치아에서 이러한 구조가 발견된다. 갈비를 뼈째로 뜯어도 치아가 손상되지 않은 이유는 치아의 기계적 ... ...
[생활의 시선 52] 사찰에서 본 털신
2017.02.11
고속도로 휴게소를 방불케 했을뿐더러, 매표소를 지나자마자 우뚝 서 있는 일주문
기둥
은 이제껏 보지 못한 엄청난 굵기의 통나무로 세워져 있어서 이국적이었다. 또 금강문과 사천왕문을 지나 대웅전으로 향하는 길가에는 거북인지 용인지 현무인지조차 알 수 없는 기괴한 만화 캐릭터 같은 형상의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