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오래
뉴스
"
긴
"(으)로 총 2,16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습기 살균제 참사, '살인적 사용법' 책임 물어야
2023.12.20
수 없다는 것이 명백한 진실이다. 쥐 실험과 피해 ‘등급’ 판정으로 짭짤한 이익을 챙
긴
전문가와 시민단체의 문제도 심각하다. 피해자의 아픔을 철저하게 외면해버린 것도 용납할 수 없다. 그러나 자신의 전문성을 엉뚱한 목적으로 활용한 것이 훨씬 더 심각하다. 정부와 사법부가 확실한 의지를 ... ...
조선 후기 ‘원구일영’은 휴대용 해시계였다…"어디서든 시간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12.19
수 있었다. 관측 시 주의할 점으로, 영침과 태양을 일치시키는 것은 시각선 눈금보다
긴
직사각형 영역으로 그림자를 집어넣는 방법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원구일영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발견된 원구형 해시계라는 점, 지역에 상관없이 어느 곳에서도 시간 측정이 가능했다는 점, 그리고 ... ...
"젊은 과학자 멘토 역할 할 해외 과학자 유치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3.12.18
젊은 과학자를 위한 '멘토'의 부재다. 노 원장은 "연구의 역사가 오래된만큼 영국에는
긴
시간에 걸쳐 연구자들 사이에 전수된 노하우가 있다"며 "그들은 훌륭한 스승이 어떤 방식으로 실험실을 운영하고 연구를 진행하는지 직접 체득한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과학자를 본격 육성한 역사가 짧은 ... ...
크리스마스 이브에 직접 만든 로켓 쏘아올리는 고교생
과학동아
l
2023.12.16
보니까 로켓이 상공 약 500m에 닿았을 거란 결론이 나왔어요. 생각하면 500m는 엄청
긴
거리죠. 우사인 볼트도 1분은 걸려야 가는 거리잖아요." Faist_V.1.0 로켓의 모습(왼쪽). 스테인리스로 만든 엔진 위 빈 공간에는 데이터 수집기와 카메라가 장착됐고 노즈콘 안에는 안전한 착륙을 위한 낙하산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을 향하는 식물 '굴광성'의 비밀
2023.12.13
하배축 측면에서 파란빛을 비췄다. 녹색형광단백질이 파란빛을 흡수하면 그보다 파장이
긴
녹색빛을 내보낸다. 예상대로 정상 애기장대에서는 빛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형광이 줄어드는 반면 변이체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이 전체적으로 형광이 나타난다. 그런데 ABCG5가 어떤 물질을 수송하기에 ... ...
극저온 분자 '양자 얽힘' 첫 구현...양자컴 상용화 빛 볼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2.11
입자 간 상호작용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채 교수는 "분자는 상호작용의 유효거리가
긴
편"이라며 "쌍극자는 배열 방향만 바꾸면 입자 간 인력이나 척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 더 다양한 상호작용의 양상을 구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양자얽힘 현상이 성공적으로 나타날 ... ...
[표지로 읽는 과학] 덫에 갇힌 동료 구하는 돼지
동아사이언스
l
2023.12.10
때 상자 문을 열 가능성이 높았다. 또 상자 안에 갇힌 동료 돼지를 응시하는 시간이
긴
돼지일수록 도움을 줄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상자를 열고자 하는 행동이 단순 호기심에 의한 것은 아니라는 의미"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같은 동물 행동 연구 결과에 대해 크리스토퍼 ... ...
출퇴근 시간 길면 우울증 가능성 커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2.06
2명 이상 다자녀일 때, 교대근무를 할 때 증상이 더욱 두드러졌다. 이 교수는 “
긴
출퇴근 시간이 오히려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들도 존재하지만 한국적인 상황에서는 출퇴근 시간이 길수록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며 “일과 가정이 균형 ... ...
"모기 진화 초기엔 수컷도 피 빨았다…백악기 화석 발견"
연합뉴스
l
2023.12.05
매우 날카로운 삼각형 하악골과 피부를 뚫을 수 있는 작은 이빨 모양 치아들이 있는
긴
빨대 모양으로 현대 암컷 모기처럼 피를 빨 수 있는 구조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모깃과(Culicidae) 곤충 출현은 쥐라기(2억130만~1억4천500만년)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 가장 오래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고대 백내장 수술로 시작된 안과 수술
2023.12.03
광굴절각막절제술(Photorefractive keratectomy, PRK)을 실시한다. PRK 수술은 시력 이상이 있는 생
긴
분들의 시력을 교정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며 얇은 각막을 가진 이들에게도 적용 가능하다. 또 회복 시간이 짧아서 일상 복귀가 빠르고 효과가 장기적으로 유지된다는 점도 장점이다.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