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행
행운
다행다복
뉴스
"
다행
"(으)로 총 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차 바닥을 뚫고 나온 도끼
팝뉴스
l
2017.04.24
말하는 네티즌도 적지 않다. 네티즌들은 뒷좌석에 아무도 타지 않았다는 것이 천만
다행
이라고 지적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들어오면서 사람들은 ... ...
[때와 곳 2] 서점: 인류의 강을 건너는 다리
2017.04.22
등지에 간신히 남아 있는 몇몇 헌책방은 그 자체가 쪼끄만 박물관인 셈이다. 그나마
다행
인 것은 최근 들어 일부 지역에서 ‘독립’ 서점들이 자연발생적으로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서점+찻집’도 있고, 치맥을 패러디해 ‘책맥’(맥주를 마시며 구입한 책을 읽는)하는 ‘서점+맥줏집’도 생겨나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그건 정말 나쁜 일일까?
2017.04.22
크게 지각하는 과한 반응이 아닌지(그럴 가능성이 높다)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한 가지
다행
인 것은 감정은 본능적으로 발생하지만 그걸 최종 ‘경험’하는 건 우리의 해석 여부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비슷한 흥분 상태일 때 앞에 매력적인 이성이 서있으면 ‘반했다’라고 ... ...
자율주행 자동차 시대, 걱정을 사서 하는 기자의 무쓸모 칼럼
동아사이언스
l
2017.04.16
관련 대사가 등장합니다. 리콜 이전의 자동차는 모두 조종할 수 있다고요. 불행 중
다행
인 거겠죠? 적어도 각 자동차 회사에서 문제를 깨닫고 해커가 침범할 수 없도록 리콜을 시행했다는 거니까요. ● 사소한 도우미 기능에서도 걱정 해커의 손에 따라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자율주행 기능 ... ...
천운을 타고난 사람들
팝뉴스
l
2017.04.12
사진 속 주인공들은 운이 없었다. 남들은 잘 당하지 않는 사고가 닥쳤다. 그런데 불행 중
다행
이다. 따지고 보면 이렇게 운이 좋기도 힘들다. 앞 차에서 날아온 도끼가 차 앞유리를 뚫었다. 조금만 더 강하게 날아왔다면 사람이 다쳤을 것이다. 이만한 게 천운이다. 다른 사람은 못을 밟았다. 상당히 ... ...
주방에서 일어난 대폭발 ‘SNS 화제’
팝뉴스
l
2017.04.10
조리 기구의 결함이 원인일 수 있다는 지적이다. 원인이 무엇이건 사람이 다치지 않아
다행
이었다. 폭음만 해도 굉장했을 것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 ...
수영하는 여성에게 접근한 상어 ‘포착’
팝뉴스
l
2017.03.29
관련 영상은 해외 언론과 네티즌들의 주목을 받는고 있는데 사고가 일어나지 않은 게
다행
이라고 말하는 네티즌들이 많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 ...
손에 잡히는 지진 정보...더 빠르게 전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29
이 정보를 전달받은 해당 지역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는 방법 뿐입니다. 그나마
다행
인 것은 어느 한 지점에서 발생한 지진이 주변으로 퍼져나가는데 시간이 걸린다는 점입니다. 마치 자동차 경주 중계 같지요. 출발선에서 ‘탕’ 출발한 자동차를 중간 중간 설치한 중계 지점에서 지켜보면서 ... ...
[H의 맥주생활 (26)] 편의점에서 수제 맥주를 살 수 있다?
2017.03.17
매출의 약 30%를 차지하게 됐다. 언제까지 이런 맥주만 마실 것인가…. 한숨이 나오지만
다행
히 맥주 세상은 변하고 있다. 천편일률적인 대기업 맥주에 대한 반동으로 전세계적으로 소규모 양조장들이 혁명을 일으키고 있다. 혁명의 진원지인 미국에서는 1978년 10월 4일 홈브루잉 금지법이 풀리면서 ... ...
과학자들이 양자암호에 주목하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7.03.17
도청 사실을 바로 알아차릴 수 있다. 그러면 이미 도청당한 메시지는 괜찮은 걸까.
다행
히 양자암호로 변환돼 전달되는 메시지는 당사자가 아니고서야 그 내용을 정확히 알 수 없다. 통신당사자만 가지고 있는 난수표를 활용해야만 정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양자암호는 메시지를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