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무선공학"(으)로 총 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 학생과 동문이 뽑은 ‘미래 바꿀 7대 기술’은?과학동아 l2016.12.29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와 컴퓨터공학부에서는 개교 70주년을 맞아 ‘앞으로 우리나라를 이끌어갈 7대 미래기술’을 선정했다. 각 분야의 동문들과 재학생들이 투표한 결과다. 영화에서나 나올 것 같은 이야기지만 가까운 미래에 상상했던 수준 이상으로 발전하게 될 전망이다. 각 기술의 최 ... ...
- 올해의 과학자는... 박제근 서울대 교수, 임대식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한국과학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2016.12.26
- 박제근 서울대 교수와 문건우 한국과학기술원 교수가 올해 한국과학상을 수상했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조무제), 한국과학기술한림원(원장 이명철),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소장 한화진)과 함께 2016년 우수과학자포상 수상자 명단을 27일 발표했다. 올해 우 ... ...
- 생각만으로 컴퓨터에 단어 입력… ‘뇌 임플란트’ 시대 오나 2016.11.18
-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 의대 연구팀이 전신마비 환자를 위해 개발한 뇌 임플란트. 세계 최초의 가정용 뇌 임플란트다. 환자는 생각만으로 태블릿PC의 커서를 움직여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 - NEJM 제공 네덜란드인 하네케 더브라위너 씨(58)는 눈동자 이외에는 손가락 하나도 움직일 수 없는 루게릭병 ... ...
- ‘마술종이’로 감쪽같이 사라지는 전자소자 만든다과학동아 l2016.11.06
- GIB 제공 첩보영화의 한 장면처럼 기밀 내용을 확인하면 자동으로 사라지는 전자장치를 만들 수 있게 됐다. 최성진 국민대 전자공학부 교수팀은 잔해조차 남기지 않고 분해되는 반도체용 트랜지스터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나노리서치’ 9월 2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주목한 소재는 니트로 ... ...
- 동물 위에 밀렵꾼, 밀렵꾼 위에 ‘동물로봇’과학동아 l2016.09.30
- 미국 커스텀로보틱와일드라이프사가 개발한 엘크 로봇. 머리와 꼬리 등을 무선으로 움직일 수 있다. - 휴메인소사이어티 제공 밀렵꾼이 단속원의 눈을 피해 어두운 숲으로 살금살금 숨어들었다. 목표는 큰 뿔을 가진 사슴. 한가롭게 꼬리를 움직이며 서 있는 사슴을 50m 거리에서 쏴 명중시켰다. 하 ... ...
- 맛있는 사과 고르는 법, '과학'에게 물어보세요2016.09.09
- 미국 매사츄세츠공대(MIT) 연구진은 손에 쥘 수 있는 크기의 소형 장비로 사과의 익은 정도를 3단계로 구분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 MIT 제공 ‘맛있는 사과는 표면이 거칠고 단단하다.’ ‘손으로 들어 보아 무게감이 느껴지는 것을 골라야 한다.’ 추석 명절을 앞두고 맛있는 과일을 고르기 ... ...
- ‘이너 스페이스’의 마이크로 로봇 개발, 어디까지 왔나? 2016.09.03
- 딱 한번만 경험해 보면 알게 된다. 본인이나 가족 중에 중증 환자가 생기는 순간, 그 질병에 있어서 새로운 약이나 치료 방법이 있는지를 묻고 검색하고 찾아 다니게 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말이다. 생로병사라는 자연스러운 과정에서, ‘사’(死)는 누구나 숙명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슬프지만 자 ... ...
- [국과심 바이오특별위원회] 한국판 ‘제이랩스’ 만든다2016.05.27
- 미국 제약업체 존슨앤드존슨이 샌프란시스코에서 운영하고 있는 바이오 창업 보육 공간 ‘제이랩스(JLABS).’ 이곳에 입주한 벤처들은 바이오 분야의 다양한 장비를 저렴하게 활용할 수 있다. 정부는 한국판 ‘제이랩스’를 만들어 바이오 벤처 창업을 유도할 계획이다. - 제이랩스 제공 “바이오 ... ...
- 손가락만 구부려도 200V 전기가 반짝2016.05.17
- Advanced Energy Materials 제공 국내 연구진이 기존에 없던 고효율 압전소자 개발에 성공했다. 사람의 움직임을 전기에너지로 바꿀 수 있는 기술로 휴대용 사물인터넷(IoT) 소자의 전원 공급 장치로 쓸 수 있을 걸로 보인다. 류정호 한국재료연구소 분말세라믹연구본부 책임연구원 팀은 이건재 KAIST 신소 ... ...
- 사제(師弟) 지간 한국인 과학자들, IEEE 논문 최고상 2관왕2016.04.21
-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 윌리엄 베네트상’ 2관왕을 차지한 이경한 UNIST 교수와 이인종 삼성전자 부사장, 정송 KAIST 교수(왼쪽부터 차례대로). - UNIST, KAIST 제공 이경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와 이융, 정송 KAIST 교수, 이주현 KAIST 박사연구원, 이인종 삼성전자 무선사 ... ...
이전181920212223242526 다음